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창양(瘡瘍)의 출혈(出血)
입재(立齋)가 이르기를 "창양(瘡瘍)의 출혈(出血)은 오장(五臟)의 기(氣)가 휴손(虧損)하여 허화(虛火)가 동(動)하므로 착경(錯經) 망행(妄行)하므로 인한다.
당연히 그 경(經)을 구하고 그 인(因)을 살펴서 치(治)하여야 한다.
만약 간열(肝熱)하여 혈(血)이 망행(妄行)하면 마땅히 사물탕(四物湯)에 초산치(炒山梔) 황금(黃芩) 백출(白朮) 목단피(牧丹皮)를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간허(肝虛)하여 혈(血)을 장(藏)하지 못하면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으로 하여야 한다.
심허(心虛)하여 혈(血)을 주(主)하지 못하면 사물탕(四物湯)에 초황련(炒黃連) 목단피(牧丹皮) 복령(茯苓) 백출(白朮)을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비(脾)의 허열(虛熱)로 통혈(統血)하지 못하면 사군자탕(四君子湯)에 초치자(炒梔子) 목단피(牧丹皮)를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비경(脾經)에 울결(鬱結)하면 귀비탕(歸脾湯)에 오미자(五味子)를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비폐(脾肺)의 기허(氣虛)이면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 오미자(五味子)를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기혈(氣血)이 모두 허(虛)하면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으로 하여야 한다.
음화(陰火)가 동(動)하면 육미환(六味丸)에 오미자(五味子)를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대체로 실혈(失血)이 과다(過多)하여 번열(煩熱) 발갈(發渴) 등의 증(證)이 보이면 그 맥(脈)을 물론(勿論)하고 급히 독삼탕(獨蔘湯)으로 보기(補氣)하여야 한다.
경(經)에 이르기를 '혈(血)은 기(氣)에서 생(生)한다.' 하였다.
하물며 인삼(人蔘) 황기(黃芪) 당귀(當歸) 백출(白朮)의 감온(甘溫)한 등의 제(劑)로 심간(心肝)의 혈(血)을 생(生)하지 않는다면 결코 나을 수 없다.
만약 발열(發熱) 맥대(脈大)하면 불치(不治)한다.
혈증(血證)을 앓으면 모두 당연히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을 위주로 하여야 한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