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秋夕)의 유래(由來)와 풍습(風習)
추석(음력 8월15일)
삶이 아무리 어렵고 힘겨워도 이날만큼은
예쁜 옷 입고 결실의 느낌을 만끽해 보십시오.
조상임도 기뻐할 정성껏 차린 차례 상과 음식들 즐겁기만 합니다.
추석(秋夕)은 중추절(仲秋節, 가배(嘉俳),가위, 한가위라고도 한다.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명절 중에서 가장 풍성한 때이다.
유래(由來)
추석을 '한가위'라고도 해요.
'한'이란 크다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란 뜻입니다.
그러니까 8월의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란 뜻이지요
가위'란 신라 때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신라 유리 왕 때 여자들을 두 패로 갈라서
베를 짰는데 한 달 뒤 결과를 봐서 승패를 결정했습니다.
진 편은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잔치로 갚음을 했는데
여기서 '가배'란 말이 나왔고 나중에 '가위'란 말로 변했다고 합니다.
그 후로 한가윗날 베를 짜는 풍습은 오랫동안 지켜져 내려왔습니다.
유래(由來)는 고대사회의 풍농제에서 기원 했으며 일종의 추수감사 절에 해당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유리왕 때 6부(六部)의 여자들을 둘로 편을 나누어 두 왕녀가 여자들을 거느리고 7월 기망부터 매일 뜰에 모여 밤늦도록 베를 짜게 했다.
8월 보름이 되면 그동안의 성적을 가려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장만 하여 이긴 편에게 대접했다. 이 때 회소곡(會蘇曲)이라는 노래와 춤을 추며 놀았는데 이를 "가배(嘉俳)"라고 불렀다. 고려시대에도 추석 명절을 쇠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국가적 으로 선대 왕에게 추석제(秋夕祭)를 지낸 기록이 있다.
풍습(風習)
추석은 옛날부터 설날과 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꼽혔습니다.
새로 나온 과일과 곡식으로 상을 차려 차례를 지내고 산소에 성묘를 했습니다.
농사일로 바빴던 일가 친척들이 모처럼 함께 모여 음식을 나눠 먹고 놀이도 했습니다.
특히 시집간 딸이 친정 어머니와 중간에서 만나
가져온 음식을 나눠 먹으면서 회포를 푸는 중로상봉을 하기도 했습니다.
추석은 풍성함을 감사하고 나누는 날이라
아무리 가난한 사람도 떡을 빚어 나눠 먹었습니다.
그래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란' 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1518년(중종 13)에는 설, 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정해지기도 했다.
추석 아침에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서 여름비에 무너진 무덤 보수와 벌초를한다.
조상 상에 바치는 제물은 햇곡으로 준비하여 먼저 조상에게 선보이며,
1년 농사의 고마움을 조상에게 전한다.
성주, 터주, 조상단지 같은 집안 신(神)들도 햇곡식으로 천신(薦新) 하며 추석 치성을 올린다.
또 반보기의 풍습도 있었는데,
반보기란 시집간 여자가 친정에 가기 어려워 친정부모가 추석 전후로 사람을 보내 만날 장소, 시간을 약속하여 시집과 친정 중간쯤에서 만나는 것이다. 지금은 이 풍습이 없어졌지만 추석 뒤에 음식을 장만하여 친정에 가서 놀다오게 한다. 추석은 지금까지도 우린 민족의 고유한 명절로 자리잡고 있어, 추석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찾아간다..
음식
추석, 하면 뭐니 해도 송편입니다.
멥쌀가루를 뜨거운 물에 반죽해서 속에 깨나 팥, 콩, 밤 등을 넣어 반달 모양으로 빚습니다.
쪄서 찬물에 헹군 다음 참기름을 고루 바르면 완성입니다.
추석 전날 온 가족이 모여 송편을 만들죠.
송편을 예쁘게 빚으면 예쁜 아기를 낳는다고 해서 정성을 다해 빚습니다.
이 때는 추수가 끝나 새로 난 곡식과 과일 등이 풍성해 다양한 햇 음식을 먹습니다.
음식의 종류로는
송편, 토란탕, 닭찜, 배숙, 햇밤, 송이 회, 송이버섯 탕, 송이산적, 송이밥, 화양 적,
청포묵 전, 감자전, 모듬나물 부침, 삼색 전, 느타리버섯산적, 녹두부침 등이 있습니다.
<虛心>
수확철이라 다양한 음식이 선보이며 추절시식(秋節時食)이라 하여 햅쌀로 송편을 빚고 송편을 만들며 무나 호박을 넣은 시루떡도 만든다. 찹쌀가루를 쪄서 찧어 떡을 만들고 콩가루나 깨를 묻힌 인병(引 餠), 찹쌀가루를 쪄서 꿀을섞어 계란처럼 만든 율단자(栗團子)도 만들어 먹었다.
놀이
전국적으로 여러 가지 놀이가 있습니다.
호남 남해안 일대의 강강술래, 전국적인 소먹이 놀이, 소싸움, 닭싸움,
소놀이, 거북놀이, 줄다리기, 가마싸움 등은 풍년을 축하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요즘에는 언제부터 생겼는지 불꽃놀이를 많이들 합니다.
추석에는 정월 대보름보다는 작지만 풍성한 민속놀이도 행해졌다.
씨름, 소놀이, 거북놀이, 줄다리기 등을 즐긴다.
<동국제시기>에 의하면 제주도 풍속에는 조리희(照里戱)라 부르는 줄다리기, 그네, 닭잡는 놀이인 포계지희(捕鷄之戱) 같은 놀이가 있다.
*우리의 고유 명절 추석(秋夕)을 며칠 앞 두고 "추석의 유래와 풍속" 에 대하여 음미해 보고자 간략하게 올려봤습니다!!
고유의 명절인 추석(秋夕)
"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인 음력 팔월 보름날이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햅쌀로 송편을 반달모양으로 빚고 햇과일로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내는 풍습이기도 하지요. "
예전엔 추석 때만 되면
고향으로 돌아가는 사람들로 고속도로가 꽉 막히기도 하였죠?
풍성한 마음을
"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
풍성하고 여유로운 마음과
넉넉한 마음으로 깊은 정도 나누고 화목한 사랑도 나누시고요
정겨운 얼굴 기다리는
고향에 가실 때는 마음의 선물 사랑이 가득 담아가시고요
귀향길과 귀성길 "안전운전"하시고요
풍성하고 넉넉한 추석명절 되셨으면 합니다
우리 님들!
한가위 명절 즐겁고 화목한 맘으로
일상생활에 돌아오실 때는 웃음 가득히
행복 보따리 가득 담아 오세요.^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