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나라 사신단이었던 서긍은 1123년 고려에 한 달 간 머무르면서 보고 들은 각종 고려의 문물을 고국으로 돌아가 [선화봉사고려도경]이라는 책으로 엮었다. 그 책의 내용 중 “고려인들은 청색도기를 일컬어 비색이라고 부른다” 라고 되어 있어, 비색이라는 명칭이 이미 고려 때부터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송나라 태평노인(太平老人)은 [수중금]에서 “고려비색이 천하제일”이라고 기술하여 당시 중국까지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이 알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서긍이 목격하고 태평노인이 극찬했던 고려비색은 바로 참외 모양 병과 같은 수준의 유색을 보고 언급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몸통이 참외 형태로 생긴 병은 중국의 송대 자주요, 경덕진요, 요주요 등에서 제작되어 유행하였으며, 11세기 후반~12세기 전반에 걸쳐 고려청자 제작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개성에서 출토된 경덕진요 청백자 참외 모양 병과 비교해 보면 중국의 것은 목이 짧고 굽이 낮으며 전체적으로 양감이 풍부한 데 반해, 이 병은 전체적인 비례와 조화미가 뛰어나다.
청자 참외 모양 병과 함께 인종 장릉의 것으로 전하는 청자로는 청자 잔과 뚜껑, 청자 합, 청자 받침대가 있다. 이들은 모두 단정한 형태에 과도한 장식 없이 비색 유약이 깔끔하게 시유되어 있어 12세기 전반 고려왕실의 청자 취향을 잘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