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력이 위 아래로 물량을 대어놓고 방향을 결정하는데,
아래로 가기위한 자전이 있고, 위로 올리기위한 자전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장중 호가창의 움직임을 보며 설명이 가능한데,
글로 표현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설명이 힘듭니다.
아래글이 대략 이해되는지 보십시요
위로 매도호가에 5만주(대형물량)을 대어놓고, 2만5천주를 자기들이 사들입니다.
나머지 2만5천주는 일반 어리버리한 개미들이 매수합니다.
그러면 세력들 자기들 물량을 줄이면서 주가는 올라가는 모습이 되는 겁니다.
이런 현상이라면 올라가다가 어느시점에서 툭하고 떨어지지요. 여기서 개미들이 물립니다.
반대로 매수호가에 5만주를 대어놓고 2만5천주를 부으면 어리버리 개미들이 2만5천주를 따라서 겁이나니까 매도합니다.
그러면 5만주 매집이 된 상태지요. 세력물량이 늘어납니다.
첫째는 주가를 올려팔기위한 자전이고, 두째는 사기위한 자전매집이 되는 것입니다.
호가창을 보면 장중 저가와 고가를 잡아낼수가 있다
분차트를 당연히 병행하여 살피지만 분차트만으로 고점 저점을 잡는 사람들은 중수이고 구식입니다.
호가창만 보아도 고점과 저점을 알 수 있고, 떨어지는 호가창인지 오르는 호가창인지 알 수 있습니다.
호가창에 매도물량이 많으면 올라갑니다. 반대로 매수물량이 많으면 내려가는 호가창입니다.
고점은 통상 대형물량이 쌓여있는 가격이 단기고점이고 심리적인 고점인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가 1000원인데 1050원에 예를들어 5만주(대형물량)가 쌓여있다. 그까지는 올라갑니다.
여기서 제가 수급이 붙었다는 말과 함께 물량을 줄이고보자 수익관리를 하자는 가격대일 겁니다.
반대로 현재가 1000원인데 950원에 대형매수대기물량이 있지요. 깨는 경우가 통상 많습니다.
그 이하에서 장중저점이 형성되는 경우가 좀 더 많다 이겁니다. 이것은 일률적이지 않습니다.
분차트상 아침저점을 이탈하고 추세를 이탈시키며 끌어올리는 경우가 있듯이..
현재는 초보들도 호가창을 잘 보기에 역이용하는 경우(대형매수잔량가격을 깨지않고 위로간다)
도 있습니다만, 모두 초보라고 생각을 하고 기본적으로 호가창 보는법을 설명하는 겁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