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서귀포에서 서쪽 해안을 돌아 제주로 가는 버스는 대정읍(大靜邑)에서 두 가지 길로 간다.
하지만 지나는 버스간격이 조금 크므로 그것을 가릴 여유가 없이 오는 버스를 탔다.
"대정읍성"(大靜邑城)이 있는 곳에서 내려야 하는데,
내가 탄 버스는 "대정읍사무소"앞에서 사계리(沙溪里)쪽으로 간단다.
지도로 "정난주마리아 묘"를 찾아보니 가는 차는 없고 걸어서 한시간 20분을 가야 한단다.
게다가 생전 처음 가는 길이라 자신이 없다.
"대정여자고등학교"앞 대로까지 가 보았지만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겠다.
다시 읍사무소 앞 버스정거장에 앉아 궁리를 하는데 마침 택시가 와서 손님이 내린다.
얼른 다가가서 "정난주마리아묘"까지 가자하니 네비를 만지작거린다.
한번도 가 본 적이 없단다.
그래도 그 덕분에 목적지까지 도착을 했는데 택시 기사가 말하기를
이곳에서 다시 찻길로 가려면 한참을 가야하고 차도 없단다. 기다려 주겠단다.
입구에서 본 정 마리아의 묘.
이곳도 월요일이라 그런지 아무도 없어 쓸슬했다.
황사영(黃嗣永)의 "백서"(帛書)는 가로 62센티미터, 세로 38센티미터의 흰 명주천에 작은 붓글씨로 쓰여졌고,
모두 1백 22행, 1만 3천 3백 11자에 달하는 장문(長文)으로 되어 있다.
백서(帛書)는 크게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
첫째는 신유박해(辛酉迫害)중에 순교한 "주 신부"(周文謨)외 30여 명의 사적을 열거하고,
둘째는 박해의 동기와 원인이 벽파와 시파간의 골육 상잔의 치열한 당쟁이었음을 피력한 다음
세번째로는 조선 교회의 회생과 교우들의 학살에 대한 대비책으로 외세에 원조를 청하는 내용이다.
이 세번째의 내용이 가장 큰 문제였다.
청(淸)의 황제인 가경제(嘉慶帝)가 종주권(宗主權)을 행사해 조선이 서양 선교사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해 줄 것을 요구했다.
또한, 청(淸)의 감독과 보호를 요청하며, 조선을 청(淸)나라의 한 성(省)으로 편입시켜줄 것도 요청했다.
조선 조정을 더욱 놀라게 한 것은 황사영이 외국의 군대를 요청했다는 점이다.
황사영은 백서에서 서구 천주교 국가의 군함 수백 척과 군대 5만-6만명을 조선에 보내서
조선의 천주교 신자가 자유롭게 천주교를 믿을 수 있도록 압력을 넣어야 한다고 했다.
이 백서의 내용은 조선의 조야(朝野)를 발칵 뒤집어 놓았고, 조선 조정은 이것을 역모(逆謀)로 간주했다.
황사영은 체포된 뒤 11월 서소문 밖에서 역모를 모의한 죄인에게 가해지는 형벌인 거열형(車裂刑)을 받았다.
이때 그의 나이 27세였다.
또한, 숙부 황석필과 황사영의 부인은 제주도로 귀양을 갔고, 황사영의 모친은 관노비(官奴婢)가 됐다.
역모를 모의한 사람은 그 집안 자체를 멸족시킨다는 당대의 형벌 원칙에 적용된 것이다.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과 정하상(丁夏祥, 1795-1839)"바오로"도 백서를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심지어,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샤를르 달레"(Claude Charles Dallet, 1829-1878) 신부도
“지나친 상상에서 나온 유치한 계획이며, 저 시대의 몽상(夢想)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훗날 학자들 역시 이것은 “명백한 반란”이라고 평가했다.
부지런히 성지(聖地)를 둘러보고 돌아 와 택시를 타고 추사 유배지(秋史流配地)에 내려달라고 부탁을 했다.
원래 택시를 타고 이곳에 올 때 네비를 확인하느라 요금 메타를 누르지 않았다.
나도 옛날에 그런 경험이 많이 있기에 말은 하지 않았다. 요금을 더 줄 생각이였다.
추사 유배지(秋史 流配地) 앞에 내려 감사의 말을 하며 원래 나왔을 요금보다 더 주었다.
추사 유배지(秋史 流配地)는 대정성지(大靜城址) 안쪽에 있다.
추사관(秋史館)은 내부 수리중이라 들어갈 수가 없었다.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이곳이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가 유배되어 밖으로 나가지도 못하고 안에서만 살았던 곳이라고 한다.
폐허가 됐던 곳을 복원한 것이란다.
이곳에서 대소변을 보면 그 아래에 있는 돼지가 모두 먹어 없애는 것이다.
2003년에 제주를 처음 갔을 때 정말 이런 곳을 본 적이 있었다.
이제 다시 서귀포로 가는 버스를 타야 한다.
추사 유배지(秋史 流配地)에서 한참을 걸어나와 "일주서로"를 건너니 마침
"봉평 메밀 막국수"집이 있다.
날도 쌀랑해 "들깨칼국수"를 시켜 맛있게 먹으니 추웠던 몸이 조금 풀린다.
버스를 타고 오는데 언제 그랬냐는듯 하늘이 파랗고 한라산이 가까이 보인다.
숙소로 돌아가자마자 한라산의 설경을 몇장 찍고 쉰다.
저녁에는 제주도에 왔으니 "칼치 조림"과 "구이"를 먹자고 의견일치를 보아
전에 봐 두었던 "할매식당"으로 향했다.
이런,,,이런,,,, 들어갔더니 저녁 손님은 예약만 받는단다.
이집이 정말 관광객은 모르는 진짜 맛집인데,,,,,,,
하는 수없이 근처의 다른 곳으로 가서 먹기는 했지만 원래 기대했던 맛은 아니였다.
내일은 제주항으로가서 추자도를 가야하니 일찍 잠자리에 든다.
첫댓글 역사의 현장을 대표로 보고 온 것이 천만 다행입니다. 덕분에 새로운 것을 알게 되어 고맙습니다.
덕분에 꼭 가보고 싶은 곳을 가 보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