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釋 奠 大 祭
원주향교 전교가 추계석전대제에 참석한 내빈께 인사말씀을 ....
◈ 석전대제(釋奠大祭)
향교에 있어서 빼 놓을 수 없는 한 가지는 바로 제사(祭祀)이다.
즉 만세종사(萬歲宗師)이신 공부자께서 남기신 인(仁).의(義).도(道)
.덕(德)의 이상을 근본(根本)으로 삼아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효제충신(孝悌忠信)의 실천과 수재치평(守齋治平)의 도리(道理)를
천명(天明)함에 있어 배사모성의 예로서 성균관(成均館)을 비롯한 전
국 향교(鄕校)에서 석전(釋奠)을 봉행한다.
옛날 제기(祭器)를 사용하여 헌관(獻官)이 제복(祭服)을 입고, 생폐
(牲幣) 예제(例祭)와 자성 서품을 헌설하여, 성대히 행례함으로서 예
술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원형이 잘 보존되
어 있는 제례 행사로 문화재적 가치가 커서 중요문화재 제85호로 지
정되어 있다.
본래 문묘(文廟)는 고구려 소수림왕 2년(서기 372년)에 설립한 태학
(太學), 신라의 국학(國學), 고려의 국자감(國子監), 조선의 성균관
(成均館) 등 국립대학의 구내에 건립하여 우리나라에서 주관하는 오례
의(五禮儀) 중 길례(吉禮)편에 속하는 국가적 대사(大事)인 석전대제
(釋奠大祭)를 지내는 성균관은 유일한 민족대학(民族大學)이며 유교
(儒敎)를 근본이념(根本理念)으로 인재(人才)를 양성해 온 교육기관이
다.
비록 조선 중기 이후 향교가 교육의 기능을 상실하여 서원(書院)에
그 역할을 넘겨주기는 했지만 향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능의 하
나인 제향(祭享)의 역할은 우리나라 민족의 혼(魂)으로 21세기인 지
금 까지도 계승(繼承) 발전(發展)하고 있다.
석전(釋奠)이란 원래 산천(山川)이나 사당(祠堂),그리고 학교에서
조상(祖上)을 추모(追慕)하기 위해 드리던 제사(祭祀) 의식(儀式)을
말한다. 하지만 산천이나 사당에서 드리는 제사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학교에서 드리는 것은 석전(釋奠) 하나 뿐이었으므로 점차 학
교의 제사(祭祀) 의식(儀式)만을 말하게 되었다.
석전대제(釋奠大祭)는 매년 봄, 가을 즉 5월 11일 공부자(孔夫子)
기일(忌日)과 9월 28일 공부자 탄강일(誕降日)을 기하여 성균관(成均
館)을 위시한 전국 234개의 향교(鄕校)에서 일제히 경건하게 봉행(奉
行)하고 있다.
그밖에 지방 향교마다 유림(儒林)들이 모여 매달 초하루와 보름,
한 달에 두 번 분향례(焚香禮)라는 간단한 제사를 봉행(奉行)하고 있
다.
◈ 향교석전의 진행
1. 전폐례(奠幣禮) : 초헌관이 신위전에 폐백(幣帛)을 올리는 의식.
2. 초헌례(初獻禮) : 초헌관이 신위전에 첫 술잔을 올리고 대축이 고축
하는 의식
3. 아헌례(亞獻禮) : 아헌관이 신위전에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의식.
4. 종헌례(終獻禮) : 종헌관이 신위전에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의식.
5. 분헌례(分獻禮) : 분헌관이 각 종향위 신위전에 잔을 올리는 의식.
6. 음복례(飮福禮) : 초헌관이 음복위에서 음복잔을 마시는 의식.
7. 철변두(徹邊豆) : 대축이 제물를 거두는 의식.
8. 망료례(望燎禮) : 초헌관이 망료위에서 축문과 폐백을 태우는 의식.
초 헌 례
아 헌 례
종 헌 례
◈석전대제 제관 및 제 집사
1. 초헌관(初獻官) : 대제를 드릴 때 오성위(五聖位)에 술을 세 번
올리는데, 그 중 첫 번째로 올리는 제관이다.
성균관의 경우 왕이나 왕세자, 정승 등이 초헌관
을 하였다. 향교에서는 지방의 수령(도지사,
시장, 군수)이 올린다.
2. 아헌관(亞獻官) : 두 번째로 술을 올리는 제관이다.
3. 종헌관(終獻官) : 세 번째로 술을 올리는 제관으로 보통 전교(교
장)가 초헌관을 한다.
4. 분헌관(分獻官) : 오성위(五聖位) 이외의 배향(配享)한 분들께
술을 올리는 제관(祭官)으로 동종향분헌관(東
從享分獻官),서종향분헌관(西從享分獻官)이라
한다.
5. 도제관(都祭官) : 제례를 주관하여 준비하고 제례행사를 주관(主
管)한다.
6. 집 례(執 禮) : 홀기를 불러서 행사를 진행하는 제관이다.
7. 대 축(大 祝) : 축문(기도문)을 읽는 제관이다.
8. 진 설(陳 設) : 제수, 즉 제사 음식을 배치하는 제관이다.
9. 봉 향(奉 香) : 향을 드는 제관으로 봉로와 함께 입장한다.
10. 봉 로(奉 爐) : 향로를 드는 제관으로 봉향과 함께 입장한다.
11. 사 준(司 樽) : 술을 따라 봉작에게 넘겨주는 제관이다.
12. 봉 작(奉 爵) : 술잔을 사준에게 받아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에게 올리는 제관이다.
13. 전 작(奠 爵) :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에게 잔을 받아서 5성 신위
에 잔을 올려놓는 제관이다.
14. 알 자(謁 者) : 헌관을 도와 길을 인도하는 제관이다.
15. 찬 인(贊 人) : 축문을 읽는 대축을 인도하는 제관이다.
◈ 석전제(釋奠祭) 오성위(五聖位) 진설도(陳設圖)
신 위 ( 神 位 )
우팔두 (右八豆) 좌팔변 (左八邊)
魚醢 芹菹 醓醢 魚鱐 榛子 鹿脯 어해 근저 탐해 어숙 진자 녹포
簋黍 簠稻 궤서 보도
筍菹 鹿醢 黃栗 芡仁 순저 녹해 황률 검인
簋稷 簠梁 궤직 보양
兎醢 靑菹 韮菹 形鹽 乾棗 菱仁 토해 청저 구저 형염 건조 능인
燭 豕腥 폐비 羊腥 燭 촉 시성 幣篚 양성 촉
初獻爵 亞獻爵 終獻爵 초헌작 아헌작 종 헌작 |
◈ 제수(祭需) 설명과 장만하는 법
1) 변(邊) : 마른 제수를 담는 대나무로 만든 제기(향교는 8가지 제수)
① 어숙(魚鱐) - 물고기 포(대구포로 대용)
② 진자(榛子) - 개암(잣으로 대용)
③ 녹포(鹿脯) - 사슴고기 포(쇠고기 육포로 대용)
④ 황률(黃栗) - 마른 밤
⑤ 검인(芡仁) - 가시 연밥의 열매(호도로 대용)
⑥ 형염(形鹽) - 마른 소금
⑦ 건조(乾棗) - 마른 대추
⑧ 능인(菱仁) - 마름(은행으로 대용)
2) 두(豆) : 젖은 제수를 담는 나무로 만든 제기(향교는 8가지 제수)
① 어해(魚醢) - 물고기 젓(소금에 절인 조기로 대용)
② 근저(芹菹) - 미나리를 아래와 위를 잘라 4치 크기로 실을 묶음
③ 탐해(醓醢) - 고기 국물(돼지고기 장조림)
④ 순저(筍菹) - 죽순을 아래 위를 잘라 4치 크기로 실로 묶음
(도라지로 대용)
⑤ 녹해(鹿醢) - 마른 노루고기(돼지고기 포로 대용)
⑥ 토해(兎醢) - 토끼 고기를 소금에 절임(쇠고기, 오징어로
대용)
⑦ 청저(靑菹) - 무를 4치 크기로 깍두기 형태로 썰음
⑧ 구저(韭菹) - 부추를 아래․위로 잘라 4치 크기로 실로 묶음
3) 보(簠, 유기 제기)에 담는 2가지 제수
① 보도(簠稻) - 벼(쌀로 대용)
② 보양(簠梁) - 기장(좁쌀이나 차좁쌀로 대용)
4) 궤(簋, 유기 제기)에 담는 2가지 제수
① 궤서(簋黍) - 수수쌀
② 궤직(簋稷) - 피쌀
5) 조(俎, 도마 제기)에 담는 희생(犧牲) 3가지 제수
① 우성(牛腥) - 소머리
② 시성(豕腥) - 돼지머리
③ 양성(羊腥) - 양고기(염소고기)
6) 갑(匣, 나무상자 제기) - 희생(犧牲)을 담음
7) 비(篚, 대나무 바구니) - 폐백을 담음
8) 작(爵, 유기 술잔) - 예제, 앙제, 청주를 따르는 술잔
9) 점(坫, 유기 그릇) - 술잔 받침
10) 희준(犧樽, 유기그릇) - 예제를 담는 술항아리
◈ 제 주 (祭 酒)
① 예제(醴齊) : 희준(犧樽)에 담아 초헌관이 올리는 술이다.
술이 다 되어 술과 찌꺼기가 서로 어우러진 첫술.
② 앙제(盎齊) : 상준(象樽)에 담아 아헌관이 올리는 술이다.
술이 다 되어 총백색(蔥白色)이 된 두 번째 걸은
술.
③ 청주(淸酒) : 산뢰(山罍)에 담아 종헌관과 분헌관이 올리는 술이
다.
겨울에 빚어 여름에야 익은 맑은 술.
④ 명수(明水) : 그늘진 곳에서 뜨는 것으로 달빛 아래의 물은 달
에서 나기 때문에 명(明)이라 하며 희준(犧樽)과
상준(象樽)에 담는다.
⑤ 현주(玄酒) : 물빛이 검게 보여 현(玄)이라 하였고 신뢰에 담는
다.
※ 술 항아리의 명칭
희준(犧樽) : 소의 형태를 한 술항아리
상준(象樽) : 코끼리 형태를 한 술항아리
산뢰(山罍) : 일반 술항아리
◈ 품차(品次)에 따른 제복(祭服)의 기준
品 階 (품 계) | 冠 帽 (관 모) | 革帶 (혁대) | 忽 (홀) | 綏 (수) | ||
色(색) | 文樣(문양) | 珼(패) | ||||
1 품(品) | 7 梁(양) | 玉 | 상아(象牙) | 錄.黃.赤.紫(4色) | 운봉 雲鳳 | 玉 |
2 품(品) | 6 梁(양) | 玉 | 상아(象牙) | 록.황.적.자(4색) | 운봉 雲鳳 | 金 |
3 품(品) | 5 梁(양) | 金 | 상아(象牙) | 錄.黃.赤.紫(4色) | 운학 雲鶴 | 金 |
4 품(品) | 4 梁(양) | 金 | 상아(象牙) | 錄.黃.赤.紫(4色) | 운학 雲鶴 | 金 |
5 품(品) | 3 梁(양) | 金 | 상아(象牙) | 錄.黃.赤.紫(4色) | 반조 盤雕 | 銀 |
6-7품(品) | 2 梁(양) | 銀 | 괴목(槐木) | 錄. 黃. 赤 (3色) | 연작 練鵲 | 銀 |
8-9품(品) | 1 梁(양) | 銅 | 괴목(槐木) | 錄. 黃. (2色) | 계칙 鸂鷘 | 銅 |
◈ 제복(祭服) 입는 법
가. 예복(禮服)은 바지저고리를 입고 버선을 신고, 대님을 매고, 행전
을 두르고 두루마기 까지 입는다.
나. 중단(中單)을 입는다.
다. 상(裳, 치마)을 붉은색 치마가 앞뒤로 가게 두른다. 중단에 달려
있다.
라. 흑삼(黑衫, 적삼)을 입는다.
마. 후수(後綬)를 흑삼 입은 위에 뒤로 가도록 두른다. 지금의 수에
대대(大帶)가 연결되어 있어 수가 뒤로 가도록 하고 앞에서 혁대
를 묶는다.
바. 혁대(革帶)에 패옥을 끼되 패옥을 양 옆으로 가게하며 흑삼 위에
착용한다. 이때 흑삼 양 겨드랑이 혁대 끼는 고리에 혁대를 고리
안으로 끼어 착용한다.
사. 금관(金冠)을 머리에 쓰는데, 눈썹 가까이 까지 눌러 쓴 다음에
술을 비녀에 걸쳐 내려뜨리며 비녀는 오른편이 머리로 왼편으로
꽂는다.
아. 제화(祭靴)를 신고 끈을 발등에 묶는다.
자. 홀(笏)은 굽어진 쪽이 앞으로 오게 잡고 의식에 임한다.
◈ 제례 참례자(參禮者)의 복장
가. 유건(儒巾) : 유건은 중국 연(燕)나라에서 가져왔는데 그 모양
은 니구산(尼丘山)을 상징하여 제작하였다고 한
다. 사계(沙溪) 김장생 선생은 유건은 삼가례
(三加禮)에 쓴다고 하였으니 이는 성인(成人)만
이 쓴 것을 의미한다.
성호사설(星湖僿說)에는 민(民)자 모양으로 생겼
다고 해서 민자건(民字巾)이라고도 한다.
나. 도포(道袍) : 도복(道服)이라고도 하며 의식이 있을 때는 물
론, 평상시의 의복으로서 남색사대(藍色沙帶,
푸른색 술띠)를 띄고 행전을 친다.
유생이 의식에 참여할 때에는 반드시 갖추어야
할 복식(復飾)이다.
다. 당의(唐衣) : 여성의 예복으로 한복 위에 입으며 빛깔은 초록이
나 연두색이며 자주색 고름을 달았고 고무신을
신는다.
라. 목화(木靴) : 도포를 입을 때 신는 목이 긴 신발이며 관복을
입을 때도 목화를 신으며 헌관은 붉은 줄, 제
집사는 흰줄이 있는 목화를 신는다.
마. 사대(紗帶) : 도포를 입고 가슴 쪽에 묶는 끈으로 정3품 이상
은 홍사대(紅紗帶, 붉은색 사대), 정4품 이하는
남색사대(藍色紗帶, 푸른색 사대)를 맨다.
향교 전교는 정3품으로 홍사대를 맨다.
바. 행전(行纏) : 바지저고리를 입고 정강이를 감아 무릎 아래에 묶
는다. 도포를 입을 때는 반드시 행전을 친다.
◈ 문묘(文廟) 배례(拜禮)와 거동(擧動) 예의(禮儀)
1. 서는 위치(位置序次)
- 남녀 공히 직임(職任)이 있는자는 맏은 임무의 위치에 선다.
- 그 밖의 참례자는 남자는 대성전을 보고 신도(神道)를 중심으로
오른쪽(東)에 여자는 왼쪽(西)에 신도를 상석(上席)으로 선다.
2. 거동하는 의례
가. 문묘 배례는 제관(祭官)은 곡 사배(曲 四拜)하고 일반인은 직
사배(直 四拜) 또는 국궁 사배한다.
- 남자 제관은 양 무릅을 꿇은 다음 일어서지 않고 네번 고두배
한다.
- 여자 제관은 공수한 손을 어깨 높이로 올린다음 양 무릅을 꿇
은 후 머리가 땅에 닿지 않토록 네번 굴신 배를 한다.
나. 참고로 선현을 배향한 서원은 재배(再拜) 또는 국궁 재배한다.
다. 읍(揖)은 공수한 손을 앞으로 들어 올리며 굴신 자세로 예를
표한 후 손을 내려 원 위치하면서 몸을 세운다.
- 상읍(上揖): 거수제안(擧手齊眼) - 눈 높이 까지 손을 올려읍
- 중읍(中揖): 거수제구(擧手齊口) - 입 높이 까지 손을 올려읍
- 하읍(하揖): 거수제심(擧手齊心) - 가슴높이 까지 손을 올려읍
- 읍례(揖禮): 남자는 상읍하고 여자는 굴신 례를 한다.
라. 부복(俯伏): 양손을 땅에 짚으며 허리를 굽혀 엎드린다.
마. 궤 (跪) : 무릎을 꿇고 앉는다.
바. 굴신(屈身): 상체의 몸을 앞으로 굽힌다.
사. 국궁(鞠躬): 상체를 숙이며 허리를 굽힌다.
아. 진퇴(進退): 예를 행할 장소 앞에서서 세 발걸음을 나가 꿇어
앉고 에를 마치면 평신한 후 세 발걸음 뒤로 물러
났다가 돌아서서 나온다.
자. 습급취족(拾級聚足): 계단을 오를 때는 오른발이 먼저 나가고
왼발을 따라 모으며 계단을 오르고, 내려 올 때는
왼 발이 먼저 나가고 오른발을 따라 모으며
내려온다.
차. 매문양어객(每門讓於客) : 門이나 계단을 통과 할 때는 읍을
하며 손님에게는 사양하는 예를 표한다.
카. 조계승강(阼階升降) : 제관은 동쪽 계단으로 오르고, 서쪽 계단
으로 내려온다.
타. 신삼문 대성전 출입(神三門 大成殿 出入): 신 삼문과 대성전을
출입할 때에는 동쪽 문으로 들어가고 서쪽문으로
나오며 가운데 문은 출입을 금한다.
파. 당상불추(堂上不趨) : 당 내에서는 빠른 걸음으로 걷지 않는다.
하. 집옥불출(執上不趨) : 귀중한 물건을 들었을 때는 뛰지 않는다.
거. 당상접무(堂上接武) : 당내에서 걸을 때는 발자취를 서로 붙게함.
너. 당하포무(堂下布武) : 평지에서 걸을 때는 당당하게 걷는다.
더. 수립불궤(授立不跪) : 서 있는 사람에겐 앉아서 주지 않는다.
러. 수좌불입(授坐不立) : 앉아 있는 사람에겐 서서주지 않는다.
머. 찬 창(贊 唱) : 남녀 절을 하기 위해 창 홀을 하는데
- 국궁(鞠躬)하면 - 몸을 숙이고
- 궤 (跪) 하면 - 꿇어 앉으며
- 배 (拜) 하면 - 굴신 고두하고
- 흥 (興) 하면 - 몸을 바르게 하여
- 평신(平身) 에 - 일어선다.
◈ 향교 석전홀기( 鄕校 釋奠笏記 = 석전봉행 순서)
- 전사관 묘사 입실 찬구필
典祀官 廟司 入實 饌俱畢
(전사관과 묘사가 들어가 제찬을 담아 갖추어 진설을 마치시오.)
- 알자 인 초헌관 승자 동계 점시 진설 흘 환출
謁者 引 初獻官 升自 東階 點視 陳設 訖 還出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동계로 올라가 진설한 찬품들을 점검하여
둘러보고 나오시오.)
- 집례급 묘사 선취 계간배위 북향서상 사배 흘 관수 취 위
執禮及 廟司 先就 階間拜位 北向西上 四拜 訖 盥手 就 位
(집례와 묘사는 먼저 계간배위로 나아가 서쪽을 상위로하여 북향해
4배하고 손을 씻은 다음 각기 위치로 나아가시오.)
- 알자 찬인 구취계간 배위 사배 흘 취위
謁者 贊引 俱就階間 拜位 四拜 訖 就位
(알자와 찬인은 계간 배위로 나아가 4배하고 제자리로 나가시오.)
□ 唱 笏(창 홀 : 홀기를 부른다. )
- 대축급 제 집사 입계 간 배위 북향 서 상입
大祝及 諸 執事 入階 間 拜位 北向 西 上立
(대축 및 제 집사는 서쪽계간 배위로 나아가 서쪽을 상위로 북향하여
서시오)
- 사배 대축이하 개 사배
四拜 大祝以下 皆 四拜
(사배하시오, 대축이하 모두 사배하시오 ※ 大祝唱笏)
- 대축급 제집사 예관 세위 관수 세수 각 취위
大祝及 諸執事 詣盥 洗位 盥手 洗手 各 就位
(대축과 여러 제 집사는 관세위에 나아가 손을 씻고 제자리로
나가시오)
- 묘사 급 봉향 봉로승 개비 개독 개개
廟司 及 奉香 奉爐升 開扉 開櫝 啓蓋
(묘사와 봉향 봉로는 오르시오. 문을 열고 주독을 열고 제기의
뚜껑을 열고 복지를 거두시오.)
- 봉향 봉로 강 복위
奉香 奉爐 降 復位
(봉향과 봉로는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대축 예전 향문전 봉축 판 향궤 인 예 향소
大祝 詣傳 香門前 奉祝 板 香櫃 引 詣 香所
(대축은 전향문에 나아가 축판과 향궤를 받들고 향소로 나아가시오)
- 강 복위
降 復位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알자인 헌관 급 유생 입 취위
謁者引 獻官 及 儒生 入 就位
(알자는 헌관과 유생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나아가시오)
- 알자 청 행사
謁者 請 行事
(알자는 헌관 좌측에 나아가 행사하기를 청하시오)
- 알자 진 초헌관지 좌백 유사 근 구 청 행사
謁者 進 初獻官之 左白 有司 謹 具 請 行事
(알자는 초헌과 앞으로나가 행사를 청하시오.)
- 사배 헌관이하유생재위 자개 사배
四拜 獻官以下儒生在位 者皆 四拜
(헌관이하 유생과 재위자 모두 사배하시오
: 알자창홀 鞠躬 拜 興 拜 興 拜 興 拜 興 平身)
□ 行 奠 幣 禮 (행 전폐례 : 전폐례를 행하시오)
- 알자 인 초헌관 예 관세위
謁者 引 初獻官 詣 盥洗位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시오)
- 진홀 관수 세수 집홀
搢笏 盥手 洗手 執笏
(홀을 꽂고 관수 세수하고 홀을 잡으시오)
- 인예 대성 지성 문선왕 신위전 북 향입
引詣 大成 至聖 文宣王 神位前 北 向立
(대성지성 문선왕 신위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시오)
- 대축 급 봉향 봉로 승
大祝 及 奉香 奉爐 升
(대축과 봉향봉로는 오르시오)
- 헌관 궤이 진홀
獻官 궤而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홀을 꽂으시오)
- 삼 상향
三 上香
(세 번 향을 피우시오)
- 대 축 이 페비 수 초헌관
大 祝 以 幣匪 授 初獻官
(대축은 패비를 가져다 초헌관에게 주시오)
- 초헌관 집폐 헌페 이 폐수 대축
初獻官 執幣 獻幣 以 幣授 大祝
(초헌관은 폐비을 헌폐하고 대축에게 주시오)
- 대축 전우 신위전
大祝 奠于 神位前
(대축은 신위 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구부리고 일어나시오)
- 차 예 복성공 신위전
次 詣 復聖公 神位前
(다음은 복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진홀
獻官 跪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삼 상향
三 上香
( 세 번 향을 피우시오)
- 대축 이 폐비 수 초헌관
大祝 以 幣匪 授 初獻官
(대축은 폐비를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집폐 헌폐 이 폐수 대축
初獻官 執幣 獻幣 以 幣授 大祝
(초헌관은 폐비를 받아 헌폐하고 대축에게 주시오)
- 대축 전우 신위전
大祝 奠于 神位前
(대축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구부리고 일어나시오)
- 차 예 종성공 신위전
次 詣 宗聖公 神位前
(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진홀
獻官 跪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삼 상향
三 上香
( 세 번 향을 피우시오)
- 대축 이 폐비 수 초헌관
大祝 以 幣匪 授 初獻官
(대축은 폐비를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집폐 헌폐 이 폐수 대축
初獻官 執幣 獻幣 以 幣授 大祝
(초헌관은 폐비를 받아 헌폐하고 대축에게 주시오)
- 대축 전우 신위전
大祝 奠于 神位前
(대축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구부리고 일어나시오)
- 차 예 술성공 신위전
次 詣 述聖公 神位前
(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진홀
獻官 跪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삼 상향
三 上香
(세 번 향을 피우시오)
- 대축 이 폐비 수 초헌관
大祝 以 幣匪 授 初獻官
(대축은 폐비를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집폐 헌폐 이 폐수 대축
初獻官 執幣 獻幣 以 幣授 大祝
(초헌관은 폐비를 받아 헌폐하고 대축에게 주시오)
- 대축 전우 신위전
大祝 奠于 神位前
(대축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구부리고 일어나시오)
- 차 예 아성공 신위전
次 詣 亞聖公 神位前
(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진홀
獻官 跪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삼 상향
三 上香
(세 번 향을 피우시오)
- 대축 이 폐비 수 초헌관
大祝 以 幣匪 授 初獻官
(대축은 폐비를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집폐 헌폐 이 폐수 대축
初獻官 執幣 獻幣 以 幣授 大祝
(초헌관은 폐비를 받아 헌폐하고 대축에게 주시오)
- 대축 전우 신위전
大祝 奠于 神位前
(대축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구부리고 일어나시오)
- 헌관이하 강 복위
獻官以下 降 復位
(헌관이하 제 자리로 돌아가시오)
□ 行 初 獻 禮( 행 초헌례)
- 알자 인 초헌관 예 대성 지성 문선왕 준소 서향입
謁者 引 初獻官 詣 大成 至聖 文宣王 罇所 西向立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대성지성문선왕 준소에 서향하고
서시오)
- 인 예 대성 지성 문선왕 신위전 북향 입
引 詣 大成 至聖 文宣王 神位前 北向 立
(대성지성 문선왕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하고 서시오)
- 헌관 궤 진홀
獻官 跪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봉작 전작 사준 승
奉爵 奠爵 司樽 升
(봉작,전작,사준은 오르시오)
- 사준 거멱 작 예제 이 작수 봉작
司樽 擧冪 酌 醴齊 以 爵授 奉爵
(사준은 뚜껑을 들고 예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작 이 작수 초헌관
奉爵 以 爵授 初獻官
(봉작은 잔을 받아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初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초헌관은 잔을 받들어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위전
奠爵 奠于 神位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소퇴 북향 궤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少退 北向 跪
(헌관은 집홀하고 일어나 조금 물러나 북향하고 꿇어 앉으시오)
- 대 축 승
大 祝 升 (대축은 오르시오)
- 대축 예 초헌관 지 좌 동향 궤
大祝 詣 初獻官 之 左 東向跪
(대축은 초헌관 왼쪽에 나아가 동향해 무릎 꿇고 앉으시오)
- 헌관 진홀
獻官 搢笏
(헌관은 진홀하시오)
- 헌관 급 유생 재위자 개 부복
獻官 及 儒生 在位者 皆 俯伏
(헌관과 유생 재위자는 전부 구부리시오)
- 독 축 문
讀 祝 文 (축문을 읽으시오)
(축문읽기를 끝냈습니다)
- 재위 자 개흥
在位 者 皆興
(재위자는 다 일어나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 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대축 강 복위
大祝 降 復位
(대축은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알자 인 초헌관 예 배위 준 소 서향 입
謁者 引 初獻官 詣 配位 樽 所 西向 立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배위 준소에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 인 예 복성공 신위전
引 詣 復聖公 神位前
(복성공 신위전으로 인도하여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집홀
獻官 跪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 멱 작 예 제 이 작수 봉작
司樽 擧 鼏 酌 醴 齊 以 爵授 奉爵
(사준은 뚜껑을들고 예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작 이 작수 초헌관
奉爵 以 爵授 初獻官
(봉작은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初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초헌관은 잔을 들어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
- 전작 전 우 신위전
奠爵 奠 于 神位前
(전작은 신위앞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 잡고 일어나시오)
- 차 예 종성공 신위전
次 詣 宗聖公 神位前
(다음은 종성공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집홀
獻官 跪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 멱 작 예 제 이 작수 봉작
司樽 擧 鼏 酌 醴 齊 以 爵授 奉爵
(사준은 뚜껑을들고 예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작 이 작수 초헌관
奉爵 以 爵授 初獻官
(봉작은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初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초헌관은 잔을 들어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
- 전작 전 우 신위전
奠爵 奠 于 神位前
(전작은 신위앞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 잡고 일어나시오)
- 차 예 술성공 신위전
次 詣 述聖公 神位前
(다음은 술성공 신위앞에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집홀
獻官 跪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 멱 작 예 제 이 작수 봉작
司樽 擧 鼏 酌 醴 齊 以 爵授 奉爵
(사준은 뚜껑을들고 예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작 이 작수 초헌관
奉爵 以 爵授 初獻官
(봉작은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初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초헌관은 잔을 들어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
- 전작 전 우 신위전
奠爵 奠 于 神位前
(전작은 신위앞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 잡고 일어나시오)
- 차 예 아성공 신위전
次 詣 亞聖公 神位前
(다음은 아성공 신위앞에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집홀
獻官 跪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 멱 작 예 제 이 작수 봉작
司樽 擧 鼏 酌 醴 齊 以 爵授 奉爵
(사준은 뚜껑을들고 예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작 이 작수 초헌관
奉爵 以 爵授 初獻官
(봉작은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初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초헌관은 잔을 들어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
- 전작 전 우 신위전
奠爵 奠 于 神位前
(전작은 신위 앞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 잡고 일어나시오)
- 알자 인 초헌관 강 복위
謁者 引 初獻官 降 復位
(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行 亞獻禮 (행 아헌례)
- 알자 인 아헌관 예 관세 위
謁者 引 亞獻官 詣 盥洗 位
(알자는 아헌관을 모시고 관세위에 나아가시오)
- 진홀 관수 세수 집홀
搢笏 盥手 洗手 執笏
(홀을 꽂고 관수세수하고 홀을 잡으시오)
- 인 예 대성 지성 문선왕 준소 서 향입
引 詣 大成 至聖 文宣王 罇所 西 向立
(대성지성문선왕 준소에 나아가 서향해 서시오)
- 인 예 대성 지성 문선왕 신위전 북향 입
引 詣 大成 至聖 文宣王 神位前 北向立
(대성 지성 문선왕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해 서시오)
- 헌관 궤 진 홀
獻官 跪 搢 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멱 작 앙 제 이 작 수 봉 작
司樽 擧冪 酌 盎 齊 以 爵 授 奉 爵
(사준은 뚜껑을 들고 앙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 작 이 작 수 아 헌 관
奉 爵 以 爵 授 亞 獻 官
(봉작은 잔을받아 아헌관에게 드리시오)
- 아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亞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아헌관은 잔을 받드러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 위 전
奠爵 奠于 神 位 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알자 인 아헌관 예 배위 준소 서향 입
謁者 引 亞獻官 詣 配位 罇所 西向 立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배위준소에 나아가 서향하고 서시오)
- 인 예 복성공 신위전
引 詣 復聖公 神位前
(복성공 신위전으로 인도하여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집홀
獻官 跪 搢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 멱 작 예 제 이 작수 봉작
司樽 擧 鼏 酌 醴 齊 以 爵授 奉爵
(사준은 뚜껑을들고 예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작 이 작수 아헌관
奉爵 以 爵授 亞獻官
(봉작은 아헌관에게 드리시오)
- 아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亞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아헌관은 잔을 들어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
- 전작 전 우 신위전
奠爵 奠 于 神位前
(전작은 신위앞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 잡고 일어나시오)
- 차 예 종성공 신위전
次 詣 宗聖公 神位前
(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으로 인도하여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진 홀
獻官 跪 搢 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멱 작 앙 제 이 작 수 봉 작
司樽 擧冪 酌 盎 齊 以 爵 授 奉 爵
(사준은 뚜껑을 들고 앙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 작 이 작 수 아 헌 관
奉 爵 以 爵 授 亞 獻 官
(봉작은 잔을받아 아헌관에게 드리시오)
- 아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亞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아헌관은 잔을받드러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 위 전
奠爵 奠于 神 位 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차 예 술성공 신위전
次 詣 述聖公 神位前
(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으로 인도하여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진 홀
獻官 跪 搢 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멱 작 앙 제 이 작 수 봉 작
司樽 擧冪 酌 盎 齊 以 爵 授 奉 爵
(사준은 뚜껑을 들고 앙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 작 이 작 수 아 헌 관
奉 爵 以 爵 授 亞 獻 官
(봉작은 잔을받아 아헌관에게 드리시오)
- 아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亞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아헌관은 잔을받드러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 위 전
奠爵 奠于 神 位 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차 예 아성공 신위전
次 詣 亞聖公 神位殿
(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으로 인도하여 나가시오)
- 헌관 궤 진 홀
獻官 跪 搢 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멱 작 앙 제 이 작 수 봉 작
司樽 擧冪 酌 盎 齊 以 爵 授 奉 爵
(사준은 뚜껑을 들고 앙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 작 이 작 수 아 헌 관
奉 爵 以 爵 授 亞 獻 官
(봉작은 잔을받아 아헌관에게 드리시오)
- 아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亞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아헌관은 잔을받드러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 위 전
奠爵 奠于 神 位 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알자 인 아헌관 강 복 위
謁者 引 亞獻官 降 復 位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行 終 獻 禮(행 종헌례 : 종헌례를 행하시오.)
- 알자 인 종헌관 예 관세 위
謁者 引 終獻官 詣 盥洗 位
(알자는 종헌관을 모시고 관세위에 나아가시오)
- 진 홀 관수 세수 집 홀
搢 笏 盥手 洗手 執 笏
(홀을꽂고 관수 세수하고 홀을 잡으시오)
- 인 예 대성 지성 문선왕 준소 서향 입
引 詣 大成 至聖 文宣王 罇所 西向立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대성지성 문선왕 준소에 나아가 서향해
서시오)
- 인 예 대성 지성 문선왕 신위전 북향 입
引 詣 大成 至聖 文宣王 神位前 北向 立
(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하고 서시오)
- 헌관 궤 진 홀
獻官 跪 搢 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멱 작 주 이 작 수 봉 작
司樽 擧冪 酌 酒 以 爵 授 奉 爵
(사준은 뚜껑을 들고 앙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 작 이 작 수 종 헌 관
奉 爵 以 爵 授 終 獻 官
(봉작은 잔을받아 종헌관에게 드리시오)
- 종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終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종헌관은 잔을받드러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 위 전
奠爵 奠于 神 位 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알자 인 종헌관 예 배위 준소 서향 입
謁者 引 終獻官 詣 配位 罇所 西向 立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배위준소에 나아가 서향하고 서시오)
- 인 예 복성공 신위전
引 詣 復聖公 神位前
(알자는 복성공 신위전으로 인도하여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진 홀
獻官 跪 搢 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멱 작주 이 작 수 봉 작
司樽 擧冪 酌酒 以 爵 授 奉 爵
(사준은 뚜껑을 들고 앙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 작 이 작 수 종 헌 관
奉 爵 以 爵 授 終 獻 官
(봉작은 잔을받아 종헌관에게 드리시오)
- 종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終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종헌관은 잔을받드러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 위 전
奠爵 奠于 神 位 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차 예 종성공 신위전
次 詣 宗聖公 神位前
(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으로 인도하여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진 홀
獻官 跪 搢 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멱 작 주 이 작 수 봉 작
司樽 擧冪 酌 酒 以 爵 授 奉 爵
(사준은 뚜껑을 들고 앙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 작 이 작 수 종 헌 관
奉 爵 以 爵 授 終 獻 官
(봉작은 잔을받아 종헌관에게 드리시오)
- 종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終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종헌관은 잔을받드러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 위 전
奠爵 奠于 神 位 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차 예 술성공 신위전
次 詣 述聖公 神位前
(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으로 인도하여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진 홀
獻官 跪 搢 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멱 작 주 이 작 수 봉 작
司樽 擧冪 酌 酒 以 爵 授 奉 爵
(사준은 뚜껑을 들고 앙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 작 이 작 수 종헌관
奉 爵 以 爵 授 終獻官
(봉작은 잔을받아 종헌관에게 드리시오)
- 종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終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종헌관은 잔을받드러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 위 전
奠爵 奠于 神 位 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차 예 아성공 신위전
次 詣 亞聖公 神位殿
(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으로 인도하여 나가시오)
- 헌관 궤 진 홀
獻官 跪 搢 笏
(헌관은 꿇어앉아 진홀하시오)
- 사준 거멱 작 주 이 작 수 봉 작
司樽 擧冪 酌 酒 以 爵 授 奉 爵
(사준은 뚜껑을 들고 앙제를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 작 이 작 수 종 헌 관
奉 爵 以 爵 授 終 獻 官
(봉작은 잔을받아 종헌관에게 드리시오)
- 종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終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종헌관은 잔을받드러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 위 전
奠爵 奠于 神 位 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헌관은 홀을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알자 인 종헌관 봉작 전작 강 복위
謁者 引 終獻官 奉爵 奠爵 降 復位
(알자는 종헌관, 봉작 전작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行 分 獻 禮(행 분헌례 : 분헌례를 행하시오.)
- 알자 인 분헌관 예 관세 위
謁者 引 分獻官 詣 盥洗 位
(알자는 각 분헌관을 안내하여 관세위에 나아가시오)
- 진 홀 관수 세수 집홀
搢 笏 盥手 帨手 執笏
(진홀하고 관수 세수하고 홀을 잡으시오)
- 알자 인 분헌관 예 종향 위 준소 서향 입
謁者 引 分獻官 詣 從享 位 罇所 西向 立
(알자와 찬인은 각각 분헌관을 종향위 준소에 인도하여 서향하고
서시오)
- 인 예 종향위 전
引 詣 從享位 前
(종향위전에 나아가시오)
- 헌관 궤 진 홀
獻官 跪 搢 笏
(헌관은 꿇어앉아 홀을 꽂으시오)
- 각 봉향 봉로 승
各 奉香 奉爐 升
(각 봉향과 봉로는 오르시오)
- 삼 상 향
三上香 (향을 세 번사르시오)
- 각 봉작 전작 사준 승
各 奉爵 奠爵 司樽 升
(각 봉작전작과 사준은 오르시오)
- 각 사준 거멱 작주 이 작수 봉작
各 司樽 擧鼏 酌酒 以 爵授 奉爵
(각사준은 뚜껑을 들고 술을 따라 봉작에게 주시오)
- 봉작 이 작수 분헌관
奉爵 以 爵授 分獻官
(봉작은 잔을받아 분헌관에게 드리시오)
- 분헌관 집작 헌작 이 작수 전작
分獻官 執爵 獻爵 以 爵授 奠爵
(분헌관은 잔을 받드러 헌작하고 전작에게 드리시오)
- 전작 전우 신위전
奠爵 奠于 神位前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 분헌관 집홀 부복 흥 평신
分獻官 執笏 俯伏 興 平身
(분헌관은 홀을 잡고 구부려 일어나시오)
- 알자 인 분헌관 각 봉향 봉로 봉작 전작 사준 강 복위
謁者 引 分獻官 各 奉香 奉爐 奉爵 奠爵 司樽 降 復位
(알자는 분헌관과 봉향 봉로 봉작 전작 사준을 안내하여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行 飮 福 (행 음복례 : 음복례를 행하시오.)
- 알자 인 초헌관 예 음복 위 서향 궤
謁者 引 初獻官 詣 飮福 位 西向 跪
(알자는 초헌관을 음복위에 안내하여 나아가 서향하고 꿇어앉으시오)
- 대축 예음 복위 헌관 지좌 북향 궤
大祝 詣飮 福位 獻官 之左 北向 跪
(대축은 음복위 초헌관 좌측에 나아가 북향하고 꿇어앉으시오)
- 전작 승
奠爵升
(전작은 오르시오)
- 전작 이작 복주 수 대축
奠爵 以爵 福酒 授 大祝
(전작은 음복잔을 대축에게 주시오)
- 대축 수 초헌관
大祝 授 初獻官
(대축은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수 작음 흘
初獻官 受 爵飮 訖
(초헌관은 잔을 받아 다 마시시오)
- 대축 수 허작 복 어 점
大祝 受 虛爵 復 於 坫
(대축은 빈잔을 받아 잔 놓는 자리에 놓으시오)
- 대축 이 조수 초헌관
大祝 以 俎授 初獻官
(대축은 도마에 고기를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 초헌관 수 조이 수 전작
初獻官 受 俎以 授 奠爵
(초헌관은 도마에 고기를 받아 전작에게 주시오)
- 전작 수 조강 자 동계 출
奠爵 授 俎降 自 東階 出
(전작은 도마의 고기를 받아 동편계단으로 나아가시오)
- 인강 복위
引降 復位
(다들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철 변 두
徹 籩 豆
(제물을 거두시오)
- 대축 승 철 변 두
大祝 升 徹 籩 豆
(대축은 올라가 제물을 거두시오)
- 대축 강 복위
大祝降復位
(대축은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사배, 헌관 이하 재위자 개 사배
四拜, 獻官 以下 在位者 皆 四拜
(一般鞠躬拜興...平身)(사배하시오,
헌관이하 재위자 모두 사배하시오)
□ 行 望 燎 禮 (행 망료례)
- 알자 인 초헌관 예 망료 위 북향 입
謁者 引 初獻官 詣 望燎 位 北向 立
(알자는 초헌관을 망료위에 인도하여 북향하여 서시오)
- 대축 이 비 취 축 판 급 폐 강 자 서 계 치 어 감
大祝 以 비 取 祝 板 及 幣 降 自 西 階 置 於 坎
(대축은 대바구니를 가지고 축판 과 폐백을 가지고 서쪽 계단으로
내려가 구덩이 앞에 놓으시오)
- 가료치 토반 감
可燎置 土半 坎
(불사르고 흙으로 반쯤 메우시오)
- 알자 인 초헌관 복위
謁者 引 初獻官 復位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대축 복위
大祝 復位
(대축은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알자 진 초헌관 지 좌 백 예 필
謁者 進 初獻官 之 左 白 禮 畢
(알자는 초헌관 좌측에 나아가 예를 마쳤음을 고하시오)
- 알자 인 헌관 출
謁者 引 獻官 出
(알자는 헌관을 안내하여 나아가시오)
- 봉향 봉로 승 개 독 개 비
奉香 奉爐 升 閉 독 閉 扉
(봉향 봉로는 오르시오, 주독과 문을 닫으시오)
- 묘사 급 봉향 봉로 강 자 서 계 복위
廟司 及 奉香 奉爐 降 自 西 階 復位
(묘사 및 봉향 봉로는 서쪽계단으로 내려 가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 대축 급 제집사 구복 계 간 배위 사배
大祝 及 諸執事 俱復 階 間 拜位 四拜
(鞠躬拜興...)(대축 과 여러 집사는 계간 배위로 나아가 다 같이
사배하시오)
- 대축 급 제집사 이 차출
大祝 及 諸執事 以 次出
(찬인은 대축 및 모든 집사를 인도하여 나아가시오)
- 집례 알자 구 복 계 간 배위 사배
執禮 謁者 俱 復 階 間 拜位 四拜
(알자와 집례는 다같이 계간 배위에서 사배하시오)
- 집 례 이 차 출
執 禮 以 次 出
(집례는 나아가시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