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축산(靈鷲山) 통도사(通度寺)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불보사찰 통도사
통도사는 신라시대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643년 자장율사는 당나라에서 부처님의 사리, 부처님이 입으셨던 가사, 대장경 등을 모셔왔다. 646년 무렵 자장율사는 통도사를 창건하고, 사리 일부와 가사를 봉안하였다. 그러므로 불보사찰인 통도사는 부처님 사리를 모신 적멸보궁이 중심이 된다. 이곳에서 불자들이 금강처럼 단단한 계를 받기 때문에 금강계단(金剛戒壇)이라 한다.
단지 부처님 사리를 모셨으므로 통도사를 불보사찰이라고 하는 것만은 아니다. 불보사찰이라는 이름에 맞는 사찰의 역사와 규모, 수행이 함께 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도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15교구의 본사이며 전국에 100여 개 말사와 해외에 10여 개 포교당을 관장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전각과 산내 암자는 통도사의 오랜 역사와 규모를 말해준다. 산내 암자로는 극락암·비로암·자장암·백운암·축서암·취운암·수도암·사명암·옥련암·보타암·백련암·안양암·서운암 등이 있다.
특히 통도사는 선원, 강원, 율원, 염불원을 갖춘 종합 수행 도량인 총림으로서 영축총림이라고 한다. ‘영축’이란 통도사가 위치한 산 이름이다. 영축산은 바로 석가모니부처님이 설법하셨던 인도의 영축산의 이름과 같다.
통도사 일주문에는 ‘영축산 통도사’, ‘국지대찰(國之大刹)’[나라의 큰 절], ‘불지종가(佛之宗家)’[부처님의 종갓집]이라고 적혀 있다.
통도사 창건 및 연혁
646년(선덕여왕 15)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산의 모양이 인도의 영축산과 모양이 매우 비슷하므로 영축산이라 한다. 옛 이름은 축서산(鷲棲山)[또는 취서산]이다.
통도사라는 절 이름에는 ① 전국의 스님은 모두 이곳의 금강계단(金剛戒壇)에서 득도(得度)한다[계를 받고 스님이 된다]는 뜻, ② 만법을 통달하여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 ③ 산의 형세가 인도의 영축산과 통한다는 뜻 등이 있다.
개산조(開山祖)[절을 창건한 분] 자장율사가 643년에 당나라에서 귀국할 때 가지고 온 불사리와 가사, 대장경 400여 함을 봉안하고 창건하였다.
“선덕왕 때인 정관(貞觀) 17년 계묘년(癸卯 643)에 자장율사가 모시고 온 부처님의 두골, 부처님의 치아 등 사리 100과와 부처님이 입으시던 비단에 금 점을 놓은 가사 한 벌이 있었는데, 그 사리를 3분 하여 한 몫은 황룡사탑에 두고 한 몫은 태화사탑에 두고, 한 몫은 가사와 함께 통도사 계단에 두었다. 나머지는 어디에 있는지 자세히 알 수 없다.”
『삼국유사』제3권 탑상(塔像) 제4 전후소장사리조(前後所將舍利條)
통도사는 불사리와 가사뿐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대장경을 봉안한 사찰이다. 자장율사는 계단(戒壇)을 쌓고 득도시켰다. 그리하여 통도사는 신라 불교의 계율 근본도량이 되었다.
창건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대찰이 아니고 계단[후에 금강계단으로 명칭]을 중심으로 몇몇 법당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짐작한다. 그 뒤 고려 초에는 사세가 더욱 확장되어 대규모로 증축되었다. 특히 현존하는 중요 석조물이 고려 초기 선종대에 조성된 것으로 볼 때, 사찰의 정비는 이때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 밖에 현존하는 목조건물은 모두 임진왜란 이후에 건립되었다.
통도사 창건 이야기
자장스님(590∼658)이 중국 종남산 운제사 문수보살상에서 기도하고 있었다. 그때 문수보살이 나타나서 부처님 가사 한 벌과 진신사리 100과 등을 주면서 말씀하셨다.
“그대의 나라 남쪽 영축산 기슭에 독룡이 사는 못이 있다. 그 용들이 비바람을 일으켜 곡식을 상하게 하고 백성을 괴롭히고 있다. 용이 사는 연못에 금강계단을 쌓고 불사리와 가사를 봉하라. 그러면 삼재를 면하게 되어 만대에 이르도록 불법이 전해지리라.”
그 후 자장율사는 귀국하여 선덕여왕과 함께 영축산 기슭 독룡이 사는 못에 이르렀다. 스님의 법력에 의해 용들은 허둥지둥 도망갔다.
다섯 마리는 상북면 외석리 뒤로 날아가다 떨어져 죽었다. 이 골짜기를 오룡골이라 부른다. 세 마리는 하북면 순지리 쪽으로 날아가다 떨어져 죽었다. 통도사 무풍한송길 용피바위는 그때 떨어진 용의 피자국이라고 한다. 한 마리는 눈이 멀어 떠날 수 없어 스님에게 사정하였다. 그 용을 위해 만들어 준 연못이 적멸보궁 옆 금강계단 앞에 있는 ‘구룡지’다. 구룡지는 아무리 가뭄이 심해도 물이 줄지 않는다고 한다.
자장스님(590∼658)
선덕여왕과 진덕여왕 대에 활동한 스님으로 진골 출신이다. 출가하여 산속에서 수행하던 중, 나라에서 재상 자리에 스님을 앉히려 하였다. 그러나 스님은 “내 차라리 계(戒)를 지키고 하루를 살지언정 계를 깨뜨리고 백 년을 살기를 원하지 않겠다.”라고 하며 거절하였다.
636년(선덕여왕 5)에 왕명으로 당나라에 갔다. 청량산에서 문수보살로부터 가사 한 벌과 사리 100과를 받았다. 643년(선덕여왕 12)에 경전 등을 가지고 귀국하였다. 분황사에 머물면서 왕궁과 황룡사에서 설법하였다. 황룡사에 구층탑을 세우도록 건의하였다. 스님은 불교의 정착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신라불국토설을 유포하였다. 오대산에서는 문수보살이 상주하며 설법하고, 황룡사는 호법룡이 수호하며 과거불인 가섭불이 좌선을 했던 곳이 남아있다는 설 등이다. 스님은 통도사 등 5대 적멸보궁에 부처님 사리를 봉안하였다.
통도사의 가람 배치
통도사의 가람은 냇물을 따라 동서로 길게 위치한다. 서쪽에서부터 가람 중심이 되는 상로전(上爐殿)과 중로전(中爐殿)·하로전(下爐殿)으로 이어진다.
(1) 상로전
상로전의 법당은 금강계단과 대웅전을 비롯하여 응진전, 명부전, 삼성각, 산령각, 일로향각이 있다.
대웅전은 丁자형의 특이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정면격인 남쪽에는 금강계단, 동쪽은 대웅전, 서쪽은 대방광전, 북쪽은 적멸보궁의 편액이 있다. 이 법당 바로 뒤쪽에는 통도사의 중심이 되는 금강계단 불사리탑이 있다.
응진전에는 석가삼존과 그 주위에 16나한상을 봉안하였다. 후벽의 탱화를 위시하여 내외 벽화는 주목되는 불화다.
명부전에는 지장보살과 시왕상·탱화를 봉안하였다.
삼성각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삼대화상(三大和尙)인 지공스님·나옹스님·무학스님의 영정을 봉안한 건물이다. 내부 측면에는 독성탱·칠성탱을 봉안하고 있다.
산령각은 산신을 모시고 있다.
(2) 중로전
중로전의 건물은 대광명전[보물], 용화전, 관음전, 해장보각(海藏寶閣), 개산조당, 장경각, 세존비각, 불이문, 요사[감로당, 원통방, 황화각] 등이다.
대광명전은 중로전에서 가장 웅장한 건물이다. 비로자나불상을 봉안하고 있다. 201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용화전은 미륵좌상을 봉안하였다.
관음전은 관음보살좌상을 봉안하였다.
해장보각은 절의 창건주 자장율사의 진영을 봉안한 조사당이다. 자장율사가 중국에서 귀국하면서 많은 경전을 가지고 와 절에 소장하였다. 이를 기념하는 건물이다. 해장보각이라는 이름은 경전이 바다 안 용궁에 보관되어 있었다는 인도 고래의 전설에서 유래하였다. 1727년 창건하였고, 1900년 중건하였다.
개산조당은 해장보각으로 통하는 문이다.
장경각은 경전 목판을 봉안한 건물로 해장보각 뒤에 있다. 운수사가 폐사되면서 옮겨온 경판이 보관되어 있다. 장경각에 있는 목조 경판은 『능엄경』·『기신론』·『금강경』·『부모은중경』 등 15종이 있다.
세존비각은 1706년에 건립된 석가여래 영골부도비의 비각으로서 불사리 계단에 대한 내력을 기록하고 있다. 비문에는 중국에서 자장율사가 가져온 불사리·가사 등에 관한 내용과 임진왜란 당시 사리 수호에 따르는 수난의 사실을 기재하였다.
(3) 하로전
하로전의 건물은 영산전, 극락전, 약사전, 가람각, 만세루, 범종각 등이 있다.
영산전은 하로전의 중심 건물로서 201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석가모니 불상과 팔상탱화를 봉안하였다. 팔상탱화는 1775년에 그린 것이며, 본존 후불탱은 1734년의 작으로 알려져 있다.
극락전은 아미타삼존을 봉안하였다. 1369년 창건하였으나 중건 사실은 전하지 않는다. 18세기 후반 건물 양식이다.
약사전은 극락전과 동시에 창건하였다. 약사여래상과 약사탱을 봉안하였다. 이 불화는 1775년에 조성되었다. 이 무렵에 약사전도 중건한 것으로 보인다. 뒷벽에는 반야용선이 그려져 있다.
가람각은 범종각 뒤쪽에 있는 작은 건물이다. 가람을 수호하는 가람신을 모신 전각이다. 1706년에 창건하였으나 지금은 근래에 중건한 모습이다.
(4) 통도사 삼문(三門)
일주문은 1305년(충렬왕 31)에 창건되었다. 현존하는 현판은 대원군의 필적이며, 기둥 좌우의 ‘불지종가 국지대찰(佛之宗家 國之大刹)’은 김규진의 글씨이다.
천왕문은 사천왕을 봉안한 문이다. 사찰수호 기능을 담당하는 곳으로 목조 사천왕이 각기 특징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불이문은 1305년에 창건되었다. 건물은 매우 단조로우며, 중앙에는 대들보 대신 코끼리와 호랑이가 서로 머리를 받쳐 지붕의 무게를 유지하는 건물이다.
통도사의 성보
중요한 석조 조형으로는 금강계단 상부의 석종형부도(石鐘形浮屠), 극락전 앞의 삼층석탑과 배례석(拜禮石), 용화전 앞의 봉발탑(奉鉢塔), 그리고 국장생석표[통도사에서 약 2㎞ 거리의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에 위치, 1963년 보물로 지정] 등을 들 수 있다.
향로, 범종, 불화 등 나열하면 놀랄 정도로 수많은 성보물이 있으며, 대부분 성보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통도사 홈페이지 참조
http://www.tongdosa.or.kr/bbs/content.php?co_id=menu0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