샛돔科 Centrolophidae
○ 샛돔 : Psenopsis anomala (Temminck et Schlegel)
► 외국명 : (영) Pacific rudderfish, Wart perch, (일) Ibodai (イボダイ)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30㎝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20㎝ 정도이다. 몸은 타원형으로 몹시 측편되었고 등쪽은 튀어나왔으며, 머리는 둥글다. 체색은 청색을 띤 은백색으로 새개골 위쪽에 분명하지 않은 흑갈색 반점이 한 개 있다. 주둥이는 둥글고 입은 작으며 양 턱에만 작은 이빨을 가졌다. 몸에는 떨어지기 쉬운 둥근 비늘이 덮여 있고, 옆줄은 등쪽 외곽과 평행으로 그어졌다. 등지느러미는 1기이고 위의 바로 앞에 식도낭이 발달한다. 각 지느러미는 희며 등, 뒷,꼬리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검다. 어릴 때는 몸색이 검거나 검은 갈색이거나 혹은 옅은 갈색이다.
크기는 전장 30㎝ 정도이다. 두부와 체측은 좌우로 측편되어 있다. 체형은 난형이다. 두부 등 쪽과 체측 상단부는 연갈색이다. 두부 측면과 체측 중앙과 체측 하단부는 회은색이다. 아가미 상단의 체측에 안경보다 약간 큰 흑색 반점이 있다. 모든 지느러미는 백색이거나 투명하다.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의 외연은 흑색이다. 등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가슴지느러미 전단부에서 시작한다. 등지느러미 극조는 길이가 매우 짧아서 흔적적이며, 제1극에서 시작한 기저막은 연조부 시점까지 연결되어 있다. 등지느러미 외연은 일직석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보다 약간 하단에 위치한다. 그 후단은 항문을 지나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에 이른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약간 후방의 복부에 있으며, 그 후단은 가슴지느러미의 중앙을 약간 지난다. 항문은 가슴지느러미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의 극조는 길이가 매우 짧아 흔적적이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연조의 기저 시점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 외연은 일직선이다. 뒷지느러미 기저 후단은 등지느러미 기저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정형이다. 주둥이 전방의 상악은 하악보다 길다. 상악 후단은 안경 전방에 이르고 안경 중앙에 이르지 못한다. 안경은 두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양안간격은 약간 볼록하거나 편평하다. 주둥이의 등 쪽 외연은 둥글다. 전새개부 외연은 매우 약하게 거치가 있다. 새개부 가시는 2개이며 부드럽고 매우 약하다. 측선은 완전하며, 뒷지느러미 기저 후단까지의 측선은 등 쪽으로 약간 볼록하다. 비늘은 원린이며 두부에는 비늘이 없다. 상하악에 작은 이빨이 있으나, 서골과 구개골에 작은 이빨이 없다.
► 설 명 : 저서성 어류로서 대륙붕에 서식하며 최대 서식 수심은 370m 이다. 성어는 밤에는 먹이를 찾아 표층으로 떠올라 이동한다. 해파리류가 대량으로 발생한 해에는 소형 샛돔이 내해로 많이 들어온다. 여름에는 얕은 곳으로 내유하며, 겨울에는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어릴 때에는 표류하는 해파리의 우산 속이나 촉수 사이 또는 표류 물체 아래에 숨어산다. 육식성으로 어려서는 해파리류, 요각류 등을 주로 먹고, 다 자라면 해파리 외에도 갯지렁이나 작은 새우류 등을 먹는다. 식도주머니가 있어 먹이가 위 속에 들어가기 전에 잠깐 저장한다. 산란기는 초여름이다. 생후 1년만에 전장15㎝로 자라며, 성장이 빠른 것들은 1년 반 만에 성숙하기도 하나 보통은 3년생(몸길이 20㎝)이 되어야 산란을 시작한다. 산란기는 일본에서는 6~8월, 동지나해에서는 4~6월이다. 수명은 4년 정도이다. 저층 트롤어업과 정치망어업에 의하여 대부분이 어획된다. 일본이나 타이완에서 시장성이 좋은 어류이다. 어육은 희고 부드러우며 맛이 좋은 생선으로 취급되며, 생선회, 매운탕, 조림, 구이, 버터구이 등으로 이용한다. 배를 갈라 내장을 제거한 후 건제품으로 가공하기도 한다.
제철은 가을부터 이듬해 초여름까지로 산란 후 이외에는 연중 맛이 거의 일정하다. 체표에서 점액이 나와 몸을 덮고 있지만 끈기가 없어 쉽게 제거된다. 비늘은 얇고 약해서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껍질은 두껍지만 약하며, 뼈는 연하다. 살은 투명감이 있는 백색이지만 금방 하얗게 흐려진다. 혈합육은 적으며, 껍질 아래 은피가 있다. 살은 가열을 해도 단단하게 조여지지 않는다. 산란기의 난소(알)도 맛이 좋다. 생선회는 투명감은 금방 사라지지만 감칠맛이 매우 강하고 뒤에 올라오는 단맛과 지방의 고소한 맛이 어울려 맛이 매우 좋다. 생선초밥으로도 이용하며, 소금구이는 향이 매우 강하다. 조림, 튀김, 찌개, 국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반건품은 조림이나 구이로 이용하는데 생선보다는 깊은 맛이 난다.
► 분 포 : 한국(서해안, 남해안, 제주도), 일본(남부해), 동중국해, 대만 등 서부태평양의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주로 분포한다.
► 비 고 : 영어로는 태평양라더피쉬(Pacific rudderfish)라고도 부르는데 라더피쉬(rudderfish)는 배를 따라가는 물고기라는 뜻이다.이 외에 일본 버터피시(Japanese butterfish), 멜론 씨앗 고기(melon seed), 버터 고기(butterfish), 이보다이(일본명)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