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산업단지에서 소속 CEO 20여명을 상대로 산재사고 원인 예방 대책에 대한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강의순서는 산업재해 현황 및 사례, 원인, 예방법칙 이었고, 산업재해 사례로는 제가 피해자 지원을 위해 활동한 바 있던, 지게차 사고와 타워크레인 사고를 말씀드렸습니다.

결론적으로
- 사업주들이 산업현장 안전을 위한 물적 조치를 강화하고, 노동자에 대한 정기적인 안전교육은 물론 채용시, 작업변경시, 위험한 작업을 개시할 경우 안전교육을 제대로 해야 합니다.
- 노동자들은 산업재해 예방에 필요한 사항을 지키고, 사업주가 실시하는 조치에 잘 따라야 합니다.
- 정부는 사업자 안전을 위한 각계 의무사항을 강화하고, 특히 산업안전보건법을 노동안전보건법으로 이름부터 개정하는 등 노동자 안전을 위한 특단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1) 사고현장 증거인멸 행위 처벌규정 마련해야, 현재는 준수해야 할 사항과 위반시 처벌 규정만 있음
2) 실효성있는 법적 보상장치 마련해야, 현재는 회사측이 동의해야 근로복지공단에 유족특별급여 신청 가능하나, 회사측 동의와 상관없이 유족특별급여를 받도록 해야
3) 법령의 이름을 노동안전보건증진법으로 개정해야, 현재의 산업안전보건법은 입법 취지와 달리 이름이 잘못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