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經史講義) 38 ○ 역(易) 1 계묘년(1783, 정조7)에 선발된 이현도(李顯道)ㆍ조제로(趙濟魯)ㆍ이면긍(李勉兢)ㆍ김계락(金啓洛)ㆍ김희조(金煕朝)ㆍ이곤수(李崑秀)ㆍ윤행임(尹行恁)ㆍ성종인(成種仁)ㆍ이청(李晴)ㆍ이익진(李翼晉)ㆍ심진현(沈晉賢)ㆍ신복(申馥)ㆍ강세륜(姜世綸) 등이 답변한 것이다
[비괘(否卦)]
비괘(否卦)의 성격은 안은 소인(小人)이고 밖은 군자(君子)인데, 아래에 있는 세 음효는 소인의 상(象)이다. 그런데 《정전(程傳)》에서는 아래에 있는 군자로 본 것은 어째서인가? 초육의 “띠 뿌리를 뽑는 것 같다.[拔茅]”고 한 것에 대해 《본의(本義)》에서는 “소인이 무리 지어 나오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왕씨(王氏)는 “군자가 무리를 이끌고 물러가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초육의 “길하면서 형통하다.[吉亨]”고 한 것에 대해 《본의》에서는 소인이 길하면서 형통한 것으로 보았고 혹자는 군자의 길하면서 형통한 것으로 여겼는데, 어느 것이 옳은가?
[김계락이 대답하였다.]
이 괘로 말하면 안은 소인이고 밖은 군자이므로, 비색하여 막히는 상이 있습니다. 만약 아래에 있는 세 음효를 가리켜 “아래에 있는 군자이다.”라고 한다면 태(泰)와 비(否)의 구별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그래서 주자(朱子)가 동수(董銖)의 질문에 대답하기를, “아마도 견강부회(牽强附會) 같은데 그런 뜻은 아니다.” 한 것입니다. 그러니 이 괘의 뜻은 본의대로 따라야 할 것입니다. 초육의 “띠 뿌리를 뽑는 것 같다.”고 한 뜻은 태괘(泰卦) 초구(初九)에서 “띠 뿌리를 뽑는 것 같다.”고 한 상(象)과는 참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정(征)’과 ‘정(貞)’ 두 자의 뜻을 구분해 보면 그 말뜻이 각각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왕씨와 혹자가 군자로 풀이한 것은 비록 《정전》의 뜻을 따른 것이기는 하나 아마도 《본의》의 풀이처럼 순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평지도 비탈이 될 수 있고 간 것은 돌아오게 되어 있으며 비색함이 극에 달하면 태평이 오는 것은 당연한 천리(天理)이다. 그런데 여기 상구(上九)의 효사에서 “비색함이 기울어진다.[否傾]”고 하지 않고 “기울어지는 비색함이다.[傾否]”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왕종전(王宗傳)은 “사람의 힘의 비중이 더 많다.”고 하였고 선대의 학자는 “하늘과 사람은 서로 이기는 이치가 있다.”고 하였는데, 그 태평함과 비색함이 교차되는 시점에 처하거나 그러한 기회를 당하게 되면 반드시 그 변화에 따라 지켜 가는 방법이 있게 마련이다. 만약에 그러하다면 이 세상은 영원히 태평스러우며 편하기만 하고 비색한 시기는 없단 말인가? 마침내 천운(天運)과 사람의 힘이 서로 이기는 비율은 어느 쪽이 더 많은가?
[신복이 대답하였다.]
아무리 큰 실과라도 심지 않으면 싹이 나지 않고 기울어지려는 그릇은 붙들어 주지 않으면 바로 놓이지 않습니다. 비율로써 계산한다면 사람의 힘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 많은데, 이것이 신포서(申包胥)가 “사람이 많으면 하늘을 이긴다.”고 말한 까닭입니다. 그런데 후세의 군신(君臣)들이 위기를 당하여 망해 가는 것을 그대로 보고 있으면서 구제하지 않은 것은 그 이치를 몰랐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비괘(否卦) 상구(上九)에서 “비색함이 기울어진다.[否傾]”고 하지 않고 “기울어지는 비색함이다.[傾否]”라고 한 것도 사람의 힘이 천운을 이길 수 있기 때문인 듯합니다. 선대 학자들의 말이 어찌 생각 없이 그렇게 하였겠습니까. 세상이 영원히 태평스러우며 편할 때만 있을 수 없는 것은 비록 천운이 바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람의 힘이 하늘을 이길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어찌 천운만을 탓하며 변화에 따라 지켜 가는 방법을 생각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이상은 비괘(否卦)이다.
[주1] 왕씨(王氏)는 …… 것이다 : 이 말은 《주역절중(周易折中)》 권2 비괘(否卦) 초육(初六) 집설(集說)에 나오는 호원(胡瑗)의 말인데, 여기서 ‘왕씨’라고 한 것은 오기(誤記)인 듯하다.
[주2] 정(征)과 …… 뜻 : 여기서의 ‘정(征)’은 태괘(泰卦) 초구(初九)의 ‘무리로 가면 길하다.[以其彙征吉]’고 할 때의 정을 말한 것이고, ‘정(貞)’은 비괘(否卦) 초육(初六)의 ‘무리와 같이 정고함을 지키면 길하면서 형통하다.[以其彙貞吉亨]’고 할 때의 정을 가리킨 것이다.
< 출전 : 한국고전번역원 >
[否]
否之爲卦。內小人而外君子。在下之三陰。是小人之象也。而程傳以在下之君子當之何也。初之拔茅。本義則以爲小人連類而進。王氏則以爲君子引類而退。初之吉亨。本義則屬之小人之吉亨。或說則歸之君子之吉亨。何者爲是。啓洛對。此卦則以其內小人而外君子也。故爲否閉之象焉。若以在下之三陰。謂是在下之君子。則惡在其泰與否之別也。是以朱子答董銖之問。有曰恐牽強不是此意。然則此卦之義。當從本義。而至若初六茅茹之義。則其與泰初茅茹之象。儘有 間焉。觀於征貞二字之分。可知其辭意之各異。則王氏及或說之釋以君子者。雖從程傳之餘意。而恐不若本義之爲平順矣。平陂往復。否極泰來。是亦天理之常也。則今於上九之辭。不曰否傾而曰傾否何也。王氏曰人力居多。先儒又曰天人有交勝之理。處其交履其會者。必有變化持守之道。若然則世可以長泰久寧而無否塞之時也歟。畢竟天運人力交勝之分數。孰重孰多。馥對。碩大之果。不種則不生。將攲之器。不扶則不正。以分數計之。人力分數較多。此包胥所以有人衆勝天之語。而後世君臣之坐視危亡而莫之救者。皆不識此義故也。然則否之上九。不曰否傾而曰傾否者。蓋亦以人力之較勝於天運。而先儒諸說。豈無所見而然乎。至若世之無長泰久寧之時者。雖或由於天運之互嬗。而抑由人力之不足以勝天故耳。豈可諉以天運。而不思所以變化持守之方乎。以上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