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행복지수 146개국 중 59위…1위 핀란드, 2위 덴마크
작년 62위…미국 16위, 대만 26위, 일본 54위, 중국 72위
<2019∼2021년 합산 지수 기준, 2022년 최근 발표자료>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한국의 행복지수가 146개국 중 59번째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18일(현지시간)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 세계 행복보고서'(2021 World Happiness Report)를 공개했다.
SDSN은 2012년부터 국가 국내총생산(GDP), 기대수명, 사회적 지지, 자유, 부정부패, 관용 등 6개 항목의 3년 치 자료를 토대로 행복지수를 산출해 순위를 매겨 왔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의 행복지수는 5.935점으로 60위인 필리핀(5.904)이나 61위 태국(5.891)보다는 높았지만, 57위 아르헨티나(5.967)나 58위 그리스(5.948)보다는 낮았다.
한국 행복지수 59위
59위인 한국은 GDP나 기대수명 항목에서는 수치가 높았지만, 나머지 항목이 이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SDSN이 발표한 2018∼2020년 합산 순위에서 한국은 전체 149개국 중 62위(5.845점)이었다.
한국은 2016년 58위, 2017년 56위, 2018년 57위, 2019년 54위를 기록했다.
올해 발표된 행복지수 순위에서 1위는 7.821점을 받은 핀란드였고 덴마크(7.636점), 아이슬란드(7.557점), 스위스(7.512점), 네덜란드(7.415점)가 뒤따랐다.
북미권에선 캐나다(7.025점)와 미국(6.977점)이 각각 15, 16위에 올랐고, 유럽 주요국 중에선 영국(6.943점)이 17위, 프랑스(6.687)가 20위를 기록했다.
동아시아 국가 중에선 대만(6.512점)이 26위로 순위가 가장 높았다. 일본(6.039점)은 54위, 중국(5.585점)은 72위에 올랐다.
러시아(5.459)는 80위, 아프가니스탄은 2.404점으로 146위를 기록했다.
[그래픽] 세계 주요국 행복지수 순위 <2019∼2021년 합산 지수 기준, 2022년 최근 발표자료>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zeroground@yna.co.kr
출처: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319003300072?input=1195m
세계최고 핀란드는 8점 만점에 7.8
우리나라는 5.8로 일본 5.9보다 낮아
가장 행복하지 않은 국가는 아프가니스탄 2.5
<2018∼2020년 합산 지수 기준, 2021년 발표자료>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는 어디일까? 행복하다는 기준이 무엇인지는 사실 논란이 없지않다. 행복한 돼지와 고민하는 인간 중 누가 더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가 더 행복하다고 생각하는지 하는 것은 중요한 관심꺼리의 하나이다.
<2018∼2020년 합산 지수 기준, 2021년 발표자료>
세계행복지도 / 비주얼캐피털리스트
모든 것을 비주얼이 뛰어난 인포그래픽으로 보여주는 ‘비주얼 캐피털리스트’ (Visual Capitalist)는 최근 대륙별로 가장 행복한 국가와 가장 불행한 국가를 표시하는 지도를 발표했다. 이 행복지도는 ‘세계행복리포트 2021’(World Happiness Report 2021)가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세계행복보고서는 전세계 156개 국가의 행복 수준을 매겼다. 이를 바탕으로 비주얼캐피털리스트는 딱딱한 보고서를 한 눈에 보기 쉬운 지도에 그래픽을 입혀 표현한 것이. 이 지수에서 최상의 행복은 8이고 최저의 행복은 2이다.
<권역별/국가별 행복지수>
[북미 대륙권]
캐나다가 7.1
미국이 7.0 세계 16
멕시코 6.3
코스타리카 7.1
북미의 행복지수가
전체적으로 다른 대륙대비 높은 편이다.
우리나라가 5.8 로
북미대륙은 전체적으로 우리나라보다
높은 편이다.
[남미 대륙권]
브라질이 6.3
콜롬비아 6.0
아르헨티나 5.9
볼리비아 5.7
페루 5.8
페루와 우리나라 행복지수가 같은 지수이며,
아르헨티나보다도
우리나라 행복지수가 낮은 이유는 뭘까.
[유럽 권]
핀란드 7.8
독일이 7.2
영국이 7.1
프랑스가 6.7
스페인이 6.5
이탈리아가 6.5
스웨덴이 7.4
핀란드 7.8로 2년째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로 우뚝 섰다.
현재 전쟁중인 우크라이나가 4.9로
유럽에서는 제일 행복지수가 낮은 편이다.
러시아의 행복지수는 5.5이다.
서유럽은 전체적으로 경제규모도 좋고
행복지수도 높은 편이다.
[중동권 및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이 6.2
사우디 아라비아 6.5
파키스탄 4.9
터키 4.9
카자흐스탄과 사우디 아라비아를 제외하고는
우리나라보다 행복지수가 낮다.
카자흐스탄의 행복지수가
우리나라보다 높게 나온다.
[동아시아권 및 오세아니아]
한국 5.8
일본 5.9
중국 5.3
대만 6.6
필리핀 5.9
베트남 5.4
인도네시아 5.3
싱가포르 6.4
태국 6.0
몽골 5.7
인도 3.8
호주 7.2
뉴질랜드 7.3, 호주 7.2로 최상위권 이다.
우리나라는 5.8이다.
일본은 우리와 비슷한 5.9 이다.
일본도 경제규모 대비 행복지수는 낮은 편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행복하지 않은 국가는 인도가 꼽혔다. 행복지수 3.8로 세계 140위이다.
아시아권에서
일본/대만/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호주/뉴질랜드 등 많은 국가가
우리나라보다 행복지수가 높다.
[아프리카 대륙권]
아프리카의 행복지수는 세계 평균에서 19.2%가 낮다.
[출처] 우리나라 행복지수와 국가별 행복지수(https://blog.naver.com/isc3340/222664617733)
- 내용은 2021년 발표자료 기준 임.
행복지수라는 자료가 모든것을 다 대변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위의 2021년 발료자료나 가장 최근의 2022년 발표자료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그리 긍정적이진 않구나.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단기간에 엄청난 경제발전을 이룬 반면에,
상대적으로 행복지수는 아시아권에서도 낮은편이며,
중동과 아프리카 대륙을 제외한 전세계에서 경제위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편이다.
이제 우리도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통한 경제발전과 더불어 ,
국민 개개인이 행복해질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며
다른 국가대비 왜 우리나라 행복지수가 낮은지
행복지수를 높일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고민해봐야할 때가 아닌가 싶다.
우리 대한민국은 단기간에 경제발전은 이루었지만, 사회전반에 결코 바람직하지 못한 측면도 다수 존재함을 부인하긴 어렵다.
수단과 방법을 안가리고 오로지 결과만을 추구하고 그 성과를 당연시하는 사회적 도덕불감성,
사회전반의 부와 권력의 양극화 심화현상,
단편적 잣대로 일렬로 줄세우는 학벌위주의 숨막히는 경쟁 사회 조성,
정치세력화를 통한 힘가진자들의 무법적인 집단적 이기주의 행태,
사회공동체를 외면하고 나만이 우선이라는 개개인의 극도의 개인이기주의 풍조,
공정성과 공평성이 무시되는 편가르기식 내로남불 이중적 정치적 사고논리,
비정상 구조의 비현실적 주거비용과 기본적인 자녀 양육및 교육비용의 폭증,
부정부패와 안이한 국가재정 낭비에 따른 국가부채와 국민혈세의 증가,
청년 실업의 증가와 생산고용 인구의 감소 추세,
세대별 갈등/젠더별 갈등/사회 집단간의 갈등과 이해충돌 문제 등등 해결해야할 문제점들이 제법 보인단다.
우리 국민들이 보다 행복해 질수 있는 대한민국의 발전방향을
다함께 토론해 보길 바란다.
첫댓글 맞습니다ㅠ 아직까지 대한민국은 개개인부터 스스로 행복해지는 방법을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현재 치열한 취업시장에 뛰어든 저역시도요,, 행복지수가 높은 핀란드의 경우 높은 세율의 세금을 걷지만 그를 통해 수준높은 교육과 복지로 국민들이 치열한 경쟁을 하지 않아도 원활하게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나 저소득층에겐 높은 관심과 지원으로 빈부격차를 줄여 국민 모두가 삶을 여유있게 즐기며 살아간다는 점에서 아직까지 한국은 복지의 사각지대의 빈틈이 많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사각지대를 국민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국가가 나서서 개선해 나간다면 더 나은 대한민국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ㅎㅎ
주희가 댓글 토론 일빠구나~
앞으로 본인이 게시글로 올리고 또 다른 학우 게시글에 댓글도 달며 적극적으로 참여해 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