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지 계산법[60갑자] |
---|
干支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天干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
|
4 |
5 |
6 |
7 |
8 |
9 |
0 |
1 |
2 |
3 |
|
| |
地支(12)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쥐 |
소 |
범 |
토 |
용 |
뱀 |
말 |
양 |
원숭이 |
닭 |
개 |
돼지 | |
4 |
5 |
6 |
7 |
8 |
9 |
10 |
11 |
0 |
1 |
2 |
3 |
■천간(天干) -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 [10개]
■지지(地支) - 자(쥐), 축(소), 인(호랑이),묘(토끼), 진(용), 사(뱀), 오(말), 미(양), 신(원숭이), 유(닭), 술(개), 해(돼지) - [12개]
干支의 적용은 천간(天干)이 먼저 오고 지지(地支)가 나중에 옵니다. 천간에 있는 甲과 지지에 있는 子로 결합이 되죠(甲子). 그 다음은 천간의 乙과 지지의 丑이 결합되어 을축(乙丑)이 되며 이렇게 해서 60번이 돌아가면 끝이 납니다. 간지 적용의 맨 끝은 천간의 癸와 지지의 亥가 되어 계해(癸亥)가 되겠죠. 그래서 이를 60甲子라 합니다.
※六十甲子※
天干과 地支를 차례로 配合하여 60가지로 늘어놓은 것. 육십간지. 간지. 육갑이라고 한다. 육십갑자가 使用된 것은 B.C. 1766∼1123년에 걸친 商나라의 역대 왕들 이름이 太甲(태갑). 天乙(천을)등 十干의 글자로 된 이름이 많은 것으로 보아 이미 商나라 때 干支가 사용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간지는 中國 陰陽五行說과 結合하여 每事에 吉凶禍福을 점치거나 個人의 性格과 운세. 일진등을 살피기도 한다. 結合方法은 天干의 첫째인 甲과 地支의 첫째인 子를 붙여 甲子를 결합하여 순서대로 하나씩의 간지를 구하다 보면 60개의 간지가 나온 뒤 다시 甲子로 돌아간다.
본인이 태어난 해는 60년후에 다시 돌아오기 때문에 還甲 또는 回甲이라고 하는 것이다.
참고로 환갑 또는 회갑은 만으로 60세을 의미합니다.
2.60갑자 일람표
甲子 |
乙丑 |
丙寅 |
丁卯 |
戊辰 |
己巳 |
庚午 |
辛未 |
壬申 |
癸酉 |
甲戌 |
乙亥 |
丙子 |
丁丑 |
戊寅 |
己卯 |
庚辰 |
辛巳 |
壬午 |
癸未 |
甲申 |
乙酉 |
丙戌 |
丁亥 |
戊子 |
己丑 |
庚寅 |
辛卯 |
壬辰 |
癸巳 |
甲午 |
乙未 |
丙申 |
丁酉 |
戊戌 |
己亥 |
庚子 |
辛丑 |
壬寅 |
癸卯 |
甲辰 |
乙巳 |
丙午 |
丁未 |
戊申 |
己酉 |
庚戌 |
辛亥 |
壬子 |
癸丑 |
甲寅 |
乙卯 |
丙辰 |
丁巳 |
戊午 |
己未 |
庚申 |
辛酉 |
壬戌 |
癸亥 |
3. 간지 적용법 - 적용법은 1번에 있는 표를 참고할 것. 1) 천간의 적용법: 천간의 첫 번째 甲(갑)은 서기 연도의 끝자리가 항상 4가 된다. 다음에 오은 乙은 오가 되고 丙은 6이 된다.
2)지지의 적용법 :지지는 모든 숫자를 12로 나누고 나서 남는 숫자가 4이면 子가 된다. 5가 남으면 丑이 된다.
예) 1983년 생의 간지는?
풀이 : 먼저 연도에서 끝자리는 천간을 나타내므로 3은 천간에서 계가 되고 1983을 12로 나누어 남는 숫자는 3이 되므로 지지는 해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1983년 생의 간지는 癸亥년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