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타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었으나
송인택변호사님이 제안한 꽃물꿀이라는 말이
과학적인 우리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 꿀벌의 병충해 용어에도 우리말로 바꿀 말로 고치고자 합니다.
의견들 주시기 바랍니다.
부저병(腐蛆病) → 애벌레 썩는 병
유럽부저병(--腐蛆病) → 유럽형 애벌레 썩는 병
미국부저병(美國腐蛆病) → 미국형 애벌레 썩는 병
노제마병 → 꿀벌 창자 기생충병
흰공팡이병 (백묵병(白墨病), chalkbrood ) → 애벌레가 희게 굳는 곰팡이 병
돌곰팡이병(석고병(石膏病), stonebrood) → 애벌레가 돌처럼 굳는 곰팡이 병
낭충봉아부패병(囊蟲蜂兒腐敗病) → 애벌레가 주머니처럼 부풀에 썩는 병
응애 → 꿀벌에 붙어 사는 작은 벌레.
1. 바로아응애, varroa mite 꿀벌응애'라는 명칭은 잘못 만든 것임. '꿀벌응애'는 '꿀벌의 응애'라는 뜻이어야 하며 특정한 종의 응애 명칭이 아닌 꿀벌에 기생하는 모든 종의 응애를 뜻하는 용어여야 함.
2. 가시응애
3. 기문응애
바이러스 → 꿀벌에는 약 20종의 바이러스가 있다. 이산화염소수( )와 미산성염소산수(HOCL) 소독이 필요하다.
1. 검은왕대바이러스, Black Queen Cell Virus -> 검은왕집바이러스
'Queen Cell'은 '여왕벌 세포'가 아닌 '여왕벌이 자라고 있는 벌방'이며 '왕집'이라고 함. '왕집'은 그 안에서 여왕벌로 자라고 있는 알·애벌레·번데기까지 포함한 개념으로 많이 사용됨.
검은왕대 바이러스(BQCV)는 1977년 처음으로 외관상 검은색 벌방 안에
죽은 여왕 유충으로부터 분리되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유충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데,
유충은 감염되었을 때 옅은 노란 색을 띱니다. 유충들은 그런 다음 완전히 발육하지 못하고 죽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전염을 미포자충인 노제마 apis에 전적으로 의존합니다.
바이러스는 노제마 apis가 없으면 성인 벌들이나 유충에 주입되거나 먹어도
감염되지 않습니다(Baileyetal., 1983a).
BQCV는 노제마 apis에 감염된 벌들의 사망률을 증가시키는데,
이것이 또한 높은 바로아 감염 수준과 관련될 수 있다는 증거가 있지만, 이것은 아직 확실치 않습니다.
2. 급성꿀벌마비 바이러스(ABPV)와 그것의 사촌인 만성꿀벌마비 바이러스(CBPV)는
분리된 최초의 벌 바이러스였습니다.
이들은 1963년 영국의 훌륭한 벌 병리학자인 레슬리 베일리에 의해 수행된 실험실 연구에서 발견
되었는데, 벌의 다른 바이러스를 발견하기 위해서 연구를 계속했습니다.(Bailey et al. 1963) xvii.
베일리는 감염된 수치가 높을수록 벌을 죽게 하지만, 감염되지 않은 벌들의 서식지는
찾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병에 감염된 벌은 주로 흔들리거나 떠는 경향이 있고, 탈진된 날개를 보이거나
때로는 검은 기름기가 묻은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ABPV나 CBPV에 감염된 벌은 종종 날 수 없고 벌통 앞에서 땅을 걷고 있는 것이 보이게 됩니다.
ABPV는 CBPV보다 사망률을 더 빠르고 감염율은 더 낮게 발생합니다.
감염된 벌들은 보통 하루나 이틀 안에 두드러진 증상으로 죽습니다.
이 두 바이러스 적어도 1세기 동안 존재해왔고, 증상에 대한 묘사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고대 그리스에서 아프고 떨리는 벌을 관찰했던 것과 비슷합니다.
1980년대 유럽에서 바로아 응애의 출현은 ABPV를 서식지로 데려오는 운반자, 매개자 관계로 보입니다.
연구원들은 바로아가 대규모로 침입한 서식지에서도 ABPV의 큰 감염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Ball, 1983; Allen and Ball, 1996).
나중의 실험에서 암컷 바로아 바이러스가 매개체 역할을 해서 어른 벌뿐만 아니라
유충에게도 바이러스를 전염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Ball, 1983; Wiegers, 1986).
ABPV는 꿀벌 사망률이나 CCD에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바로아 바이러스 병원균의 매개체는 다른 바이러스와 함께 반복됩니다.
3. 꿀벌엑스 바이러스 (BVX)는
1974년 아칸소 주의 연구원들이 다른 바이러스를 찾던 증에 발견되었습니다.
BVX는 오직 새로 생기는 벌들에서만, 그리고 따뜻한 환경의 벌통에서만 번식합니다.
그것은 즉시 벌들을 죽이지 않고, 외관상으로 눈에 띄는 징후도 없습니다.
실험실에서 감염된 벌들은 상당히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Baileyetal., 1983a)
BVX는 CCD와 관련이 없습니다.
4. 불투명날개 바이러스(CWV)는 1980년에 레슬리 베일리의 실험실에서 처음 분리되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꿀벌의 날개가 흐리고 투명하지 않은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벌들은 이 증상을 보이고 나서 며칠 안에 죽습니다.
실험실에서 벌이 서로 가까이 있을 때 일부 꿀벌에 감염이 발생합니다.
준비한 CWV를 벌들에게 문지르거나 분사하여 일부 실험에서 감염을 유발했지만,
다른 벌들을 감염시키려는 다른 유사한 시도들도 종종 감염을 야기하지 않습니다.
연구원들은 감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알려지지 않은 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CWV는 일부 경우에 바로아에 감염된 벌통에서 더 널리 퍼진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일부 분야에서 유병율이 높지만, 이는 CCD와 관련이 없습니다(Nordstrometal, 1999).
5. 날개불구 바이러스(DWV)는 1983년에 일본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바로아 응애 감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것은 바로아 응애의 높은 감염 수준으로 인해
벌통에 있는 새끼와 어른 벌들 모두에게 죽음이 생깁니다(Ball, 1983).
DWV의 꿀벌은 변형되거나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날개를 가지고 있어서 날 수 없습니다.
DWV에 감염된 벌들은 종종 복부 이상이 있으며 때로는 침을 쏠 수 없기도 합니다.
DWV로 고통받는 벌들은 대개 벌통에서 쫓겨나고 보통 48시간 이상 살 수 없습니다.
DWV는 1977년에 이집트에서 처음 발견된 이집트 벌의 바이러스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프랑스의 한 연구에 따르면, 서식지의 90%에서 DWV가 샘플로 채취되었는데,
같은 서식지의 바로아 응애 감염은 100%였습니다.
미국의 연구에서도 비슷한 숫자가 나왔습니다. DWV는 매우 일반적이고, 모든 대륙에 존재하며,
감염 수준은 바로아 감염 수준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DWV는 또한 DWV에 감염된 여왕에 의해서도, 유충을 먹이는 일벌에 의해서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DWV는 현재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는 바이러스이며 전 세계 꿀벌 집단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6. 이스라엘급성마비 바이러스(IAPV)와 카시미르꿀벌 바이러스 (KBV)는
급성꿀벌마비 바이러스 (ABPV)의 친척이며, 가장 최근에 발견된 가장 치명적인 벌 바이러스입니다.
KBV는 1974년 북부 인도의 아시아꿀벌 Apis cerana에서 처음 발견되어 카시미르꿀벌 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KBV는 바이러스 중 가장 치명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실험실에서 단지 적은 양만으로 감염됩니다.
일단 감염된 벌들은 보통 3일 안에 죽습니다(Bailey et al 1979) xx.
IAPV는 2004년에 이스라엘에서 처음으로 설명되었으며, KBV는 아마도 1980년대쯤에
서양꿀벌(apis millefra)로 건너갔을 것입니다. 아마도 호주에서는 아직도 이것이 논쟁거리이지만요.
IAPV에 감염된 벌은 날개를 떠는 증상을 나타내며, 벌통 근처에서 빠르게 마비되거나 죽습니다.
첫댓글 선생님의 열정에 박수를 보내며 응원합니다
맞습니다. 법률용어, 의학용어, 현장용어 등 우리 사회가 고쳐야 할 일이듯이
양봉도 전문 영역이어서 그들만의 언어로 소통하는 구습을 버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