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09:00 ~ 10:10 | 강점샤워 공부 | 실습생 전체 | ‘조건 없는 사랑 100시간의 강점 샤워’ 내용 공부 | 학습, 경청 |
10:20 ~ 12:00 | 글쓰기 공부 | 실습생 전체 | 실습 일지, 행정문서 작성 방법 | 학습, 경청 |
12:00 ~ 13:00 | 점심식사 | - | - | - |
13:00 ~ 13:30 | 실행계획서 피드백 | 보라매동 실습생 (정지환, 김명지) | 실행계획서 수정 사항 안내 | 기록, 경청 |
13:30 ~ 17:00 | 실행계획서 마무리 및 사업구상 | 보라매동 실습생 (정지환, 김명지) | 실행계획서 작성 일정표 구상 | 기록, 학습, 의논 |
17:00 ~ 18:00 | 슈퍼비전 | 보라매동 실습생 (정지환, 김명지) | 실습 진행 내용 공유 실습 1일차, 2일차의 슈퍼비전 요청사항에 대한 답변 | 학습, 경청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 강점샤워 공부 (09:00~10:10)
: ‘조건 없는 사랑 100시간의 강점 샤워’를 읽고 나누었습니다. 당사자 특히 자아가 형성되고 자라나는 시기를 거치는 중인 아동에게 자존감, 탄력성의 필요성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아동이 자존감과 탄력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부모는 물론 주변의 둘레 사람들의 관심이 중요하다는 것을 해당 자료에서는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글쓰기 공부 (10:20~12:00)
: 실습 일지를 작성하는 법, 행정문서를 작업하는 법과 관련하여 강민지 사회복지사님께서 교육을 진행하셨습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글과 다르게 해당 복지관에서는 이야기체로 작성하는 것이 특징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야기체로 작성된 글은 ‘참고문헌 – 이야기 – 해석’을 통한 풍성한 이야기를 담을 때 좋은 글로 읽힐 수 있음을 배웠습니다.
실행계획서 마무리 및 사업구상 (13:30~17:00)
: 이전 시간에 작성했던 실행계획서에 대한 피드백을 받은 것을 토대로 정지환 실습생과 함께 수정하고 마무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사업의 당사자들을 만나지 못한 상황에서 실행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이 어렵게 다가왔지만 서로 생각한 것들을 나누고 고민하며 사업에 대한 틀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강점샤워 공부 ‘아동들이 사랑을 받았던 시간은 이후에 또 다른 아동들의 사랑 받을 시간을 제공하는 선순환을 일으킨다.’
: 아동들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며 가장 힘든 시간에 함께해준 어른이 단 한 사람이라고 곁에 있었다면 아동은 훌륭한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내용이 자료에 있습니다. 이를 들은 김별 사회복지사님은 사랑 받는 것은 이후 또다른 선순환을 일으킨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어쩌면 사회사업가는 사회사업을 진행하며 만나는 아동의 미래만이 아닌 더 먼 미래의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사람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김태연 실습생은 이를 보며 ‘나는 누군가에게 전환점이 되는 사람이었던 적이 있는가?’에 대해 질문을 던졌습니다. 같이 공부하던 저 또한 고민해보게 되었습니다. 사람은 결국 스스로의 선택이 중요한 것이니까 타인의 영향은 적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지내왔습니다. 요즘 실습을 하며, 공부를 하며, 둘레 사람들의 중요성을 깨닫습니다. 저의 생각에 대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글쓰기 공부 “실습일지 20편을 모으면 책 한 권”
: 실습을 하기 전 이곳은 실습일지를 이야기체로 쓴다고 들었을 때, 내가 이전에 하던 문서 작업과 어느 부분에서 크게 차이가 날지 생각하며 글쓰기 공부 시간을 기다렸습니다. “실습일지 20편을 모으면 책 한 권”은 그런 생각이 있는 저에게 크게 와닿은 문구였습니다. 기술적인 차이, 진행 방식의 차이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문구는 아니지만 내가 책 한 권을 읽는다면 딱딱하게 작성된 글보단 인용구도 있고 감상도 적힌 글을 읽을 때 더욱 잘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이번 공부를 하며 이야기체에 대한 감상은 ‘어, 글들이 약간 동화책에 나올 것 같아.’이었습니다. 동화책은 아동들을 위해 작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또한 동화책처럼 아동들 또한 읽어도 재밌는 실습 일지를 작성하고 싶어졌습니다.
2) 보완점
마을 인사를 나가고 당사자를 만나는 다른 팀들을 보며, 우리 팀만 아직 시작하지 않은 느낌이라 괜히 조급해하였습니다. 그 결과 실행계획서를 작성할 때도 ‘당사자를 만나보지 못한 상태에서 실행게획서를 작성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를 생각하느라 급급해 사업에 대한 의미를 아동의 주도성에 중점으로 두어야 하는 것인지, 마을 사람들과 아동들의 교류를 중점으로 두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 혼동을 초래하였습니다. 앞으로는 급할수록 보다 마음의 여유를 두고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실행계획서를 보면, 회의의 빈도가 잦은데 이것이 아동들에게 부담으로 다가올 것 같아 흥미 유발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럴 땐 흥미 유발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첫댓글 아이들은 더 자주 만나고 싶어합니다.
명지 선생님이 잘하고 싶어서
좀 더 잘 만나고 싶어서
드는 걱정들이 참 예쁘게 느껴집니다.
좋은 고민들입니다.
편하게 만나는 것도 좋습니다.
봉사활동할때 선생님이 즐겨야 아이들도 즐겁다라고 이야기 들은 적 있다고 했죠.
저도 공감합니다.
명지쌤 잘하고 있어요~
저의 질문이 명지선생님께도 퍼져나간 것 같아서 기쁩니다 ㅎㅎ 선생님은 분명 누군가에게 전환점이셨을 거예요! 앞으로 더 힘내봐요:)
시작하지 않아서 조급해하는 마음이 드셨다는 점이 참 많이 공감이 되었습니다! 저도 혼자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니 저도 참 걱정되고 마음이 불안할 때가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명지쌤은 늘 솔직하고, 분위기를 밝게 만들어 주시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이번 활동도 잘 하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
만에 하나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세요! 제가 뭐든지 능력이 닿는 한 도와드릴게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응원할게요!
마음이 급할 수록 여유를 두어야한다는 것 정말 공감되네요.
그리고 명지쌤의 일지를 20일 뒤에 볼 날이 기대됩니다!
읽으면서 저도 너무 공감되는 말들이 많았습니다. 저도 같은 조급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만 저희 만나서 이야기해보니 조급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받았습니다.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선생님이 있어 든든합니다 ㅎㅎ 천천히 함께 잘 해봅시다!😁
명지선생님이 써 내려갈 한 편의 동화같은 실습일지가 참 기대됩니다!
명지선생님께서 고민하고 계신 너무 잦은 회의로 아이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을까?하는 걱정을 통해 아이들을 진심으로 생각하고 계시구나 하고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긴 시간동안 딱딱하게 회의를 진행한다 라는 생각보다 함께 즐기고 놀면서 이야기를 나눈다고 생각하고 끝나기 몇 분 전에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와 같은 간단한 놀이로 활동을 마무리하면 어떨까 제안해봅니다.
일지를 재밌게 작성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니 다행입니다:) 책 한 권을 작성하는 여정,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