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7년 제6차 국제온돌학회 정기총회 회순 |
사회자:펑샤오리에 (건축대학 부학장) 리신호(국제온돌학회 부회장, 충북대학교 교수)
2
심양건축대학, 국제회의장
1. 개회선언
2. 내빈소개 : 리신호 부회장
3. 환영사: 심양건축대학 총장
4. 학회장인사 :
5. 격려사 : 정낙형원장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
6. 기조연설 :
7. 환영사 : 스테마오(심양건축대학 부총장/국제온돌학회 부회장)
8. 축사 : 유완(연세대학교명예교수, 국제온돌학회 고문),
(주) 창조E&C
9. 경과보고 : 리신호(부회장/충북대학교 농공학과 교수)
10.정관심의 및 감사보고(국제온돌학회 감사,
11.임원선출
12.폐회선언
2007年 第6届 国际温突学会 定期总会 会序 |
主持人: 彭晓烈 沈阳建筑大学建筑与规划学院副院长,李信昊 (国际温突学会 副会长, 忠北大学 教授)2
1. 开会宣言
2. 来宾介绍 : 彭晓烈 沈阳建筑大学建筑与规划学院副院长
3. 会长讲话 :
4. 欢迎词: 石铁矛(沈阳建筑大学 副校长/国际温突学会 副会长)
5. 激励词 : 郑乐亨 (韩国建设技术研究院长)
6. 重要演讲 :
7. 祝词 : 俞浣 (延世大学 名誉教授, 国际温突学会 顾问),
(株) 创造E&C
8. 过程报告 : 李信昊(副会长/忠北大学 农工学系 教授)
9. 定款审议及 监理报告(国际温突学会监理, 罗振明 事务师)
10.选举任员
11.闭会
会议活动时间表 회의시간표
Program Schecule
日期及时间/시간 DATE&TIME |
活动/主题/주제 SESSION/TOPIC |
主持人/主讲人/발표자 /SPEAKER |
地点/장소 VENUE | ||
| |||||
Oct. 19 |
|
注册登记 ,숙소배정및 등록 Registration |
注册委员会(SJZU) Registration Committee (SJZU) |
沈阳建筑大学宾馆 SJZU Hotel, 학교영빈관 | |
|
午餐 No.1 Cafeteria 3rd Floor Lunch 제1귀빈식당 3층 |
沈阳建筑大学, 第一餐饮中心三楼 | |||
|
参观沈阳故宫, 심양고궁 |
彭晓烈 펑샤오리에 건축대학 부학장, 고궁참관을 위해 정시에 출발할 수 있도록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
沈阳建筑大学宾馆前停车场, 학교영빈관앞 집결 Park of SJZU Hotel | ||
|
休息 휴식, 서로 인사나누시고 담소 하세요.. Rest영빈관 숙소, |
沈阳建筑大学宾馆 SJZU Hotel, | |||
|
欢迎晚宴, 환영만찬 Welcome Dinner 호텔은 시내로 나가실분은 미리 미리 준비 바랍니다… |
石铁矛,스테마오 부총장 于瑾,위진 국제교류처장 |
沈阳建筑大学,귀빈식당 第一餐饮中心三楼 No.1 Cafeteria 3rd Floor | ||
| |||||
Oct. 20 |
|
早餐 Breakfast |
No.1 Cafeteria 3rd Floor 第一餐饮中心三楼 |
沈阳建筑大学,귀빈식당 | |
|
开幕式及欢迎致词,개막식및 총회 Opening & Welcome |
彭晓烈, 펑샤오리에 건축대학 부학장 |
机关办公楼301会议室 Administration Building Conference Room 301 행정동 301호 다목적 회의실 | ||
|
学术发表Ⅰ,학술발표, 좌장 Presentation Ⅰ |
方学峰 教授, 방학봉교수 | |||
|
茶歇 휴식 서로 인사나누시고 담소 하세요.. Coffee Break | ||||
|
学术发表Ⅱ, 학술발표, 좌장 Presentation Ⅱ |
孙世钧 教授, 손쓰쥔 교수 | |||
|
午餐 第一餐饮中心三楼 Lunch, 서로 인사나누시고 담소 하세요.. No.1 Cafeteria 3rd Floor |
沈阳建筑大学, 귀빈식당 | |||
|
学术发表 Ⅲ, 학술발표, 좌장 Presentation Ⅲ |
|
机关办公楼301会议室 Administration Building Conference Room 301 다목적 회의실 | ||
|
茶歇 휴식, 서로 인사나누시고 담소 하세요.. Coffee Break | ||||
|
学术发表 Ⅳ, 학술발표 좌장: 리신호교수 Presentation Ⅳ |
李信昊 教授, 리신호교수 | |||
|
闭幕及致词, 폐막 Valedictory & Closing |
石铁矛 教授, 스테마오 교수 | |||
|
晚餐, 기념 잔치 Dinner , No.1 Cafeteria 3rd Floor |
|
沈阳建筑大学 第一餐饮中心三楼 | ||
学术发表内容 Presentation Content 학술발표내용 및 순서 | |||||
学术发表Ⅰ Presentation Ⅰ |
1) 五女山城高句丽取暖设施遗址小见 方学峰 教授 延边大学 고구려 오녀산성 난방시설 유적 연구, 방학봉 교수, 연변대학 2) 盛京满族皇宫建筑中的火炕(地)双重系统研究 吕海平 沈阳建筑大学 the dual system of the Kang(Ondol) in Manchu royal palace Haiping Lue Shenyang Jianzhu University. 성경만족황궁건축의 이중 온돌유적의계통연구, 뤼하이핑, 심양건축대학 3) 中国东北地区朝鲜族火炕的演变 the Evolution about Korean Ondol of Northeast in 중국 동북지역 조선족 온돌의 변화 연구, | ||||
学术发表Ⅱ Presentation Ⅱ10:50- |
1) 黑龙江省新型农宅生态节能技术研究 孙世钧 教授 哈尔滨工业大学 A Study on the Technology of New Type Rural Ecological and Energy-Efficient Residence in Heilongjiang Province Prof. Shijun Sun 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흑룡강성 신형농촌주택의 생태적 에너지 절약기술연구, 손쓰쥔교수, 할빈 공업대학 2) 供热采暖系统的能耗分析与节能改造 邵宗义 教授 北京建筑工程学院 열공급 난방시스템의 에너지 소모분석과 에너지 절약 개선 연구, 쇼쭝이교수, 북경건축대학 3) 关于中国北方地区各民族使用炕的特征研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ndol(Kang, Gudle) found in Folk Housing of Several Peoples in 중국 북방지구의 여러민족 민가 온돌의 특성에 관한 연구, | ||||
学术发表 Ⅲ Presentation Ⅲ |
1) 大庆市节能与非节能建筑热工检测及对比分析 刘晓燕 大庆石油学院 따칭시 에너지절약과 비에너지 절약건축의 열검측 및 비교분석, 류쑈얜, 따칭석유학원 2) 北京晴天侧采光太阳能光导管性能实验分析 吴延鹏 博士 北京科技大学 북경 맑은 날의 측면채광태양열 집열관 성능에 대한 실험과 분석,우얜펑 박사 북경과학기술대학 The Effects of Solar light pipes on Room Temperature, Wu Yanpeng Ph.D 3) 关于干式温突系统中放热性能分析的研究 건식 온돌시스템중 열방출 성능의 분석에 대한 연구, Theoretical Analysis on Heat Flux Performance in Ondol System of Dried Type Yong Sung Jang Ph.D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4) 关于活用废轮胎的壁板研究 페타이어를 활용한 벽판의 연구에 관하여, A Study On The Ondol Heating System Utilizing Waste Tires Prof. In Soo Seong School of | ||||
学术发表 Ⅳ Presentation Ⅳ |
1) 根据温突炕洞内部流动方向性的尺寸解释性热特性比较分析 李信昊教授 韩国忠北大学15:50- 온돌고래내부 유동방향성의 치수에 따른 해석적 열특성 비교분석, 이신호교수, 한국충북대학 Numerical Comparative Analysis for Fluid Blowing Direction of Temperature in Gorae of Traditional GUDLE Prof. 李信昊 University of 2) 关于提高居住性能的多功能温突系统的开发及性能评价研究 주거성능 향상을 위한 다기능온돌시스템의 개발 및 성능평가연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ulti-functional Ondol system to improve residential performance Dong Woo Cho Ph.D 3) 炕洞 亞字房 的故事 吴弘植 院长 韩国炕研究院 아자방 온돌 이야기, Azabang, a Gudle Structure of Korea Oh hong sik President of Gudle center 4) 陇东窑洞的采暖设施 룽뚱동굴주거의 난방시설에 관한 연구, | ||||
*宣讲论文时间为15分钟,5分钟提问时间。 Presentation 15min, Answer Questions 5min. 발표시간15분 5분질의응답, 시간을 엄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Gudle(온돌, 溫突, Ondol)
Korean Panel-Heating System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Kim, June Bong. Ph. D.
Gudle(Ondol), unique and peculiar to Korean culture
Gudle is a heating system that heats the floors by sending the heat from the furnace to the Gudle flue. It is certain that the Gudle has come from and has been developed by the Korean people who lived in
The cultural value of the Gudle
In this way this unique culture of fire and the Gudle is peculiar to Korean culture. The Gudle, which is the saving of heat in stones, came after the primitive heating system of heating a certain part of the body with an open fire and sitting or laying in the place where the fire was made to keep the body warm at night when the warmth of sunlight was not available.
The Gudle civilization made it possible for primitive men living in caves to live in dugouts and log cabins on the ground. Later on, traditional houses developed from the thatched houses to ones with tiled roofs, but kept the Gudle culture. In this manner, fire and the Gudle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Korean people since ancient times, and have helped develop its family structure and way of living.
The Korean people were born and raised on the warm side of the Ondol (warm stone) floor, which is called the Ahraen-mok and died after being treated there when they were old and sick. Even after death, their descendants practice ancestor worship rites for them there. Padding blankets were always laid out on the Ahraen-mok to keep the place toasty warm, guests and household members coming from outdoors are urged to sit there to warm themselves, and meals spread out for members of the household that have not been able to eat with the rest of the household were kept warm under the blankets.
Handloom weaving, sewing, fulling cloth and preparing food for cooking was done on the warm side of the Ondol floor, making it the seat of the lady of the house. It is the place of the lady of the house who is in charge of the safe keeping of the life styles and the manners and decorum of the household. In the houses of old in Yanbian, people lived on the Gudle, doing practically everything there. It is the same with house in latter-day
Koreans sit on the floor cross legged. This is the same posture in which American Indians sit. The Chinese sit in chairs and the Japanese kneel on the Dadami. The Koreans’ bodies get the closest contact with the floor when sitting on it. This posture gets the body in touch as much as possible with the warm floor. The unique way in which we sit is influenced from the Gudle culture.
The pleasance of the warmth of the Gudle is the one that can not be found in other forms of heating. Koreans save heat with the sleeping pads they sleep on, and the heat in the sleeping pads are spread over the back, waist, legs and other parts of the body, heating them directly and helping blood circulation. Blankets are heated from the warmth of the Gudle, warming the chest, stomach, knees, feet and other parts of the body that do not get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promoting blood circulation during sleep. The Korean people have conducted fire’s nature to go upwards and has made it creep under the floor. In conclusion Koreans stand on, sit on and lay and sleep on fire.
The Gudle science- an invention 500 years ahead of the West
Koreans were the first to think of lying on fire, which has been perceived as an object of fear since ancient times. And the science of manipulating such dreaded fire and controlling smoke with Gudle flues and chimneys is a scientific invention far ahead of the West.
Houses were subtly structured to protect the Gudle, and Gudles too were done so to warm people. Traditional Korean houses were constructed to protect the Gudle. There were Gudles in the floor built to keep the summers cool and the winters warm. The moisture of the rainy season was absorbed by the mud underneath the Gudle floor and as the mud dried they let out moisture which adjusted the humidity. The flues of the Gudle keep the dampness coming from the ground out, and save the terrestrial heat in the winter. Screen paper is used in sliding doors, opening and shutting doors, and shutters, ventilating the air properly with weather strips to keep out blasts of cold air. Korean housing culture is truly excellent and scientific.
Moreover, the materials used in the making of the Gudle are chemically and physically safe natural ingredients, and as they are not worn out with use, Gudles are perpetual, long lasting facilities and they are easily mended.
The state of development of panel-heating systems abroad
As our traditional houses used Gudles and went through no further development, the West was making use of open fires, then heaters and Russian stoves, or steam or hot-water boilers. Later on the air-conditioning system, then the electric heater was used. Then they used solar power again and nowadays the use of energy saved during the night for heating is rapidly spreading.
Although the West had little knowledge concerning panel-heating systems, electric floor heating was used to melt snow on roofs, thaw frozen slopes and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s and to thaw and melt snow on runways. Recently it is being used in houses.
The Germans were interested in floor heating for a long time and have been supporting it on the levels of hygiene,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One example of this is the cash benefits or the technical aid during construction given by the government. Moreover, while we have kept our Marus(wooden floored verandas) strictly for summer use with no further development, they have developed wooden floors for the winter. Today,
In the
In the case of
But the Japanese showed an interest for clean energy and developed the electric floor heating and has practically dominated this field in the world market. Their wooden floor heating goods as good as the Germans’ have gone ahead of
In the case of China, though it has joined the race much later than the other competitors, based on cheap labor, it has quickly taken up the low-priced wooden floor heating market with its artificial wooded flooring and cheap wooden flooring.
溫故知新-Developing new things with a thorough knowledge of the old -Why we must develop Gudle
We have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the technique of Gudle, a flooring heating system that preserves and manipulates heat in solid material. In the fireless heating technical field we were ages ahead of the West.
I believe that reclaiming and developing the Gudle and adjusting it to contemporary needs and becoming one of the major supplier country to the inexhaustible demand of the world for heating facilities is our duty, and that to get such a project done, the power of the academic world and the media as well as private enterprises are needed.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Ondol's existence is import!ant and that it is a foundation of something that we should accede and develop.
Professor Kim, June-Bong Ph.D.
/President of International Society of Ondol
Dept. of Architecture Beijing Univ. of Technology.
국제온돌학회 회장/도시주거환경설계연구소장
온돌의 본고장인 만주에서 열리는 제 6차 국제온돌학회
온돌 종주국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김치가 기무치로 일본인들에게 빼앗길뻔한 기억을 아시지요 온돌이 지금 그 지경입니다... 외국의 사이트를 보면 중국인 학자들이 온돌의 기원을 캉이라고하며 온돌의 뿌리는 중국으로 중국 북방에서 발생하여 현재는 한반도에서 그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금 상해지역에서 그 온돌이 다시 중국문화로 살아나고 있다고...
발해는 고구려를 이었고 고구려는 바로 한민족의 근원이라는 주장은 문헌이나 유적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현재 중국의 영토로 되었는 이 만주땅이 과거 한민족의 뿌리가 있었다는 것은 단순한 감정만으로는 증명할 수 없겠지요.....
바로 말없이 증거하는 온돌문화의 유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논리적입니다. 우리 한민족이 현재에도 거의 100%이상 온돌문화에서 살고 있고 당시 발해의 유적이 온돌문화의 생활습관을 갖고 있다는 것은 그 좋은 증거가 됩니다.....
한글 금속활자와 함께 우리의 온돌문화는 우리 한민족의 과학과 문화의 정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한족들도 한번 온돌맛을 보면 환장을 하는 것이 바로 온돌입니다. 그 온돌을 널리 알리고 온돌의 종주국이 바로 대한민국임을 알리는 것은 우리의 권리이자 의무입니다
자랑스런 우리의 문화유산 ‘온돌 그 찬란한 구들문화’ --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대영백과사전’에는 온돌은 ‘ONDOL’로 표기되고, 구들 역시 고유명사이기에 다른 표현은 아직 없고 ‘GUDLE’로 표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요즘의 영한사전을 찾아보면 구들이나 온돌이 하이퍼코스트(hypocaust)로 표기 되어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일은 우리가 우리의 전통 난방기술을 계승․발전․전파시키지 못한 동안에 아주 원시적은 온돌 구조인 하찮은 서양식의 하이퍼코스트에 비교되어 표기되고 있다.
하이퍼코스트는 서양 로마시대에 원시적 바닥 난방 형태인, 그것도 단지 로마시대에만 목욕탕 용으로 잠깐 사용되었던 우리 구들과는 비교도 안 되는 단순한 구조이다. 마루바닥에 수로(水路) 형태로 뜨거운 물을 흘려서 바닥을 데웠던 시설인데, 우리의 전통구들처럼 축열이나 취사 겸용 등의 복잡한 구조도 없고 불기를 직접 보내지도 않은 아주 원시적인 구조이다. 이런 하이퍼코스트를 우리 고유의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첨단화된 구들과 비교하고 그 자리를 대체하는 것이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
온돌 혹은 구들에 대한 용어 정의
먼저 온돌과 구들에 대한 용어정의를 하면 사전적 의미는 ‘구들’은 ‘방바닥에 골을 내어 불을 때게 하는 장치’ 또는 ‘고래를 켜고 구들장을 덮고 흙을 발라 방바닥을 만들고 불을 때어 덮게 한 장치’ 등으로 설명되는데 주로 우리 전통방식의 구들 고래와 구들장을 가진 직화(直火) 방식의 난방 방법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고, 이와는 비슷하지만 온돌은 단순히 ‘방바닥 밑으로 불기운을 넣어 방을 덥게 하는 장치’로 실의 바닥을 데우는 난방방식을 통칭하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온돌(溫突)'이라는 말이 처음 나온 것은 [조선 왕조 실록]에 등장하는데, 세종 실록 7년 을미 7월 병진]이며, 바닥에 본격적으로 장판을 깐 것도 이때부터 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구들’은 순 우리말로 ‘구운 돌’이란 의미에서 발전하였고 지금까지 넓게 쓰여지고 있다. 그러나 온돌은 한자로 따뜻할 온(溫) 돌출하거나 발산한다는 돌(突)자를 쓰는데 이같이 열석 (熱石)으로 쓰지 않고 온돌(溫突)로 쓰는 데는 이미 따뜻한 복사난방의 의미를 두고 조합해 놓은 단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이미 오래 전부터 우리민족은 온돌의 의미를 단순히 돌(바닥)을 뜨겁게 하는 데 그치지 않고 바닥복사난방과 축열(畜熱)의 의미가 함유되어 있게 용어를 정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우리가 지금 쓰는 ‘온돌’과 ‘구들’용어는 서로 같은 의미에서 출발 하였기 때문에 ‘구들’이라는 용어는 과거 전통 온돌 방식의 난방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온돌의 경우는 과거와 현재를 통틀어 바닥을 데우는 난방방식을 통칭하는 것으로 쓰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경우는 온돌(溫突)이라는 용어는 주로 사용하고 있지 않고 과거 전통방식의 구들난방은 캉(炕) 또는 훠캉(火炕)으로 쓰여지고 있으며 지금의 온수난방이나 전기를 사용한 바닥난방은 띠러(地熱), 혹은 띠놘(地煖)이라고 쓰는데 우리민족이 온돌의 종주국임을 알리고자 한다면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온돌(溫突)을 지금보다도 널리 쓰게 하는 것이 우리의 온돌의 우수성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금의 경우 굳이 ‘구들’이라는 용어만을 고집하기 보다는 이미 외국에 ‘ONDOL’로 알려져 있고 대영백과사전에 등장하는 ‘온돌 溫突 ONDOL’용어를 쓰는 것이 큰 무리가 없다고 본다. 우리의 한영사전에 ‘온돌’은 ‘ONDOL’로 표기하면서 ‘구들’은 ‘Korean hypocaust’로 표기 되는 곳이 많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 인데 ‘하이퍼코스트’는 서양 로마시대에 원시적 바닥 난방 형태인, 그것도 단지 로마시대에만 목욕탕 용으로 잠깐 사용되었던 우리 구들과는 비교도 안 되는 단순한 구조이다. 마루바닥에 수로(水路) 형태로 뜨거운 물을 흘려서 바닥을 데웠던 시설인데, 우리의 전통구들처럼 축열이나 취사 겸용 등의 복잡한 구조도 없고 불기를 직접 보내지도 않은 아주 단순하고 원시적인 구조이다. 이런 ‘하이퍼코스트’를 우리 고유의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첨단화된 구들과 비교하고 그 자리를 대체하는 것이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따라서 영어표기로는 ‘온돌’은 ‘Ondol’로 ‘구들’은 ‘Gudle’로 표기가 되어야 하고 중국어로는 ‘溫突’로 쓰여지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본다.
온돌의 발생은 불의 관련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는데 옛 문헌 유적으로부터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온돌은 구석기시대부터 불의 이용으로 발생되고 오랜 시대에 걸쳐 발달된 것으로 만주지역과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발생되어 발달하였다고 생각된다.
한반도의 온돌은 신석기 시대의 움집 화덕에서 처음으로 발견되는데, 이에 관한 가장 오랜 자취는 두만강 유역의 서기 전 5천 년에서 4천 년 사이의 서포항 집터에서 발견되었다. 한 줄로 마련된 5개의 화덕 가운데 양끝의 두 개에는 냇돌을 둘렀으나, 가운데 3개에는 자갈만 깔아놓았다. 이것은 양끝에서 불을 지폈다가 가운데 화덕쪽으로 모아 놓은 자국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때의 화덕은 집안을 덮이거나 밝히고 음식을 끓이는 따위의 여러 가지 구실을 함께 한 셈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구려의 벽화와 발해의 왕궁터에 구들의 발전된 모습이 보여지는 바, 최초의 우리 민가에서 사용한 구들의 역사는 그보다 훨씬 이전이 될 것이다. 따라서 문헌상의 구들이 구조와 과학적 기능인 현존 구들로 발전하는데, 약 수 백 년 이상이 걸렸다고 보아 최초 원시인이 불을 획득하고, 불을 이용하여 구들을 만드는 데는 보다 수십 배의 시대가 소요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면, 구들은 구석기 시대에 불의 발견과 사용으로부터 처음 발생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청도기 시대로 접어들어, 농사를 짓고 정착생활을 하면서 화덕의 구실은 취사와 난방의 두 갈래로 나뉘었고, 이때부터 난방용 화덕을 집 한 귀퉁이에 붙이고, 엉성하게나마 굴뚝(구새)을 세워 연기를 밖으로 뽑았다. 이 화덕은 철기 시대에 기억자꼴 구들로 발전하였다. 평안 북도 노남리의 집 한 자리에서 나온 것이 그것이다. 동쪽의 것은 너비 30센티미터, 깊이 30센티미터이고, 남북으로 놓인 것은 너비와 굴뚝이 딸려 있었다. 방의 일부만 데우는 이 기억자꼴 구들은, 서기4세기경 황해도 고구려시기(B.C 37~668)의 안악 제3호 무덤 부엌 그림에, 음식을 끓이는 부뚜막과 난방용 아궁이를 따로 낸 것이 보인다. 따라서 이때에도 구들은 방 일부에만 놓은 것이 주류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통구들(온 방 전체가 온돌로 되어있는 경우)로 바뀌어, 방 어디에나 앉고 눕게 된 것은 고려 시대 중기 이후 일반화되고 이것은 조선 시대 초기가 되어서야, 중부 이남에까지 퍼져 나갔다.
구들에 관한 첫 기록은 7세기 중엽에 나온 [구당서(舊唐書)]의 다음 내용으로 “겨울에는 긴 구들을 만들고 그 아래에 불을 지펴서 방을 덥힌다.” 고 기록되어 있는데 중국 사람들이 ‘긴 구들’ 이란 의미로 장캉(長炕)이라 쓰였는데 이는 그들이 보기에는 당시 아주 신기한 발명품으로 여겨졌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캉(炕)’이라고 부른다. 중국의 동북쪽의 민가를 답사하다 보면 어느 집에나 이러한 온돌인 캉을 놓았을 뿐만 아니라 산간지대의 농민들 조차도 이것이 한국에서 들어왔다고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으니 이는 반갑고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한족(漢族)이나 만주족의 온돌(溫突)은 방 앞쪽(창쪽)에 놓은 '쪽구들'과 방의 반 넓이에 시설한 '반구들' 두 가지 뿐으로, 중국의 조선족인 우리네와 같은 통구들(온구들)은 없다. 이것은 중국 사람들이 우리처럼 앉지 않고 서서 지내기 때문이다. 그들은 신을 신고 집안을 다니는 입식 문화이기에 온돌이 더 이상 발달하지 않고 부분온돌형태로만 명맥을 유지 하고 있다. 또한 서양 난방은 천장만 따뜻하게 가열하는 난방인 반면 사람의 몸은 항상 천장이 아니라 추운 바닥에 있게 되어 의자 침대 등 땅에서 떠있는 불안한 상태에 있고 페치카(pechka)나 난로 등이 인체의 한쪽부분만을 데우게 된다.
그러나 우리민족은 계속적으로 온돌을 발전시켰다. 궁궐이나 집의 온돌을 살펴보면 참으로 놀라운 과학적 발명품들을 발견하게 된다. 고도의 물리학과 유체역학을 알지 못하고는 도저히 알 수 없는 형태의 온돌을 우리 내 조상은 이미 수 천 년 전에 발명하여 사용했던 것이다.
*
올해로 제6회가 되는 국제온돌학회 학술발표대회를 온돌문화가 꽃피고 발전하는 중국 만주 벌에서 열린다. 많은 관심과 지지를 바라는 바이다.
2007. 10
International Society of Ondol’s (溫突, 炕,Floor Radiant heating system)
General Meeting and Symposium
CONTENTS
1.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ndol(Kang, Gudle) found in Folk Housing of Several Peoples in Northeast China Kim, June Bong YOO, UOO SANG PAEK, SUK JONG
2.Theoretical Analysis on Heat Flux Performance in Ondol System of Dried Type. Yong Sung Jang, Dong Woo Cho, Ki Hyung Yu
3.A Study On The Ondol Heating System Utilizing Waste Tires. In Soo Seong , Sung Wang Kno, Young A Lee, Ok Soon Lee
4.Numerical Comparative Analysis for Fluid Blowing Direction of Temperature in Gorae of Traditional GUDLE. Shin Ho Rhee, Jong Min Moon, Gwang Hoon Rhee
5.Azabang, a Gudle Structure of Korea. June Bong Kim, Oh hong sik,Uoo Sang Yoo, Uoo Sang Yoo,Kim Jong Hun, Kim Jong Hun
6.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Ondol System and Health Medical Science. June-bong Kim, Dae-ho Kang, Baek Suk-jong Paik, Yong-min Lim, Shin-Hyun Cui, Eun-Jeong Goh
7.A study on the heating system of Ondol: From healthcare perspective. Kim june bong Kim seng goo Kim Yong Sung Jin Guang Chun[1] Oh Hyun In
8.An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nd Research of Energy Efficient Technology on Rural Ondol Residence in Jiamusi area. Shi jun Sun, Yun duo Zhao, Zhi Xia
9. The Effects of Solar light pipes on Room Temperature. Wu Yanpeng Ma Chongfang
10.The study on the unification Kang heating and ventilating for the low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cold zone. Liguiwen renhongguo fangxiumu linchao
11.The Technology of Solar Energy Utilization on the Renovation of Existing Buildings. Shi Jun Sun
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ulti-functional Ondol system to improve residential performance Dong-Woo Cho, Jung-Yeon Yu, Ki-Hyung Yu
12.The Dual System of the Kang(Ondol) in Manchu Royal Palace. Haiping Lue Bing Wang He Wang
13.Transmission Energy Consumption Analysis of Heating Supply system. ShaoZongyi, ZhangYe ,WangLili
14.THERMAL COMFORT RESEARCH OF INTERMITTENT MODE OF ENERGY-STORING FLOOR HEATING SYSTEM. Ruo-bing Liang, Guo-hui Feng, Shui Yu, Zhenhong Guo
15.Assessment and optimization of performance of water-water heat pump with energy analysis. Jin Hua Chen Yong An Ao Cong Min Wang
16.Temperature field differences simulation of natural convection in ondol-room. Wei LI, Guohui FENG, Chuanzhi LIANG , Xianyang JIANG, Jingwei NING, Shui YU
17.Discussion of the Central Heat System’s Confirmation of Heat Price. Wang Hongwei, Yu Meijing
18.The study on the unification Kang heating and ventilating for the low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cold zone. Gui Wen Li , Hong Guo Ren , Xiu Mu Fang , Chao Lin
19.Numerical Simulation of Thermosyphon-embedded Floor Heating. Xie Hui, Dong Xianfeng, Ma Fei, Fan Huifang
20.Assessment of An Electric Power Heat Pump in The Heating State By The Structure Theory of Thermoecnomics. Zou Huili, Ao yongan, Pang Lidong
21.Study on Thermal Performance of Thermosyphon-embedded Floor Heating. Xie Hui, Liu Li, Ma Fei, Li Deying
22.The Adjustment to the Secondary Pipes in Variable-Flow Heating System. Liu Ping, Li Deying
23.Study on the Energy-conservation Reform Technology of the Traditional Heated Bed in Northeast of CHINA. Hong Bin Cai,Gui Wen Li,Xue Jun Lin,Xiu Ling Gui
24.Advances of the study on indoor air pollution cleaning technology. Guo Zhenhong Feng Guohui Deng Dan Zhou Zhenfeng
25.Energy efficient diagnosis and retrofit of district heating system in China’s cold area. Hongbing Chen, Deying Li, Yaodong Lan, Zongyi Shao
26.On Integration Design Practice of Solar Energy Collector and Building in Cold Area. Bo Li , Nai Xin Ren , De Bo Guan , Yong Jie Ma
27. The Characteristics and Choice of Various Heating Methods. Wang Congmin , Ao Yongan , Chen Jinhua
28. NUMERICAL SIMULATION OF RADIANT FLOOR COOLING COMBINED WITH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 Deying Li ; Yanli Ren; Yufeng Zhang
29.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Energy-saving Building and Household Heat Metering System on Housing Price. JIAO ManLi,WANG YueRen,LIU GuiJun
30. Analyze ecological wisdom and suitable developmentOf the traditional heated kang. Lisui ,Shi tie-mao
31. Architecture Design Analysis on the Solar Low-rise Dwelling in the North. REN Nai xin NI Wei ning LI Dian yang
32. REVIEW AND PROSPECT OF RESEARCH ON PHASE-CHANGING ENERGY STORAGE IN THE DOMAIN OF HVAC. Xiangyang Jiang, Guohui Feng, Wei LI , Jingwei Ling
33. New Explaination of Ondol. Bo Pan, Xu Dong Wang
34. Some Tectonic Problems on Manchu Dwelling’s Kang. Tang Yu
35. The Superficial Method of Ecological Architecture Design. Xiao Ning Li
36. The Eco-Technique Application of the Residential Design in
37. THE CULTURE SYSTEM OF HUOKANG IN MODERN COUNTRYSIDE IN EASTERN
38. The Development of “Kang” Structure Form and the Improvement with Way of Keeping Warm. Jin Ting Zhang, Nai Xin Ren
39. Exploration on residential energy-saving design of cold erea. Weitianyong,wangli, wangxue
目 录
1.五女山城高句丽取暖设施遗址小见. 方学凤
2.关于中国北方地区各民族使用炕的特征研究.
3.关于干式温突系统中放热性能分析的研究.
4.关于活用废轮胎的壁板研究. In Su Sung Young A Lee Sung Wang Noo
5.根据温突炕洞内部流动方向性的尺寸解释性热特性比较分析. 李信昊
6.炕洞 亞字房 的故事. 金俊峰 吴弘植 Uoo Sang Yoo
7.传统温突的医学保健考察.
8.温突的医学保健考察.
9.陇东窑洞的采暖设施. 张驭寰
10.东北地区朝鲜族村落的发展与演变——以吉林省龙井市龙山村为例. 张姣
11.韩国农村地区地暖能源消费现状及未来变化趋势研究. 汪军 李信昊
12.关于提高居住性能的多功能温突系统的开发及性能评价研究.
13.通过文献和遗构了解传统温突(炕)的历史. 孙庆石
14.炕的起源以及北方地区炕的种类——以内蒙古、黑龙江、吉林地区为例. 赵鹏
15.江南民居与传统的延承. 袁媛 戴俭
16.蒙古包的室内布局及炕的出现. 宋睿 戴俭
17.炕洞 亞字房 的故事.
18.传统温突的医学保健考察. 尹盛隆
19.佳木斯地区农村火炕住宅现状分析及节能技术研究. 孙世钧 赵运铎 夏智
한글 발표 논문 목차
1.오녀산성 고구려 온돌유적에 관한 소고, 방학봉,
2.중국 북방지역 여러 민족의 온돌사용의 특징에 관한 연구,
3.乾式 溫突시스템에서의 放熱性能 分析에 관한 硏究.
4.폐타이어를 활용한 온돌패널에 관한 연구. In Su Sung , Young A Lee, Sung Wang Noo
5.전통온돌 내부의 열유동현상의 크기와 방향성에 대한 비교분석. 리신호
6.고래온돌 아자방(亞字房) 이야기.
7.온돌과 보건의학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
8.온돌난방의 보건의학적 고찰.
9.《룽둥(陇东)동굴거주의 난방시설에 관한 고찰》. 장유환
10.동북지구조선족마을의 발전과 변천——길림성용정시용산촌을 실례로. 장교
11.한국 농촌지역의 난방에너지 소비현황 및 미래 변화추세. 리신호 왕군
12.주거성능 향상을 위한 다기능 온돌시스템 개발 및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13.온돌의 기원 및 북방지역 온돌의 종류——내몽골、흑룡강、길림지역. 조펑
14.강남민가와 전통의 계승. 袁媛 戴俭
15.몽고포의 실내 배치 및 온돌의 출현. 宋睿 戴俭
16.가목사지역 농촌온돌주택현황 분석 및 절약기술연구. 손세균
17.농촌주택의 구들형식이 실내물리환경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石铁矛 夏晓东 刘满
18.요녕성농촌주택바닥온돌기술개량연구. 夏晓东、刘满、石铁矛
19.한냉지구 저층주택의 구들난방과 통풍의 일체화설계연구. 이계문
20.구들의 전통적 생태지혜와 적합성 발전에 대한 분석. 李绥 石铁矛
http://jz.sjzu.edu.cn/cn/conference/lianxi-K.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