矯枉過直(교왕과직)
옛날 중국에서는 종을 만들 때 뿔이 곧게 나 있는 소의 피를 종에다 바르고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어요
그래서 제사에 쓸 소를 특별히 맡아서 기르는 농부를 두었는데
그 농부는 소의 뿔이 삐뚤어지지 않도록 잘 관리를 해야 했지요
그런데 어느날 하루에도 몇 번씩 소를 살피던 농부는
제사에 쓸 소의 뿔이 한쪽으로 약간 치우쳐져 있는 것을 발견했어요
농부는 이 뿔을 바로잡기 위해 끈으로 소의 뿔을 칭칭 동여 매고 힘껏 잡아당겼지요
소가 아파서 비명을 질렀지만 농부는 멈추지 않았어요
그렇게 하기를 여러 날,
결국 그 소는 뿔이 뽑힌 채 죽고 말았어요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그만 소를 죽이고 만 것이지요
이를 보고 교각살우(矯角殺牛)라는 사자성어가 만들어 졌는데
이처럼 교각살우(矯角殺牛)는 사소한 흠을 고치려다 도리어 일을 그르친 경우를 말함이지요
만일 위 이야기에서 농부가 소의 뿔이 조금 치우쳐져 있더라도 불평하지 않았다면
소를 잃지 않았겠지요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
또 교왕과정(矯枉過正) 교왕교직(矯枉過直)이란 말도 있어요
'교(矯)’는 바로잡는다는 뜻이고
‘왕(枉)’은 굽은 것을 말함이지요
그래서 교왕(矯枉)은 구부러진 것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고
과정(過正)과직(過直)은 정도를 지나쳤다는뜻으로,지나치게 곧게 함 뜻으로
잘못을 바로 고치려다 지나쳐 오히려 나쁜 결과를 초래함을 의미하는 말
과유불급(過猶不及)또한 '논어'에서 유래한 말이지
교각살우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의미로
필요 이상으로 욕심을 내선 안 된다는 뜻
무릇 우리네 인생사에는 이러한 우(愚)를 범할때가 많아
우리 속담 중에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운다.'가 있어
아주 작은 일 때문에 큰일을 그르친다는 뜻으로 교각살우와 비슷한 말
이 속담을 고사성어로 표현한다면 소탐대실(小貪大失)이지요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게 된다'는 말인데
소탐대실(小貪大失),교각살우(矯角殺牛),교왕과정(矯枉過正),교왕교직(矯枉矯直)과유불급(過猶不及)
이 모두는 우리에게 작은 것에 연연하다가 큰 것을 잃는다는 교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