右
( 오른쪽 - 우 )
높일-우, 강할-우, 도울-울, 곁-우, 위-우
5획 口 (입-구)
● 많이( )써서 말(口)에 잘 움직이는 오른쪽이니 오른쪽-우
◆ 뜻풀이 :
1. 오른쪽. 2. 오른손. .3. 우익(右翼). .4. 서쪽 5. 높다. .6. 귀하다(貴--)
7. 숭상하다(崇尙--). 8. 돕다(=佑). .9. 강하다(強--). .10. 굽다. .11. 권하다(勸--)
◆ 회의문자
◇佑(우)와 동자(同字). 식사할 때 밥을 먹는(口) 손(又)이라는 뜻을 합(合)한 글자로
'오른쪽'을 뜻함
◇‘말(口)과 함께 곧 움직여 돕는 손( ) ‘오른쪽’ 손이라는 뜻.
◇손( )과 말(口)이 서로 협조를 잘 한다. 하여 ‘돕다’의 뜻.
◆ 반대 뜻을 가진 한자(상대자) : 左 왼 좌
◆ 같은 뜻을 가진 한자(유의자) :
陞 오를 승 陟 오를 척 敭 오를 양 昇 오를 승 登 오를 등 騰 오를 등
지금 글꼴로 보면 아래쪽은 ‘입-구’(口)가 분명하다. 그런데 위쪽이 무엇인지 애매하다. 초창기 글꼴을 보면 우(又)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又)를 대개 ‘또-우’로 새기지만 그것은 파생된 뜻이며 본뜻은 ‘오른손가락’이었다. 손가락 다섯 개를 모두 그린 모양이 ‘손-수’(手)이다.
한자의 좌측이나 아래쪽에 추가하려고 중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가로로 잇대 쫙 펼친 모양이 ‘손-수’[扌 :재주-재(才)와 비슷하여 속칭 ‘재방변’]이다.
오른손가락이 셋으로 보이는 것은 무명지와 새끼손가락이 중지에 가려 생략되었기 때문이다.
수(手)가 정적인 손가락이라면, 뭔가를 쥐거나 쥐려는 모습의 우(又)는 동적인 손가락이다. 동적이므로 ‘또, 다시’의 뜻이 나온 것이다.
그렇다면 우(右)는 오른손가락으로 무엇을 잡고 입으로 중얼거린다는 뜻이다. 그 무엇이란 제물(祭物)이나 술잔일 수도 있고, 왼손을 잡았으면 손바닥을 비비는 동작일 것이다. 중얼거리는 소리는 천지신령이나 조상께 도움을 비는 동작일 것이다.
따라서 우(右)의 본뜻은 ‘오른손으로 제물을 올리고 기도하며 도움을 청하다’이다. 그런데 ‘오른손가락’으로부터 ‘오른쪽’의 뜻이 파생되어 널리 쓰이자 정작 본뜻은 희미해졌다.
이에 ‘사람-인’(人)을 추가하여 ‘도울-우(佑)로 복원했다.
애국가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의 보우(保佑)가 그것으로, ‘보호하고 도와 주셔서’의 뜻이다.
◇우열(右列) : 오른쪽의 열
◇우측(右側) : 오른쪽의 옆
◇좌우(左右) : 왼쪽과 오른쪽
◇우수(右手) : 오른손
◇우방(右方) : 오른쪽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