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목시기와 방법
(가) 접목시기
감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깎기접을 한다.
따뜻한 남부지방에서는 4월상순부터 4월중순에 실시하고,
중북부지방은 4월중순경에 대목에서 새싹이 나오기 시작하는 시기
즉 수액이동이 시작해 절단면에 습기가 머문 때를 확인하여 접목한다.
접수보관이 잘되면 보다 늦은 5월에 접목하여도 활착과 모의 생육에는
큰 지장이 없다.
눈접은 8월하순부터 9월상순에 실시하나 활착률이 낮고,
풋가지접은 8월중순경에 실시하지만 여물지 못하여 월동중 동해를 받기 쉽다.
짜개접 및 나무껍질밑에 붙이는 피하접은 깎기접과 같은 시기에 실시하고,
대목이 커서 깎기접이 곤란한 나무 또는 큰 나무의 품종을 갱신하고자 할 때 하는 접목방법이다.
(나) 접목방법
접목하기 전 보관한 접수를 확인하고 전정가위, 접칼, 비닐테이프,
도포제(밀납, 발코트) 등을 준비한 후 다음 순서대로 접목한다.
① 접수의 손질
실제 접목에 쓰이는 접수는 충실한 눈이 1~2개 붙은 4~5㎝ 길이의 것이
필요하므로 저장한 긴 접수를 4~5㎝로 짧게 잘라 밑부분을 비스듬히 깎아내고
반대편을 목질부가 약간 보이게 형성층 양편이 평행이 되도록 2.5㎝정도
밑으로 깎아 가볍게 입에 물고 대목손질에 들어간다.
② 대목의 손질
지면으로부터 4~5㎝ 높이에서 가위로 자르고 매끈한 쪽을 택하여 접칼을 써서
2.5㎝ 깊이로 쪼개어 접수의 형성층과 대목의 형성층에 서로 맞닿도록
끼워 넣은 후 비닐테이프(두께 0.03㎜, 넓이 3~4㎝)를 이용하여
밑으로부터 윗쪽으로 돌려감아 묶어 접목을 끝낸다.
접목이 끝난 후 접수의 수분증발과 병해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제인 밀납이나 발코트를 접수 절단면에 고르게 발라준다.
③ 접목 후의 관리
접목 후 3~4주가 지나면 접목부에 새로운 형성층이 생겨 활착이 되고
접수와 대목에서 새 눈이 신장하게 된다. 대목에서 나오는 눈은 접수의 눈보다
먼저 나오고 세력이 커서 접수의 발아와 발육을 방해하므로
곧바로 제거하여 접수발육을 돕도록 한다.
접목때 감아준 비닐테이프는 6월중순경 풀어서 다시 가볍게 묶어 접목부위가
잘룩하게 되지 않게 해주고 지주를 세워 바람에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가뭄이 계속될 때는 때때로 물을 주되 과습하지 않도록 배수구를 설치한다.
모가 웃자라거나 연약하지 않도록 거름주기에 주의하고, 검썩음병과
검은별무늬병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살균제를 뿌려 철저히 방제한다.
-------접수보관-------
신문지에 접수를 싸서 냉장 보관할때는 비닐을 싸서 해주세요.
그리고 땅속 40센티 깊이에 묻어도 됩니다.
요령은 같습니다. 여름에도 냉장보관된 접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나무에 물이 오르는 시점에 접을 붙이는게 적기입니다.
... 접수체취시기 ...
1. 오얏나무가 자두과라고 하며, 대목으로 일반 벗나무을 이용하면 된다는데 맞는지요?
답글 : "오얏나무 아래에서는 갓끈을 고쳐 매지 말라"는 속담이 있을정도로 맛있는 과일 나무 자두입니다.
벚나무와 자두나무는 둘다 장미과 나무 이므로 접목하면 활착이 잘됩니다.
2. 접목시기와 방법에대해 간략히 말씀해주셔요???
답글 : 나무가 물이 흐르기 전에 접목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3월 초순경이 접목시기가 아닌가 하네요~~
접순은 2월말에 채취하여 밀봉냉장 보관하면 됩니다.
장마시에 녹지접을 해보세요. 저는 공작단풍을 녹지접 해보진 않았으나
인근에서 공작단풍 녹지접을 하여 활착 시켜 판매하는 분이 있어서 몇번 보았지요.
겨울 가지를 여름장마에 접목하여도 좋습니다.
제 개인 생각으로는 겨울가지를 여름에 접목하고 물을 자주 공급하면 활착률이 좋을것 같습니다.
매실나무는 그리하여 많이 활착 시킵니다.
봄접이 실패할시 여름접을 하면서 물주기를 하면 왠만하면 활착이 되더군요.
삽목은 단풍에 물이 오르기전의 겨울가지를 잘라서 밀폐식 삽목을 해보십시오.
햇빛과 바람을 완전히 차단 시키고 보온덮게로 온도는 높여 줍니다.
한달정도 지난후에 벗겨 보세요.
질문하신 의도는 아마 녹지접과 눈접을 말씀 하시는것 같네요?
녹지접은 대목의 중간을쪼개어 접목하는데
이때 접목하기 전에 대목을 미리 잘라 주는게 좋습니다.
접목방에 자료가 있으니 참고하시고 접목후 나무가 수분을 많이 흡수 할수 있도록 물을 자주 주면 됩니다.
6월 중순경부터 8월 말까지 녹지접이나 눈접을 해 보세요.
우선 접목실패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 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야 다음에도 그와같은 실패가 없어야 합니다.
접목성공 요령은
1. 접수가 튼튼 해야 합니다.
2. 접수보관시 접수에서 수분이 빠져나가면 접목은 실패 합니다.
3. 대목과 접수 손질시 잘다는 칼로 표면을 깨끗이 잘라야 합니다.
접수시기와 기후 등을 보아가며 나무에 물이 흐르는시기에 접목한다면
접목 시도전 3-4일전에 대목을 미리 잘라서 물이 어느정도 증발하게 해 주어야 합니다.
4. 비오고 남후 바로 접목하면 실패율이 많습니다.
접목후 대목에서 나오는새순은 수시로 따줍니다.
5. 대목이 건조하지 않게 해주어야합니다. 즉 물을 자주 주어야 합니다.
꽃사과나무에 사과나무접목
우선 품종 좋은 사과 나무의 접순 채취를 하여 자른 단면에
물티슈로 감싸서 비닐 봉지로 밀봉하여 아이스 박스에 넣고
애기사과나무의 줄기 하단부에 눈접을 실시하여(접목방 공부)
활착하면 애기 사과나무를 자르면 그때부터는 사과나무가 됩니다.
그러지 않으면 고접을 할수도(접목방 참조)있습니다
나무는 낙엽이 지는 시기를 전후하여 뿌리로 물을 내립니다.
그때부터 이식을 많이 합니다.
가을엔 나무뿌리에서 많은 영양분을 위로 보내주어
나무가 살이찌고 성장하는것을 주도해 줍니다.
물이 내린다는것은 곧 휴면기를 뜻하는 것이지요.
대목과 접수가 완전히 목질화가 되지 얺으면 활착하기 힘듭니다.
그건 실행하면서 눈으로 직접 봐야 알아 지는것입니다.
도장지는 여름 신장기때만 아니면 접수로서 훌륭한 소재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