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적 묘사
2. 설명적 묘사와 암시적 묘사
| A) | [‥‥‥ ] 네 번째, 큰 지리적 사실은 이 군도(群島)가 두 개의 큰 호형(弧形: 활모양)으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바깥쪽은 석회석의 호형이고, 안쪽은 화산석의 그것이다. 석회석의 지역은 낮고, 화산석의 지역은 비교적 높거나 매우 높다. 몇몇 섬은 석회석과 화산석의 두 가지 모양을 다 갖고 있다. -스미스, 필립, 「北美」⁶
|
B-1) | B) | 그는 한 손으로 담배를 흔들면서, 굵은 반지가 끼여 있는 가운데 손가락 밑의 살갗 이 엷게 변해 있는, 다른 쪽 손바닥을 편채, 호레이스의 얼굴 앞으로 내밀었다. 호레이스는 그 손을 잡고 흔든 다음 놓아주었다. "옥스포드에서 기차를 탈 때 알았습니다만, 좌우간 좀 앉을까요?" 하고 말하는 그의 다리는 이미 호레이스의 무릎과 닿고 있었다. 그는 외투─푸르스름한 재생 모직에다 기름기가 번지르한 벨벳깃이 달린-를 좌석 위에 벗어던지고 앉았다. 그러자 기차가 멈추었다. "그럼요, 나는 언제나 친구와 만나기를 좋아하지요. 언제나.....” 그는 호레이스
|
B-2) | | 의 맞은편에서 허리를 굽혀 창밖을 응시했다. 규모가 작고 지저분한 정거장, 게시판에 백묵으로 무엇인가 씌어져 있었으나 알 수 없었다. 화물차 안에 쓸쓸해 보이는 철망 닭장 속의 두 마리 닭, 작업복을 걸친 사나이 서넛이 벽에 기대어 껌을 씹으며 시름없이 앉아 있었다. “물론 선생께서야우리 고장에 더 있지 않겠지만, 한번 사귄 사람은 언제나 친구인 법이지요. 어디에 투표하는 말입니다. 친구는 친구니까 그가 나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든 없든 말입니다." 그는 불을 붙이지 않은 담배를 손가락 사이에 끼고, 몸을 뒤로 젖혔다. -W. 포크너, 「聖所」⁷
|
A)는 지리적 특성을 열거하여 일정한 대상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설명적 묘사expositional description이다. B)는 A)와는 또 다르다. B)는 포크너의 소설의 한 토막이지만 고딕체로 된 부분은 묘사문이고, 나머지는 서사문이다. 그러나 B)의 고딕체로 된 묘사문도 그 성격이 다르다. B-1)은 서사, 즉 이야기의 전개를 돕는 설명적 묘사이고, B-2)는 서사에 묶여 있지만 B-1)과는 또 다른 암시적 묘사suggestive description의 특성을 발휘하는 부분이다. B-2)는 차가 멈춘 정거장에 대한 정보 제공이 목적이라기보다 정거장에 관한 지배적 인상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배적 인상은 대상의 성질을 암시한다.
규모가 작고
지저분한 정거장
게시판에 백묵으로
무엇인가 씌어져 있었으나
알 수가 없었다.
화물차 안에 쓸쓸해 보이는
철망 닭장 속의 두 마리 닭,
작업복을 걸친 사나이 서넛
벽에 기대어 껌을 씹으며
시름없이 앉아 있었다.
그러므로 이렇게 다른 형식으로 적으면 분명히 드러나듯이, 이 소설의 한 부분은 한적한 어느 시골 정거장의 풍경을 그린 시로 바뀐다. (시는 이런 것이 아니라 전혀 다르고, 또 다른 곳에 있다는 식의 사고는 관습적 인식의 하나이다. 작품이 좋든 그렇지 않든 그건 나중의 문제이지만, 시의 형식을 빌려 표현하면 그것은 모두 시이고, 이 소설 속의 한 토막도 담백한 풍경이다.) 그것은 B-2)가 지닌 암시적 묘사의 성격 때문이다. 즉 규모가 작고 지저분한 정거장, 게시판에 쓰인 백묵 글씨, 화물차 안의 철망 닭장 속의 닭 두 마리, 무료하게 껌을 씹으며 일감을 기다리는 작업복 차림의 사내, 이들은 이 초라한 정거장 뒤에 숨겨진 삶을 암시하는 특정한 의미의 정황(情況)⁸인 것이다. 시가 주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암시적 묘사이다.
--------------------------------------------------
6 J. R. Smith, M. O. Phillips, “North America," Modern Rhetoric, P. 166에서 재인용.
7 W. Faulkner, “Sanctuary," Modern Rhetoric, p. 171에서 재인용.
8 situation: 이 용어는 설명이 필요하다. 시의 분석을 위해 필자가 임의로 사용하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은 김춘수의 시를 보자.
a) 한 아이가 나비를 쫓는다.
b) 나비는 잡히지 않고
나비를 쫓는 그 아이의 손이
하늘의 저 透明한 깊이를 헤집고 있다.
c) 아침 햇살이 라일락꽃잎을
흥건히 적시고 있다. -「라일락 꽃잎」
이 시를 하나의 국면aspect으로 볼 때, 이 시의 국면은, a, b, c라는 3개의 시적 정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편의 작품이라는 큰 구조 속의 작은 구조들인 이것들은, 그 구조를 살피고 그 특징들을 분명히 하는 분석의 적용에 도움이 된다.
『현대시작법』 오규원
2024. 11. 13
맹태영 옮겨 적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