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5년 4월 25일 |
출생 (당시 독일 점령지였던 프랑스 알사스(Alsace)州의 솔쉬르(Saulxures)) |
1881년 |
파리 제8구 공립소학교 입학 |
1887년 |
파리 제8구 공립소학교 졸업 |
1887년 |
파리 성 니콜라오(Saint Nicolas) 공립중학교 입학 |
1893년 |
파리 성 니콜라오(Saint Nicolas) 공립중학교 졸업 |
1893년 7월 18일 |
대학(문과) 입학 자격(Baccalauréat) 받음 |
1895년 |
파리 Sorbonne(소르본느)대학 철학과 입학 |
1895년 |
파리 Sorbonne(소르본느)대학 철학과 졸업 |
1895년 6월 28일 |
파리가톨릭대학 성 토마스 철학과 졸업 |
1895년 9월 25일 |
대학(철학과) 입학 자격(Baccalauréat) 받음 |
1895 |
파리외방전교회 신학대학 입학 |
1898년 6월 26일 |
파리외방전교회 신학대학 졸업사제서품 |
1898년 8월 3일 |
파리 출발 |
1898월 10월 6일 |
|
1899년 4월 22일 |
경상남도 부산 지방 포교 담임 |
1900년 9월 11일 |
부산 지방 포교 담임 해면서울 천주공교(용산) 신학교 교수 |
1906년 8월 8일 |
신학교 교수 해면천주공교 경향신문 사장 |
1911년 4월 8일 |
대구교구(南鮮敎區) 주교로 임명 |
1911년 6월 11일 |
|
1934년 10월 31일 |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음 |
1936년 6월 11일 |
교구 설정 25주년 기념 겸 주교서품 은경축성청으로부터 '교황탑전 시종 로마 백작'작위받음 |
1938년 2월 9일 |
선종 |
[문장 설명]
신뢰하고 일하라 CONFIDE ET LABORA |
![]() 十字 밑에, 알파벳 M과 E자를 함께 붙여 둔 것은 외방전교회 (빠리 외방전교회)의 표시이다. 곧 안주교 각하는 빠리 외방전교 회원이라는 의미이다. 여기까지는 주교 인호의 공동표시이고 그 밑에 3부분으로 나뉘어 위에 가로면은 남색이고 아래 세로면은 반으로 나뉘어 오른쪽은 백색 왼쪽은 홍색으로 된 것은 불란서 국기를 그린 것이니 곧 불란서 사람이라는 표시다. 남색 가로면은 옥잠화 (白百合)를 좌우에, 그리고 중앙에 겹十자를 그린것은 주교의 본 고향인 로렌 지방의 기호(旗號)를 표시함이요 세로 홍색면에는 빨마(종려)가지와 닻을 그렸으니, 빨마는 조선 순교자의 승리표시요, 닻은 순교자들의 공을 표시함이다. 즉 이 그림들이 종합하여 상징하는 바는 조선 순교자들의 승리한 순혈의 땅에 그 공적을 힘입어 개척하고 일하겠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표어를 '신뢰하고 일하라' (Confide et labora)하였다. |
제2대 무세 제르마노(Germain Mousset, 한국명 : 문제만 文濟萬) 주교 (1938 - 1942)
1876년 9월 19일 |
출생 (프랑스 생 랑베르 쉬르 로아르(St. Lambert sur Loire)) |
1895년 8월 1일 |
파리외방전교회 신학대학 입학 |
1900년 6월 24일 |
파리외방전교회 신학대학 졸업사제서품 |
1900년 8월 1일 |
서울 도착 |
1901년 4월 27일 |
전남 제주도 천주교회 주임신부 |
1902년 4월 20일 |
경남 마산시, 창원군, 함안군, 거제도 천주교회 주임신부 |
1911년 5월 11일 |
천주교 대구교구 경리신부 |
1916년 1월 15일 |
천주교 대구수녀원 포교 담임 겸무 |
1925년 5월 15일 |
대구효성여자보통학교 교장 겸무 |
1928년 9월 1일 |
천주교 대구교구 부주교 |
1931년 1월 30일 |
대구수녀원 포교 담임 해면 |
1938년 3월 16일 |
대구효성심상소학교 설립자 취임 |
1938년 12월 13일 |
천주교 대구교구 교구장 주교로 임명 |
1939년 4월 18일 |
대구효성심상소학교 교장 해면 |
1939년 5월 7일 |
|
1942년 8월 30일 |
천주교 대구교구장 해면 및 은퇴 |
1949년 4월 1일 |
프랑스 귀국 |
1951년 4월 |
포항 성모자애원 경영 |
1951년 12월 |
파리외방전교회 한국관구 관구장 |
1955년 8월 30일 |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음 |
1957년 6월 8일 |
선종 |
[문장설명]
바위에서 흘러내린 꿀 MEL DE PETRA |
![]() 큰 十字로써 4부분으로 구분된 방패형은 주님께 속한 사람이라는 표시이고, 벌은 이기심 없이 공동체를 위하여 일하는 근면하고 성실한 헌신의 상징이며, 탑은 견고한 城, 즉 하느님께 굳건한 신뢰와 믿음을 상징한다. 그래서 표어를 '바위에서 흘러 내린꿀' (MEL DE PETRA)이라 하였다. 'MEL DE PETRA'는 <신명기 32,13>의 '바위에서 흘러내린 꿀'과 <시편 80,17>의 '몸소 굳건히 세워 주신 그분을 붙드소서'에서 취했다. 문주교 각하의 문장과 핵심은 안주교 각하의 표어 '신뢰하고 일하라' (Confide et Labora)의 성서적인 표현인 '바위에서 흘러내린 꿀' (MEL DE PETRA)이다. |
제3대 하야사까 구베에(早坂久兵衛) 이레네오 주교 (1942 - 1946)
1888년 12월 12일 |
출생 (일본 宮城縣 仙台市 光禪寺通 66번지의 2) |
1898년 3월 |
仙台市 元寺小路 심상(尋常)소학교 심상과 4년 졸업 |
1902년 3월 |
仙台市 東2番町소학교 고등 4년 졸업 |
1907년 3월 |
東北중학교 제5년 졸업 |
1907년 9월 |
제2고등학교 입학 |
1910년 6월 |
제2고등학교 문과 졸업 |
1910년 11월 |
이탈리아 로마시 프로파간다대학 입학 |
1915년 5월 29일 |
프로파간다대학 철학과 및 신학과 졸업철학박사 학위 받음사제서품 |
1915년 8월 |
仙台市 角五郞丁천주교회 근무 |
1916년 6월 |
宮城縣 大河原천주교회 주임 |
1923년 6월 |
仙台市 元寺小路천주교회 근무 |
1927년 3월 |
仙台市 角五郞丁천주교회 주임 |
1931년 9월 |
岩手縣 盛岡천주교회 주임 |
1940년 6월 |
仙台市 疊屋丁천주교회 주임 |
1941년 12월 |
仙台교구 회계담당 |
1942년 1월 |
仙台교구 부교구장仙台市 疊屋丁천주교회 주관자 代務者 겸무 |
1942년 8월 30일 |
대구교구 교구장으로 임명 |
1942년 10월 8일 |
대구교구에 부임 |
1942년 10월 25일 |
대구교구 교구장으로 착좌 |
1942년 11월 10일 |
대구교구 주교로 임명 |
1942년 12월 25일 |
천주공교 주교 서품식 |
1946년 1월 7일 |
대구부 남산정 190번지 수녀원 병원에서 선종 |
[문장설명]
同心協力 IN UNIONE CORDIUM |
![]() 중앙의 十字와 방패형은 하느님께서 친히 방패가 되어 주신다는 뜻으로 9시편 118,113 ~ 120참조), 주교는 하느님께 속한 사람이라는 표시이다. 하야사까 주교 문장의 방패형 안네 있는 산은 일본의 기개를 자랑하는 상징인 후지산이고, 그 밑의 물은 바다로 둘러싸인 일본국토를 가르키며 빛나는 해는 중천에 뜬 해와 같이 찬란한 일본의 국의를 상징했다고 한다. 그리고 표어는 IN UNIONE CORDIUM (同心協力)이다. |
제4대 주재용(朱在用) 바울로 신부 (1946 - 1948)
1894년 2월 2일 |
출생 (경상남도 함양군 석복면 죽곡리 229) |
1914년 6월 15일 |
서울 용산신학교 중등과 및 외국어학과 졸업 |
1918년 2월 23일 |
대구부 남산정(유스티노)신학교 철학과 및 신학전문과 졸업사제서품 |
1918년 2월 25일 |
경상남도 함양 포교 담임 |
1922년 9월 24일 |
함양 포교 담임 해면전라남도 목포 포교 담임 |
1931년 5월 10일 |
목포 포교 담임 해임대구부 남산정 천주교 대신학교 교수 |
1940년 5월 12일 |
新安植義로 창씨개명, 7월 20일 대구부청 경유 신고 |
1941년 11월 21일 |
로마 교황청으로부터 천주교 전주교구장으로 임명받음 |
1942년 1월 5일 |
전주교구장(지목구장) 부임 |
1942년 1월 12일 |
재단법인 전주구 천주교회 유지재단 이사장에 취임 |
1946년 1월 16일 |
로마 교황청으로부터 대구교구장(교구 관리자) 겸임 임명 받음재단법인 대구구 천주교회 유지재단 이사장에 취임 |
1946년 2월 20일 |
대구교구장 착좌 |
1948년 5월 21일 |
교황특사 방(Byrne)주교가 주재용 신부의 교구장 사의 수락 |
1975년 11월 1일 |
15시 선종 |
1975년 11월 4일 |
대구교구 성직자 묘지에 안장 |
[문장설명]
십자가로 구원 SALIS IN CRICE |
![]() 역대 주교님들의 문장에서 볼 수 있는 중앙의 십자가가 없는 것은 朱 교구장께서는 주교로 승품되시지 않고 사제로서 그대로 교구장을 맡으셨기 때문이다. 모든 주교의 문장에는 중앙에 십자가가 그려져있고, 대주교의 경우는 십자가를 2단으로써 표시한다. 중앙 방패형의 왼쪽 첨성대는 자연을 통해 하느님의 뜻과 업적에 순종한 서라벌의 조상들의 생활태도를 영적으로 실현할 경상도 지역을 표시하고, 오른쪽의 십자가와 무궁화는 순교자들의 피로 물든 한국을 뜻한다. 그래서 표어는 SALUS IN CRUCE (십자가로 구원)이다. |
제5대 노기남(盧基南) 바울로 주교 (1948)
1902년 1월 22일 |
출생 (평안남도 평양시 선교리) |
1917년 9월 15일 |
서울 용산 예수성심신학교 입학 |
1925년 |
용산신학교 철학과 졸업 |
1930년 10월 26일 |
용산신학교 신학과 졸업사제 서품, 명동성당 보좌신부 |
1942년 1월 4일 |
서울교구 교구장 서리로 임명 |
1942년 1월 18일 |
서울교구 교구장 착좌 |
1942년 11월 10일 |
교황 비오12세가 주교로 임명 |
1942년 12월 20일 |
주교 서품 |
1945년 |
춘천교구장 및 평양교구장 서리 겸임 |
1946년 |
경향잡지, 가톨릭청년 복간경향신문 창간 |
1948년 5월 16일 |
대구 교구장 서리 겸임 |
1948년 5월 26일 |
대구교구 교구장 착좌 |
1948년 12월 21일 |
대구 교구장 서리 면직 |
1962년 |
서울대교구 승격 및 대교구장으로 승격제2차 바티칸 공의회 참석 |
1967년 3월 24일 |
서울대교구장 면직(안양 나자로 마을에서 생활) |
1984년 6월 25일 |
선종 |
[문장설명]
당신 뜻대로 되소서 FIAT VOLUNTAS TUA |
![]() 중앙 방패형의 왼쪽에 그려진 十 도형과 그 아래의 가시관은 예수님의 수난에 참여함을 뜻한다. 오른편의 비둘기는 평화의 성신, 그 아래에 그려진 파도형은 이 세상의 파란곡절을 상징했다. 맨 밑에는 城의 모상과 그 城위의 오른쪽에 남산을 도안하여 서울 지역을 표시하고, 왼쪽에는 별을 그려서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 마리아'를 주보로 모신 서울교구를 표시하였다. 표어는 'FIAT VOLUNTAS TUA'(당신뜻대로 되소서)이다. ※ 1948년 5월 21일 본교구 제 4대 朱在用 교구장께서 사임하여 결좌되자 서울 교구장이신 노주교께서, 최덕홍신부께서 주교로 성서되어 제 6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실 때까지 본교구 제 5대 교구장을 임시 겸임하셨다. (1948년 5월 27일 ~ 1949년 1월 30일) |
제6대 최덕홍(崔德弘) 요한 주교 (1949 - 1954)
1902년 1월 22일 |
출생 (평안남도 평양시 선교리) |
1917년 9월 15일 |
서울 용산 예수성심신학교 입학 |
1925년 |
용산신학교 철학과 졸업 |
1930년 10월 26일 |
용산신학교 신학과 졸업사제 서품, 명동성당 보좌신부 |
1942년 1월 4일 |
서울교구 교구장 서리로 임명 |
1942년 1월 18일 |
서울교구 교구장 착좌 |
1942년 11월 10일 |
교황 비오12세가 주교로 임명 |
1942년 12월 20일 |
주교 서품 |
1945년 |
춘천교구장 및 평양교구장 서리 겸임 |
1946년 |
경향잡지, 가톨릭청년 복간경향신문 창간 |
1948년 5월 16일 |
대구 교구장 서리 겸임 |
1948년 5월 26일 |
대구교구 교구장 착좌 |
1948년 12월 21일 |
대구 교구장 서리 면직 |
1962년 |
서울대교구 승격 및 대교구장으로 승격제2차 바티칸 공의회 참석 |
1967년 3월 24일 |
서울대교구장 면직(안양 나자로 마을에서 생활) |
1984년 6월 25일 |
선종 |
[문장설명]
사랑은 만능이다 CARITAS ET OMNIA |
![]() 방패형 중앙의 횃불은 사랑의 상징이고, 횃불의 손잡이를 감고있는 세 매듭은 신ㆍ망ㆍ애 삼덕을 표시하며, 그 아래의 월계수(月桂樹)와 종려수(琮櫚樹) 두 가지는 승리 특히 하느님의 존재를 부인하는 유물사관에 대한 가톨릭의 승리를 상징한다. 즉 투쟁하는 교회인 동시에 항상 승리하는 가톨릭 교회의 순교로써 증거한 진리의 상징이다. 사랑의 횃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있는 2개의 백합모상은 한국 가톨릭교회의 주보 이시며, 대구 교구의 주보이신 성모 마리아의 표시이다. 그리고 문장의 바탕을 푸른색으로 칠한것은 온 세계를 의미한다. 표어는 '사랑은 만능이다'(CARITAS ET OMNIA)이다. |
제7대 서정길(徐正吉) 요한 대주교 (1955 - 1986)
1911년 5월 1일 |
출생 (경상남도 울산군 두서면 미호리) |
1926년 9월 14일 |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중등과 입학 |
1932년 6월 15일 |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중등과 졸업 |
1932년 9월 14일 |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철학과 입학 |
1934년 6월 15일 |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철학과 졸업 |
1934년 9월 14일 |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신학과 입학 |
1938년 6월 11일 |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신학과 졸업사제 서품 |
1938년 6월 12일 |
화원, 월배, 현풍천주교회 주임신부 |
1940년 7월 26일 |
부산 영도천주교회 주임신부 |
1943년 2월 26일 |
부산진, 동래천주교회 주임신부 |
1945년 1월 5일 |
부산 영도, 부산천주교회 주임신부 |
1945년 12월 15일 |
대구교구 경리신부 |
1947년 5월 22일 |
상주천주교회 주임신부 |
1948년 7월 30일 |
계산동 주교좌성당 주임신부 |
1954년 6월 18일 |
경상남도 감목 대리 및 부산진천주교회 주임신부 |
1955년 7월 3일 |
대구대목구장 명의 주교로 임명 |
1955년 9월 15일 |
주교 서품 |
1955년 9월 30일 |
재단법인 대구구 천주교회 유지재단 이사장 취임 |
1962년 3월 10일 |
대구대교구 승격 및 대구대교구장 대주교로 승격 |
1962년 7월 5일 |
대구대교구 승격 및 대교구장 착좌식 |
1962년 10월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참석(~1965년) |
1966년 6월 27일 |
학교법인 동산학원 이사장 취임 |
1986년 7월 4일 |
은퇴 |
1987년 4월 7일 |
선종 |
[문장설명]
주의 나라가 임하시기를 ADVENIAT REGNUM TUUM |
![]() 왼쪽 半은 푸른색 바탕에다 위는 대구교구의 주보이신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님, 아래 山모양과 줄무늬는 각각 팔공산과 낙동강(대구 대교구의 지역)을 상징한 것이다. 그리고 맨 아래 쓰인 글은 '주의 나라가 임하시기를'(ADVENIAT REGNUM TUUM)의 표어이다. |
제8대 이문희 바울로 대주교 (1986 - 2007)
1935년 9월 14일 |
출생 (대구시 중구 남산동 619) |
1966년 6월 23일 |
프랑스 파리 가톨릭대학 졸업 |
1965년 12월 23일 |
사제서품 |
1966년 7월 20일 ~ 12월 30일 |
천주교동촌교회 주임신부(임시) |
1966년 12월 23일~ 1967년 12월 29일 |
천주교청주교구청 근무 |
1967년 12월 30일~ 1969년 1월 29일 |
가톨릭 액션 협의회 지도신부 |
1969년 4월 4일~ 1972년 4월 30일 |
군종 신부(공군) |
1972년 6월 17일~ 1972년 10월 6일 |
천주교대구대교구청 근무 |
1972년 9월 19일 |
천주교대구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 |
1972년 10월 7일 |
천주교대구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 통보 |
1972년 11월 30일 |
주교서품 |
1977년 7월 8일~ 1978년 5월 2일 |
천주교 계산동주교좌교회 주임(겸) |
1979년 7월 1일~ 1980년 9월 19일 |
가톨릭 병원장(겸) |
1981년 12월 26일~ 1986년 8월 5일 |
학교법인 선목학원 이사장 |
1985년 1월 5일 |
천주교 대구대교구 대주교 취임 |
1986년 2월 15일~ 2000년 11월 17일 |
사회복지법인 대구가톨릭사회복지회 이사장 |
1986년 7월 5일 |
천주교대구대교구 교구장 착좌 |
1990년 8월 3일~ 1991년 12월 30일 |
학교법인 선목학원 이사장 |
1993년 10월 15일~ 1996년 10월 17일 |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 |
1995년 3월 1일~ 2001년 3월 21일 |
학교법인 선목학원 이사장 |
2007년 4월 24일 |
은퇴 |
[문장설명]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SICUT IN COELO ET IN TERRA |
![]() 방패형 왼쪽에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님, 그 아래에 팔공산과 낙동강을 상징하여 대구대교구를 표시한것은 서 대주교님의 문장과 동일하다. 오른쪽의 비둘기는 서 대주교님의 표어인 'ADVENIAT REGNUMTUUM' (주님의 나라가 임하시며 …)에 이어지는 'SICUT IN COELO ET IN TERRA'(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의 표어의 표현이다. |
제9대 최영수 요한 대주교 (2007 - 2009)
1942. 3. 23 |
출생 (경북 경산군 하양읍 대학동 141) |
1957. 4 - 1960. 3 |
경북 고등학교 졸업 |
1961. 4 - 1970. 7 |
서울 가톨릭대학교 |
1970. 7. 5 |
부제품 |
1970.11. 6 |
사제품 |
1970.11.11 - 1971.10.31 |
신암본당 보좌 |
1971.11. 1 - 1972.10.27 |
대봉본당 보좌 |
1972.10.28 - 1976.10. 5 |
영천본당 주임 |
1976.10. 6 - 1979. 6.22 |
로마 연수 (포콜라레 영성) |
1979. 6.23 - 1979.12.26 |
사 목 국 |
1979.11. 6 - 1979.12.26 |
관 리 국 (겸) |
1979.12.27 - 1982. 9. 2 |
관리국장, 교구 참사위원 |
1982. 8.25. - 1986. 1.17 |
산격본당 주임 (신설) |
1986. 1.18 - 1990. 6.26 |
대구 가톨릭대학 사무처장 |
1990. 6.27 - 1991. 3.14 |
대구 시립희망원 원장, 논공본당 주임 |
1990. 6.27 - 1991. 2.11 |
논공 가톨릭병원 원장, 가톨릭정신과병원 원장 |
1991. 3.15 - 1995. 7. 3 |
성동본당 주임 |
1995. 7. 4 - 1997. 2.27 |
가톨릭 신문사 사장 |
1996. 1.10 - 2001. 9. 6 |
대구평화방송 사장 |
2000.12.22 |
천주교 대구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 |
2001. 2.27 |
주교 서품 |
2001. 2.23 - 2007. 4. 10 |
천주교대구대교구 총대리 |
2006. 2. 3 |
대주교 승품 및 천주교대구대교구 부교구장 임명 |
2007. 3. 29 |
천주교 대구대교구 교구장 계승 |
2007. 4. 30 |
천주교대구대교구 제9대 교구장 착좌 |
2009. 8. 17 |
천주교대구대교구장 사임 |
2009. 8. 31 |
선종 |
[문장설명]
그리스도와 함께 |
1. 외부윤곽은 교구 주보 루르드의 성모님을 푸른 망토를 입은 모습으로 형상화 하였다. 머리 위의 별은 12개의 별이 달린 월계관(묵시 12,1)을 상징한다. 2. 황금색의 예모는 주교를 상징한다. 3. 흰색원은 성체를 표현하며 공동체의 일치를 뜻한다. 4. 붉은색의 십자가는 인류구원을 위해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의 사랑을 나타낸다. 성모님 품안에 주교 예모를 둔 것은 모든 것을 자애로우신 성모님께 의탁하겠다는 의지이며, 주교 예모에 성체와 십자가를 배치한 것은 “그리스도와 함께”,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어 하느님께 영광을 드린다는 정신을 나타낸다. 신앙의 수호를 상징하는 방패모양의 외곽 틀 위에 모자와 십자가, 지팡이를 둔 것은 초대 교구장이신 안세화 플로리아노 주교의 문장부터 이어져온 것으로, 교구장직 승계의 의미를 가진다. |
첫댓글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