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대한민국 트렌드는 무엇이 될까. 매경이코노미는 ‘2016 매경 아웃룩’ 필자를 대상으로 2016년 한국 사회를 규정할 키워드를 설문조사했다. 그 결과 뽑은 단어가 ‘MIRACLE GEO(미러클 지오)’다. 기적을 의미하는 ‘미러클’과 지구 혹은 토양을 상징하는 ‘지오’의 합성어. MIRACLE GEO는 다시 10개의 키워드로 나뉜다.
Monthly Economy 월세 경제 첫 번째 키워드는 M, 즉 Monthly Economy (월세 경제)에서 나왔다.
전세 물량이 감소하면서 전세 거래는 줄고 월세 거래는 늘고 있다. 아파트의 경우 2015년 9월까지 누계 기준 월세 비중은 38.1%지만 아파트 외 주택은 48.9%에 이른다. 통계가 나와 있는 2011년 이후 최고치다. 1~2년 단위 임대차 계약에서 월 단위로 지급하는 게 일반화된 셈이다. 렌털 비즈니스 역시 모양새는 비슷하다.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로 물건을 사지 않고 빌려 쓰는 렌털족이 늘어나면서 월 단위 지급이 깊숙이 자리 잡았다.
Image 百‘文’이 不如一見 두 번째는 Image(이미지)의 I다. 스마트폰은 바야흐로 ‘이미지 시대’를 열어젖혔다. 구구절절한 글(text) 대신 직관적인 이모티콘이나 그림, 동영상으로 대화하는 게 일상이 됐다.
실제 카카오톡 이모티콘 스토어 방문자 수는 월평균 2700만명에 달한다. 카카오톡 이용자(월 3800만명) 10명 중 7명 이상은 한 달에 한 번 이상 이모티콘 스토어를 이용한다는 얘기다. 동영상 서비스 ‘유튜브’도 성장세가 매섭다. 유튜브에는 1분에 300시간 분량 동영상이 올라온다. 유튜브 방문자 수는 매년 40%, 동영상 시청시간은 50% 이상 증가하고 있다. 100개 문장보다 짧은 동영상 하나를 보여주는 게 더 나은, ‘백문(文)이 불여일견’ 시대가 온 셈이다.
Robot 1인 1로봇 시대 성큼 1950년에 쓰인 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 ‘나는 로봇이야(I, Robot)’에는 인간처럼 움직이는 다양한 로봇이 등장한다. 반세기 전 나온 이 이야기들이 지금 눈앞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드론. 태생은 군사용이었지만 장난감, 고공 촬영용, 운송용, 대기 측정용 등으로 범위가 확장 중이다. 무인차도 마찬가지다. 일본과 유럽, 미국 등 자동차 업체를 중심으로 무인차 개발 열풍이 분다. 우리나라도 현대·기아차가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2020년에는 무인차 출시가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Asia 고 투 아시아(Go to Asia) 2015년 상반기 한국 경제는 ‘메르스’라는 암초를 만났다. 메르스로 인한 경제 타격의 상당 부분은 요우커로 불리는 중국인 관광객의 감소 때문에 불거졌다. 실제 국내 유입되는 중국인 관광객은 해마다 늘어 2018년 1000만명을 바라본다.
한국 경제와 사회에 아시아의 중요성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중국뿐 아니라 동아시아 각국과의 관계 설정이 2016년에는 무엇보다 중요할 전망이다. 당장 한·중, 한·베트남 FTA(자유무역협정)가 국회에서 대기하고 있다. 북한은 2016년뿐 아니라 늘 최고 화두다. 전문가들은 새해에는 6자회담 개최 등 남북 간 화해 무드가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Cliff 성장절벽 한국 경제는 3% 미만 저성장, 2% 미만 저물가, 1%대 저금리 등 ‘3저 현상’이 고착화됐다. 매경이코노미는 성장 한계에 봉착한 경제 상황을 ‘성장절벽’이라고 규정했다. 더 이상 과거와 같은 확대, 팽창식 경제를 바라기는 힘들어졌다.
저성장이 피할 수 없는 숙명으로 다가오자 산업계에서도 새로운 고민이 생겨난다. 양적 팽창이 아닌 질적 향상을 노리게 된 것. 그간 ‘성장’이라 부르던 것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기준, 가치 부여가 필요해졌다. 핀테크, 빅데이터 같은 혁신이 신무기로 활용될 여지도 커졌다.
Leisure 일보다 여가 한국이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 성장했지만 그림자도 짙다. 주 50시간이 넘는 긴 노동시간이 대표적인 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주 5일제 전면 도입으로 생활에 여유가 생겼는데도 국민의 81.3% 이상은 여전히 피곤하다고 느낀다. 이에 따라 최근 먹고사는 생존의 문제를 넘어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일보다는 여가’ ‘저녁이 있는 삶’등이 대표적 슬로건이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일과 가정,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노력이 2016년에는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Experience Shopping 경험쇼핑 먹방·쿡방, 백화점 맛집 유치 경쟁, 자유여행, 체험형 매장….
요즘 국내 유통 업계 트렌드는 단연 ‘경험쇼핑’이다. 과거에는 소비자가 단순히 제품을 구매하는 데 그쳤다면, 요즘은 제품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가에 더 관심이 많다.
맛집 열풍은 이 같은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기존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맛을 찾는 맛집 탐방족이 급증했다. 이에 발맞춰 백화점 3사는 홍대, 이태원 경리단길 등 각 지역 맛집과 글로벌 디저트 브랜드 입점에 공을 들인다. 여행 업계에선 자유여행을 선호하는 흐름이 뚜렷하다. 소셜커머스 업계에 따르면, 자유여행 상품 판매율은 최근 2년 사이에 11배 이상 증가했다. 이 같은 ‘경험쇼핑’은 2016년에도 꾸준히 인기를 끌 전망이다.
Generation Conflict 사도 증후군 청년층과 노년층이 제한된 일자리와 복지 예산을 두고 신경전을 벌인다. 저성장과 고령화가 지속되며 나타난 현상이다. 매경 아웃룩은 이를 ‘사도 증후군’으로 명명했다. 아들을 뒤주에 가두고 죽음에 이르게 했던 영조와 사도세자의 부자 갈등이 최근 전 사회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판단이다.
세대 갈등은 다양한 분야에서 발견된다. 임금피크제를 통한 청년 일자리 확충 요구,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 제도 축소 논란, 기초노령연금에 대항하는 청년배당 도입 움직임 등이 대표적인 예다. 역사에선 사도세자가 영조의 권력에 속절없이 당했지만, 2016년 한국에선 청년세대의 일자리 요구 등 기성세대와의 힘겨루기가 그 어느 때보다 거세질 전망이다.
Sharing Economy 내 것인 듯 내 것 아닌 너 공유경제가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소비자들은 더 이상 목돈을 들여 제품을 구매하지 않고, 필요할 때만 잠깐씩 빌려 쓰는 것을 선호한다. IT기술 발달로 정보 교류가 활발해지고 거래 비용이 감소한 덕분이다. 또 저성장이 계속되면서 자산 가치가 오히려 감소하는 ‘디플레이션’ 시대로 접어든 것도 한 원인이다.
‘전세가 고공행진’ 현상이 대표적인 예다. 부동산 가격 상승이 둔화되면서 주택 구입(매매) 대신 전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자동차도 사지 않고 빌려 탄다. 카셰어링 서비스 업체 ‘쏘카’는 2014년 매출이 전년 대비 6배 증가한 147억원을 달성했다. 2016년에는 회사 설립 후 손익분기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Online 온라인·모바일 쇼핑도 이젠 손안에서 간편하게 이뤄지는 시대.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모바일 쇼핑 규모는 2014년 13조원에 달한다. 한국온라인쇼핑협회는 2015년에는 그 규모가 22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식품, 생필품뿐 아니라 가구, 가전까지도 모바일을 활용한 온라인 구매가 일반화됐다.
1인 가구 증가도 모바일 쇼핑의 기폭제가 됐다. 맞벌이 부부나 워킹맘 등 쇼핑할 시간이 여유롭지 않은 이들에게도 모바일 쇼핑의 매력이 더 크게 다가온다. 수시로 필요한 만큼 소비할 수 있는 모바일 쇼핑은 2016년에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출처) http://news.mk.co.kr/v2/economy/view.php?sc=50000010&cm=1831-cover&year=2015&no=1060660&selFlag=&related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