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공정무역, 인권, 환경등의 가치가 강조되면서 윤리가 새로운 기업 경쟁력 요소로 부각되고 있음
- 소비자는 품질, 가격, 기능이 별로 차이 나지 않는 상황에서 제품이 얼마나 윤리적으로
만들어졌는가를 마지막 구매 결정 기준으로 삼는 추세
- 또한 건강, 환경, 안전이라는 항목별로 제품이 얼마나 윤리적인지를 점수로 보여주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도 나타남 (ex: GoodGuide, Good Shopping)
O 과거에는 단순한 사회공헌활동(CSR)이면 충분했지만 사람들은 일회성 마케팅 차원의
사회공헌활동에 더이상 감동받지 않음
- 기업은 윤리적 소비에 대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주로 CSR조직을두고 기부활동이나 자원봉사를 펼침
- 하지만 이러한 기업의 봉사활동은 시민단체나 종교단체 등과 비교하면 차별성이 없고,
많은기업이 CSR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니 소비자눈에는 기업을알리는 이벤트 정도로만
인식될 수 있음
O 윤리적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3단계 전략을 구체적 으로 실천해 볼 수 있음
① 1단계: 기업의 현재 사업활동이 윤리적으로 올바른지부터 철저하게 점검
- 도요타는 바닥매트 리콜 사태로 인해 좋은 품질과 적절한 가격의 '착한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한순간에 망가뜨리고, 윤리적인 소비자들이 등을 돌림
- BP도 2010년 4월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해 윤리적 이미지 손상
- 기업은 윤리적 소비자를 사로잡겠다고 CSR 프로그램을 고민하지만, 먼저 자사의 사업활동부터
윤리적인지 점검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자사뿐만 아니라 협력사도 점검 범주에 포함시켜야 함
② 2단계: 윤리적 소비자를 유인할 수 있도록 제품 경쟁력을 높여야 함
- 탐스슈즈(TOMS Shoes)는 고객이 신발 한 켤레를 살 떄마다 저개발국가에
신발 한 켤레를 기부하는 사업모델로 성공
- 이후 많은 기업이 탐스슈즈식 사업모델을 도입했지만 제품경쟁력이 뒷받침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실패
- 탐스슈즈는 독창적인 디자인, 다양한 색상, 가벼운 소재, 편리성과 같은 소비자들이 좋아할 만한
경쟁력을 갖췄기 때문에 착한기업이라는 이미지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었음
③ 3단계: 윤리적 활동을 본업의 경쟁력 강화와 연계시키고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해야 함
- 유니레버는 지속가능한 생존계획(Sustainable Living Plan)을 발표하고 본업에 연계된 윤리적 활동을
통해 1년여만에 본업인 식품사업과 개인위생용품 사업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성과 창출
- 유니레버는 라이프부이(Lifebuoy)비누를 7개국에 출시하면서 해당 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하루 다섯번
손을 씻자는 스쿨오브 파이브(School of Five) 캠페인을 전개
- 이를 통해 위생 수준을 높이고 질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 베트남에서는 비누 매출이 4% 증가
- 유니레버와 같이 윤리적 활동을 본업에 연계에 수행할 때 기업은 고객확보, 제품혁신, 비용절감 등의
효과를 거두고 소비자의 마음을 잡을 수 있음
- 윤리적 활동은 전사 전략과 연계되어야 하고, 전략적 우선 순위에 따라 윤리적 활동을 신중하게
선별하여 추진해야 함
- 또한 장기간에 걸친 명확한 계획과 목표를 수립하고, 중간 과정을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지속적으로 실행시키는 장치를 마련해야 함
[ * 출처: 매경MBA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