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 마다 다른 이로운 잡곡, 해로운 잡곡
내 체질에 맞는 잡곡 선택하는 방법
다음라이프 |착한가게 | 입력 2014.08.11 17:30 | 수정 2014.08.11 17:32
몸에 좋은 6가지 잡곡 분석
1. 현미(玄米. 현미. 糙米<조미>. 糲米<여미>. 메조미쌀, 핍쌀. brown rice, unpolished rice, half-polished rice, coarse rice, hulled rice)
현미는 대부분의 사람에게 맞는 음식이지만 열이 많은 사람은 과하지 않아야 한다. 현미에는 食餌纖維(식이섬유, dietary fiber)와 생리활성 물질, 비타민E 등이 豐富(풍부)하다. 때문에 大腸活動(대장활동)을 돕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주어 血管疾患(혈관질환, vascular disease)을 豫防(예방, prevention)하고 抗酸化作用(항산화작용, (antioxidation activities))에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糖尿(당뇨. diabetes), 癌(암. cancer), 肝疾患(간질환. liver disease) 예방에도 좋다.
2. 기장(黍.서, 粢. 자, 黍稷.서직. millet)
肺(폐. lung)와 脾臟(비장, spleen)에 좋고 기를 補充(보충, complement)한다고 알려져 있다. 식이섬유와 비타민B가 백미보다 풍부하여 암세포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단백질(蛋白質, protein), 마그네슘, 칼슘, 炭水化物(탄수화물, carbon hydrate)이 풍부하다.

3. 조(粟.속. German[Italian] millet, foxtail millet)
뼈가 신경 쓰이는 분들께 推薦(추천, recoomendation)한다. 조에는 칼슘이 풍부하여 성장기 아이들이나 骨多孔症(골다공증, osteoporosis)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消化不良(소화불량, indigestion, dyspepsia)에도 좋고, 수용성 비타민(water-soluble vitamins)이 있어 성인병 예방과 疲勞回復(피로회복, fatigue recovery, recovery from fatigue )에 좋다.
4. 콩(大豆. 대두. bean)
각종 成人病(성인병, adult disease)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콩은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乳房癌(유방암, breast cancer)을 예방하는 이소플라본이 풍부하여 천연 여성 호르몬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5. 팥(小豆. 소두. adzuki bean, red bean)
차가운 성질을 가진 팥은 몸이 잘 붓는 體質(체질, constitution)에게 추천한다. 팥에는 수분을 배출(排出, excretion)하는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便秘(변비. constipation)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脂肪(지방, fat)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
6. 수수(蜀黍. 촉서. African[Indian] millet)
수수는 老化(노화, aging)를 예방하고 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수수에는 白米(백미, polished rice, milled rice)보다 많은 비타민 B2와 마그네슘, 단백질, 칼슘이 있으며 타닌과 페놀성분이 있어 活性酸素(활성산소, active oxygen, oxygen free radical)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기침과 感氣(감기, cold) 같은 氣管支炎(기관지염, bronchial catarrh, bronchitis)에 좋다.
체질과 잡곡공식(體質及 雜穀公式, constitution and coarse grain formula)
四象體質(시상체질, sasang constitution)로 보면 소음인에게는 찹쌀과 차조, 소양인에게는 붉은 팥, 태음인에게는 차수수와 검은콩이 좋다. 찹쌀, 차조는 성질이 따뜻하고 소화가 쉬워 속이 차고 소화 기능이 약한 소음인에게 좋지만, 열을 많이 생기게 하고 대변(大便, excrements, feces, ordure, number two)을 굳게 만들므로 소양인에게는 좋지 않다.
붉은 팥(赤豆, 적두, red bean)은 열을 내려주고 小便(소변, urine)을 圓滑(원활, smooth)하게 해주므로 열이 많고 신장과 방광이 약한 소양인에게 좋은 반면, 몸이 찬 소음인에게는 좋지 않다. 수수와 검은콩은 태음인에게 모자란 발산기능을 보강해서 폐기능을 원활하게 돕는 반면, 수렴 기운을 필요로 하는 태양인에게는 권장(勸獎, recommendation, encouragement)하지 않는다.
태양인
- 이로운 잡곡 : 멥쌀(秔米, 稉米, 粳米. 갱미. nonglutinous rice), 녹두(綠豆, mung bean, green gram), 검은콩(黑豆, 흑두. black bean), 들깨(荏子. 임자. perilla)
- 해로운 잡곡 : 수수(蜀黍, 촉서. African[Indian] millet)
소양인
- 이로운 잡곡 : 보리(大麥. 대맥, 麰麥. 모맥, 䵃麥. 굉맥, 樽實. 준실. barley), 팥(小豆. 소두. adzuki bean, red bean), 녹두(綠豆, mung bean, green gram), 참깨(芝麻. 脂麻. 지마, 胡麻(호마), sesame)
- 해로운 잡곡 : 찹쌀(稬米, 糯米. 나미, glutinous rice, sticky rice), 차조(朮. 秫, 출. glutinous millet)
태음인
- 이로운 잡곡 : 밀(小麥, 소맥. wheat), 기장(黍.서, 粢. 자, 黍稷.서직. millet), 수수(蜀黍, 촉서. African[Indian] millet), 현미(玄米. 현미. 糙米<조미>. 糲米<여미>. 메조미쌀, 핍쌀. brown rice, unpolished rice, half-polished rice, coarse rice)
- 해로운 잡곡 : 녹두(綠豆, mung bean, green gram), 들깨(荏子. 임자. perilla)
소음인
- 이로운 잡곡 : 찹쌀(稬米, 糯米. 나미, glutinous rice, sticky rice), 차조(朮. 秫, 출. glutinous millet)
- 해로운 잡곡 : 팥(小豆. 소두. adzuki bean, red bean), 밀(小麥, 소맥, wheat), 보리(大麥. 대맥, 麰麥. 모맥, 䵃麥. 굉맥, 樽實. 준실. barley), 녹두(綠豆, mung bean, green gram)
잡곡 관한 더하기 TIP
1. 보리(大麥. 대맥, 麰麥. 모맥, 䵃麥. 굉맥, 樽實. 준실. barley)
쌀보리(裸麥, 나맥, naked[hullless] barley)는 껍질을 벗겨낸 것으로 알이 둥글며 밥을 해 놓으면 쌀처럼 희다. 늘보리는 알이 약간 길쭉한 데 늦게 익으므로 미리 삶았다가 밥을 짓는다. 차진 찰보리는 보리밥(麥飯, steamed [boiled] barley)에 부드러운 맛을 더한다.
2. 콩
단백질과 不飽和脂肪酸(불포화지방산, unsaturated fat쇼 acid)이 풍부하고 解毒作用(해독작용, detoxication, detoxification)을 해 신장(腎臟, kidney)과 간 기능을 도와준다. 밤콩(栗豆, 병아리콩, 이집트콩, garbanzo, chick-pea, Bengal gram), 강낭콩(稨. 변, kidney bean, haricot, French bean), 완두콩(豌豆, 완두, 苕 초. pea), 서리태(鼠리太) 등에 이어 쥐눈이콩(鼠目太, 서목태. 穭豆, 여두. 약콩, black-eyed pea)이라 부르는 약콩이 인기. 마른 콩은 낟알이 굵고 둥근 것, 배꼽(脖胦, 발앙, navel, omphalos)가운데 한 일(一)자 모양의 갈색 선이 뚜렷하게 보이는 것이 좋다.
3. 팥(小豆. 소두. adzuki bean, red bean)
脂肪(지방, fat)이 적고 곡류(穀類, grains) 중 비타민B1의 含量(함량, content)이 가장 많다. 팥은 낟알이 고르며, 색이 선명하고 부서진 게 없고 흰색 띠가 뚜렷한 것이 좋다. 팥은 수분 흡수가 잘 되지 않으므로 미리 1~2시간 불렸다가 따로 삶아서 사용한다.
4. 차조(秫.출)
열을 다스리고 大腸(대장, large intestines)을 이롭게 하며 산후회복과 糖尿(당뇨. diabetes), 貧血(빈혈. poverty of blood)에 좋다. 차조는 녹색에 가까운 노란색을 띤 것, 낟알이 작고 약간 납작한 것으로 크기가 일정하며 낟알의 무게가 가벼운 것을 고른다.
사진기사 제공_착한가게(http://www.ekklim.co.kr)
------------------------------------------------------------------------------
들깨 : 荏子(임자), 山紫蘇(산지소), 臭蘇(취소), 犬屎薄(견시박), 犬屎蘇(견시소), 皺紫蘇(추자소), 尖紫蘇(첨자소), 水蘇麻(수소마), 水荏(수임), 油麻(유마), 野荏(야임). 日本紫蘇(일본자소), 家蘇(가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