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 푸르던 내성천변이 단풍으로 갈아입더니 어느덧 앙상한 겨울을 맞이했다.
2011.12.4(일) 오후 2010.5월 이후 10번째 영주댐 현장을 찾았다.
평은면 소재지를 지나 역으로 가는 금광고개를 넘는다. 영주댐이 완성되면
이 고개마루 5m 아래까지 물이 찬다고 하니 그날의 풍광은 어떨지 궁금하다.
금광마을을 멀리서 보며 건널목을 건너고 강변도로를 따라 공사현장으로 향한다.
댐상류 지점에서 포크레인이 물길을 내고 모래를 쌓는다.
공사현장은 일요일이지만 덤프트럭이 분주히 오가고 있었고
대형 크레인이 작업을 하고 있었다.
공사현장 서편 오르막 새도로엔 가림막이 쳐져서 사진 찍기가 어렵다.
그래도 나무사이로 사진 몇 장을 찍고 진월사로 올라갔다.
그런데 미림마을 앞 중앙선 이설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깜짝 놀랐다.
지난 10월 초엔 조용했는데 오늘 보니 한밭집에다가 터널공사 준비 작업이
한창인듯 하다. 미림마을을 중심으로 안동방향과 영주방향 그리고 무섬마을
동편 내성천 등 세 곳에서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영주다목적댐은 경북 영주시 평은면, 이산면 일대의 총 8,797억원을 투입,
높이 55.5m, 길이 400m, 총저수량 18억 1,100백만㎡ 규모의 복합댐
(콘크리트 표면차수벽 석괴댐 + 콘크리트 중력댐)형식으로 건설되며,
2012년말 댐축조 완료를 목표로 지난 2009년 12월 착공했다.
현재 본댐 축조를 위한 유수전환 및 기초굴착 공사를 마무리 하고 댐을 쌓기
시작한 단계이다.
영주다목적댐은 향후 75백만㎡의 홍수조절용량을 보유, 내성천 및 낙동강 유역의
홍수 피해를 경감할수 있으며, 연간 203.3백만㎡의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댐 주변지역에 선비문화공원, 문화재 단지 등 여러 역사문화공간을 조성할
예정으로 영주에 새로운 관광명소가 태어날 것으로 기대가 크다.
영주댐 주변지역 정비사업 개요
▷ 위치:영주시 평은면, 이산면 일원
▷ 사업기간:2010-2020(10년간)
▷사업규모:댐 수몰선 반경 5Km 이내 개발사업
▷사업비:2,386억원(국비355, 시비562, 수공 375, 민자 1,096)
▷1단계:392억원(2011-2014)
영주다목적댐 주변지역 정비사업 조감도


댐 위 1Km 지점

물길과 모래

댐 서편 우회 임시도로와 가림막

진월사에서 내려다 본 댐 현장/임시 물막이 시설이 보임

임시 물막이 시설과 유수전환 터널

댐공사 지원시설(레미콘 공장)과 자갈, 모래 야적장

댐 맡바닥 발전시설(?) 시공 중

공사현장 자새히 보기
콘크리트 위에 또 철근이 올라가고 있다.

댐 주변 전경

대형 펌프카

주변 도로

자세히 살펴보면 매우 복잡한 구조물과 사람과 트럭과 철근과 펌프카가 보인다.
중앙선 이설공사 현장

영주시 평은면 미림미을

공사 안내

미림마을에서 영주방향 터널 공사 현장/위쪽 흰부문이 터널이 날 자리인듯

미림마을에서 안동방향 터널 공사현장

중앙선은 미림마을 서편으로 지나간다.

중앙선 이설공사/무섬마을 뒷쪽 내성천과 서천 합류지점에서 내성천 방향 다리공사
좋은 소식 GNπ http://blog.daum.net/lwss0410/
첫댓글 너무 좋은 정보를 올려 놓으셨군요
저도 몰랐던 공사현장을 덕분에 아주 상세히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
초암님 덕분에 좋은 정보를 잘보고 갑니다
진월사까지 다녀 오시는라 고생 하셨습니다
백봉 선생님, 문화의집, 로도대박님 격려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영주댐 공사가 시작되고 2-3개월마다 현장을 취재하였습니다. 영주댐 준공 무렵에는 공사 진행 과정을 단계별로 편집 공개하고 전시해 볼 예정입니다.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