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여행
이득주
초등학교 6학년 때다. 꿈에 그리던 수학여행을 가게 되었다. 어머니는 삶은 달걀과 용돈 200원을 가방 깊숙이 넣어 주셨다. 이른 저녁을 먹고 흙먼지 날리는 신작로를 걸어 8km 떨어진 학교로 갔다. 새벽에 수학여행을 떠나기에 학교에서 멀리 떨어져 사는 아이들은 학교 근처에서 잠을 자야만 했다.
십여 명의 아이들이 선생님을 따라 시장 변두리에 살던 선생님 전셋집으로 갔다. 우리가 몰려가자, 사모님은 무척이나 반갑게 맞아 주셨다. 좁은 방에 십여 명의 아이들이 몰려 들어가니 방은 금세 콩나물시루가 되었다. 사모님은 언제 시장에 다녀오셨는지 과자와 과일을 한 바구니 내주며 많이 먹으라고 하셨다. 그 시절 과자와 과일은 명절에나 맛볼 수 있는 귀한 음식이었다. 우리는 염치도 모르고 주는 대로 큰 누에가 뽕잎 먹듯 다 먹어 치웠다.
우리가 한참 신이 나 떠들다 보니 어느덧 밤이 깊어졌다. 남자애들은 선생님과 윗방에서, 여자애들은 사모님과 안방에서 잠을 잤다. 처음 가는 수학여행이라 마음도 설레고 잠도 오지 않았다. 이불속에서 친구들과 소곤소곤 떠들다 살며시 잠이 들었다.
한숨만 잔 것 같은데 깨어보니 사모님은 벌써 일어나 아침 준비를 하고 계셨다. 선생님은 연탄불에 올려놓은 양동이에서 더운물을 떠다 주며 세수하라고 하셨다. 학교에서 무섭기만 했던 선생님이 이렇게 인자하실 줄이야…. 안방에 모여 앉아 사모님께서 퍼 주는 따끈한 쌀밥을 배부르게 먹었다.
사모님의 배웅을 받으며 컴컴한 학교로 갔다. 푸름이 짙게 드리워진 미루나무 사이로 상큼한 새벽공기가 가슴속으로 밀려들었다. 학교 근처에 사는 친구들이 먼저 와 얼굴 가득 웃음꽃을 피우며 재잘거렸다. 잠시 후 우리를 태우고 갈 전세버스 두 대가 학교 운동장에 도착했다. 반별로 인원 점검을 마치고 차에 올랐다. 버스는 하얀 흙먼지를 날리며 신작로를 신나게 달렸다. 누런 벼 이삭과 활짝 핀 코스모스가 우리들의 수학여행을 축하해 주는 듯 이리저리 손을 흔들어 주었다.
한 달 전, 선생님께서는 수학여행을 서울로 간다고 했다. 부모님께 말씀드려 600원씩 가져오라고 하셨다. 그러나 어려운 시골 형편에 수학여행을 간다는 학생은 별로 없었다. 그 후 선생님께서는 시간 날 때마다 수학여행 갈 사람을 조사했지만, 채 열 명도 되지 않았다.
며칠 후, 청소 당번이라 교실에 남아 있는데 선생님께서 내게 오셨다. 선생님은 내 어깨에 손을 얹더니, “수학여행비는 선생님이 내 줄 테니 일단 가는 것으로 하자.” “돈은 추수가 끝나고 천천히 가져와도 된다.” 라고 말씀하셨다. 생각지도 못한 선생님의 말씀에 나는 눈만 깜박깜박하며 한동안 멍하니 서 있었다.
저녁을 먹고 해콩을 까고 있는 어머니께 선생님 말씀을 전해드렸다. 어머니는 “쥐구멍에도 볕 등 날이 있다더니, 그런 방법도 다 있구나” “선생님 월급도 얼마 안 될 텐데 미안해서 어쩐다니?” 하고 말끝을 흐리셨다.
전세버스는 넓은 합덕 들판을 지나 신례원역에 도착했다. 난생처음 서울행 완행열차를 탔다.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가을 풍경을 바라보며 집에서 가져온 간식을 친구들과 사이좋게 나누어 먹었다. 열차는 세 시간쯤 달려 서울역에 도착했고, 우리는 서울역 근처 여관에 머물게 되었다.
이튿날, 사자의 눈이 무섭기만 한 창경궁, 조그만 다람쥐가 숲속에서 춤추고 있던 청와대, 담배제조창, 신문사 등을 구경했다. 가는 곳마다 모두 신기하고 꿈속을 날아다니는 것만 같았다. 저녁 무렵이었다. 여관 앞에서 뽑기 장사를 구경하다 동생들에게 줄 선물을 사려고 보니 주머니에 돈이 하나도 없었다.
혼자 급하게 여관으로 돌아와 방에 두고 온 가방을 뒤져봐도 가지고 온 돈은 나오지 않았다. 저녁밥도 못 먹고 혼자 엉엉 울기만 했다. 다음날 새벽, 선생님은 나를 조용히 복도로 부르시더니 돈 200원을 주머니에 넣어 주셨다.
형편이 어려웠던 60년대, 박봉에도 불구하고 제자를 위해 수학여행비와 용돈까지 챙겨 주셨던 선생님의 깊은 사랑을 이제야 알 것 같다.
수학여행을 다녀온 지도 어느덧 5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지난해 선생님을 찾아뵙고 수학여행 이야기를 꺼냈더니,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라고 말씀하셨다.
어렸을 때 선생님께서 베풀어주신 사랑을 지금도 가슴 깊이 간직하고 있다.
첫댓글 월간 한국수필 2025년 4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