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도
중편소설 | 이정민 | < 헤이, Mr. 차페크! > | 단편소설 | 이동욱 | < 여우의 빛 > | 시 | 김은주 | < 술빵 냄새의 시간 > | 시조 | 김영희 | < 연어를 꿈꾸다 > | 희곡 | 최문애 | < 실종 > | 시나리오 | 박선영 | < 메모 > | 동화 | 조희애 | < 그건 정말 오해야 > | 문학평론 | 오연경 | < ‘날(生)이미지’와 사건의 시학 -오규원의 후기 시에 대하여 > | 영화평론 | 안지영 | < 장평·비몽(悲夢): 변하지 않는 꿈 > < 단평·영화는 영화다: 타인의 시선으로 세상 너머를 보다 > |
▶2008년도
중편소설 | 정수진 | < 날려, 훅 > | 단편소설 | 조현 | < 종이냅킨에 대한 우아한 철학 > | 시 | 이은규 | < 추운 바람을 신으로 모신 자들의 經典 > | 시조 | - | 타사 중복투고로 당선 취소함 | 희곡 | 이진경 | < 리모콘 > | 시나리오 | - | 당선작이 나오지 않아서 심사평만 싣습니다 | 동화 | 박소명 (본명:박명숙) | < 나도 알을 품었어 > | 문학평론 | 윤경희 | < 장평·새로운 문학적 신체의 발명 -한강의 소설들 > < 단평·빈곤한 역사와 소설 -배수아의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 | 영화평론 | 이나라(가작) | < 장평·죽은 풍경들의 시간과 죽은 시간들의 풍경 -지아 장커의 경우와 홍상수의 경우 > < 단평·그 여인의 등 뒤에서 -이창동의 ‘밀양’에 관하여 > |
▶2007년도
중편소설 | 김 휘 (본명:김휘주) | < 나의 플라모델 > | 단편소설 | 이은조 | < 우리들의 한글나라 > | 시 | - | 당선작 없음 | 시조 | 이민아 | < 눈은 길의 상처를 안다 > | 희곡 | 홍지현 | < 변기 > | 주혁준 | < 허수아비 > | 시나리오 | 정순신 | < 약속 > | 동화 | 김마리아 | < 긴 하루 > | 문학평론 | 이광진 | < 장평·비로소 내가 되며 진실로 집에 있는 듯이 -배수아가 제시하는 독서방법과 현실독법 > < 단평·중간자 작가의 탄생-‘핑퐁’ > | 영화평론 | 김남석 | < 장평·경박한 관객들-홍상수 영화를 대하는 관객의 시선들 > < 단평·집으로-‘가족의 탄생’ > |
▶2006년도
중편소설 | 배지영 | < 오란씨 > | 단편소설 | 박 상 (본명:박성호) | < 짝짝이 구두와 고양이와 하드락 > | 시 | 곽은영 | < 개기월식 > | 시조 | 김종훈 | < 화첩기행 > | 희곡 | 신은수 | < 비싼 사과의 맛 > | 시나리오 | 한증애 | < 트라우마 > | 동화 | 강이경 (본명:강혜경) | < 착한 어린이 이도영 > | 문학평론 | 박수현 | < 장평 ‘삼계화택(三界花宅)에서 해탈에 이르기 위한 구도(求道)’-박민규론 > < 단평 ‘사람살이의 축소판으로서의 놀이’ -성석제, ‘고수’ > | 영화평론 | 이환미 | < 장평 ‘나는 복수한다. 고로 존재한다 -〈친절한 금자씨〉와〈오로라 공주〉를 중심으로’> < 단평 ‘비주얼과 사운드가 불러일으키는 매혹, 서사의 간극을 채우다-형사’ > |
▶2005년도
중편소설 | 박주영 | < 시간이 나를 쓴다면 > (가작) | 단편소설 | 류은경 | < 가위 > | 시 | 이영옥 | < 단단한 뼈 > | 시조 | 이석구 | < 마량리 동백 > | 아동문학 | 박영희 | < 깜상이와 자전거 > | 희곡 | 이오(오주희) | < 아일랜드 행 소포 > | 시나리오 | 백광일 | < 뷰티풀 선데이 > (가작) | 문학평론 | 조강석 | < 생의 저인망식 구인 - 이성복의 '아, 입 없는 것들' > | 영화평론 | 강유정 | < 현실을 주관하는 두개의 원리, 경계선의 미학 - 박찬욱과 김기덕 영화의 원리와 지평 > (가작) |
▶2004년도
중편소설 | | 당선작없음 | 단편소설 | 허혜란 | < 독 > | 시 | 김성규 | < 독산동 반지하동굴 유적지 > | 시조 | 김미정 | < 왕피천 >,< 가을 > | 아동문학 | 조준호 박예분 | 동화 : < 그림자 각시와 매화무늬 표범 > 동시 : < 솟대 > | 희곡 | 이윤설 | <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 | 시나리오 | 최명훈 | < 제3 서고 > (가작) | 문학평론 | 박정희 | < 몸/육체를 둘러싼 두 개의 시각 - 정현종과 황지우의 시에 대하여 > | 영화평론 | 박유희 | < 속임수 사이로 자기 정체성을 향해 - 박찬욱의 올드보이, 그가 고백하는 방식, 그가 대화하는 방식 > |
▶2003년도
중편소설 | 김언수 | < 프라이데이와 결별하다> | 단편소설 | 김나정 | < 비틀즈의 다섯번째 멤버 > | 시 | | 당선작없음 | 시조 | 유종인 | < 촉지도를 읽다> | 아동문학 | 김혜정 | < 하늘을 닮은 소리> | 희곡 | 전소영 | < 다섯 가지 동일한 시선 > | 시나리오 | | 당선작없음 | 문학평론 | 한민주 | < 식의 정치학, 우주적 상상력 - 천운영론 > | 영화평론 | 조하영 | < 상처는 터지지만 아프지 않다 - 김기덕, 나쁜 남자 > |
▶2002년도
중편소설 | 서문경 | < 추풍령 > | 단편소설 | | 당선작 없음 | 시 | 김중일 | < 가문비 냉장고 > | 시조 | 최길하 | < 먹감나무 문갑 > | 아동문학 | 하인혜 | < 할머니의 시간 > | 희곡 | 김현철 | < 꿈꾸는 식물 > (가작) | 시나리오 | 나웅권 | < 절망이라는 이름의 희망 > (가작) | 문학평론 | 안미영 | < 엽기적 인물의 탄생과 진화-백민석론 > | 영화평론 | 이재현 | < 사랑 혹은 시간의 담론-'봄날은 간다' > (가작) |
▶2001년도
중편소설 | 홍은경 | < 길-아름다운 동행 > | 단편소설 | 노재희 | < 그날 저녁 그는 어디로 갔을까 > | 시 | 김지혜 | < 이층에서 본 거리 > | 시조 | 정경화 | < 원촌리 겨울-이육사 생가에서 > | 동시 | 이동찬 | < 웃는 기와 > | 동화 | 이은강 | < 아흔아홉 우리 할머니 > | 희곡 | 서인경 | < 말! 말? 말… > | 시나리오 | 박정우 | < 배오2동사무소 > | 문학평론 | 오윤호 | < 회상의 역사 그리고 우울한 죄의식-김소진 소설론 > | 영화평론 | 김영찬 | < 수정의 이름-오! 수정 > | 미술평론 | 서기문 | < 백남준 미술의 아이덴티티 > | 음악평론 | 최현영 | < 표절개념을 통해 본 대중음악 표절시비의 문제점 > |
▶2000년도
중편소설 | 조민희 | < 우리들의 작문교실 > | 단편소설 | 천운영 | < 바늘 > | 시 | 이승수 | < 고래 > | 시조 | 손정순 | < 그해 겨울 소래에서 > | 동시 | 남혜란 | < 주전자가 끓는 겨울 > | 동화 | 김명희 | < 눈 내린 아침 > | 희곡 | 강석현 윤형섭 | < 아이야 청산 가자 > < 저녁 > | 문학평론 | 현진현 | < 대중문화의 소설적 교란-김영하론 > | 영화평론 | 심은진 | < 틀, 세계, 영화-미술관 옆 동물원 > | 미술평론 | 장준석 | < 마음의 고향을 상실한 현대인을 위한 노래 - 한국 현대미술에서 불교미술의 역할과 가능성 > | 음악평론 | 전지영 | < 전통음악에 있어 신곡의 전개방향과 그 반성 > |
▶1999년도
중편소설 | 이우상(상우) | < 울음산 > | 단편소설 | 윤성희 | < 레고로 만든 집 > | 시 | 최경민 | < 흑백사진 > | 시조 | 김강호 | < 명경태 > | 동시 | 정갑숙 | < 나무와 새 > | 동화 | 정리태 | <굴뚝에서 나온 무지개 > | 희곡 | 김태웅 | < 달빛유희 > | 시나리오 | 이동하 | < 나는 너다 > | 문학평론 | 변지연 | < 사라진 아틀란티스 또는 텍스트의 운명 > | 영화평론 | 박명진 | < 일상성 또는 갇힌 길 위의 인생 > | 미술평론 | 전인권 | < 이중섭 예술의 구조와 종속적 미의식 > | 음악평론 | 김동준 | < 피아니스트 백건우의 음악세계 > |
▶1998년도
중편소설 | 조헌용 | < 새만금 간척사업에 대한 소고 > | 단편소설 | 최 인 | < 비어있는 방 > | 시 | 박택수 | < 자모의 검 > | 시조 | 우은숙 | < 밤에 눈뜨는 강 > | 동시 | 이혜용 | < 불장난 한 날 > | 동화 | 김정옥 | < 삼색나비 목걸이 > | 희곡 | 이향희 | < 알레르기 알레고리 > | 시나리오 | 오화영 | < 그녀들의 저녁식탁 > | 문학평론 | 김수림 | < 물과 구름의 도상학-김지하의 서정시에 대하여 > | 영화평론 | 김 연 | < 안토니아스 라인-오늘날 우리가 대안을 찾는 방식 > | 미술평론 | 김주환 | < 기호로서의 예술작품과 관객의 역할 > | 음악평론 | 김현수 | < 80년대 이후 대중음악 분석의 현단계와 그 유효성 > |
▶1997년도
중편소설 | 박자경 | < 달에게 > | 단편소설 | 유경희 | < 전갈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 | 시 | 배용제 이경임 | < 나는 날마다 전송된다 > <부드러운 감옥> | 시조 | 김가영 | < 대패질을 하다가 > | 동시 | 서재환 | < 새달력 > | 동화 | 김지은 | < 바람 속 바람 > | 희곡 | 이 헌 | < 호모 사피엔스 누드 크로키 > | 시나리오 | 양선희 | < 집으로 가는 길 > | 문학평론 | 김은호 | < 최인훈 화두에 대한 철학적 담론 > |
▶1996년도
중편소설 | 김후량 | < 달의 어두운 저편 > | 단편소설 | 조경란 | < 불란서 안경원 > | 시 | 고창환 | < 오월 > | 시조 | 이황진 | < 신라 옹관 앞에서 > | 동시 | 이성자 | < 오동잎을 따서 > | 동화 | 심강우 | < 혜수와 당나귀 열차 > | 희곡 | 정재원 | < 빈 의자 > | 시나리오 | 이현수 | < 폐쇄공포증 환자와 엘리베이터 타기 > | 문학평론 | 황치복 | < 죽음과 시간의 형이상학-황동규 '풍장'론 > | 미술평론 | 채홍기 | < 내면적 체험에서 길어올린 시대의 표상-한원 박석호론> | 음악평론 | 이소영 | < 국악기 개량 및 그 논의의 현황과 이후 전망 > |
▶1995년도
중편소설 | 전경린 은희경 | < 사막의 달 > < 이중주 > | 단편소설 | 류승찬 | < 희극을 찾아서 > | 시 | 김지연 | < 이런 세상 어떠세요 > | 시조 | 원은희 | < 마스가제호에서의 하루 > | 동시 | 이재성 | < 은행나무 방이리 > | 동화 | 신경자 | < 다시 뜨는 별 > | 희곡 | 양영찬 | < 눈뜨라, 부르는 소리가 있어 > | 시나리오 | 박 희 | < 잿빛 영혼들에게 굿모닝! > | 문학평론 | 손종업 | < 갇힌 불꽃의 몽상과 신화적 공간의 열림-오정희론 > | 미술평론 | 박일호 | < 리얼리티와 미술 그리고 키취 > | 음악평론 | 김정희 | < 90년대 음악, 그 비평적 상상력 > |
▶1994년도
중편소설 | 윤명제 | < 새를 찾아서 > | 단편소설 | 김승희 | < 산타페로 가는 사람 > | 시 | 김지연 | < 거듭나기 > | 시조 | 정성욱 | < 겨울 벌판에서 > | 동시 | 임현진 | < 아직도 초가집은 살아있어요 > | 동화 | 김남숙 | < 파랑새와 허수아비 > | 시나리오 | 한은실 | < 길라잡이 > | 문학평론 | 정끝별 | < 서늘한 패러디스트의 절망과 모색 > | 음악평론 | 김태균 | < 대중사회와 민요, 새로운 합의를 위한 시론 > |
▶1993년도
단편소설 | 유성식 | < 아주 사소한, 류씨 이야기 > | 시 | 이정록 | < 혈거시대 > | 시조 | 김태은 | < 영종도 > | 동시 | 정임조 | < 대왕암 > | 동화 | 최정희 | < 참개구리의 꽃잠 > | 희곡 | 박귀옥 | < 아빠 > | 시나리오 | 최혜숙 | < 창밖은 늪 > | 문학평론 | 오민석 | < 소통과 고백 그리고 화엄-황지우론 > | 미술평론 | 오세권 | < 한국미술 지배구조의 실제와 한계 > | 음악평론 | 손택경 | < 한국가곡의 재인식 문제에 관한 시론 > |
▶1992년도
중편소설 | 박혜근 | < 그대 흐르는강물 두번 못보리 > | 단편소설 | 윤재인 | < 상자를 찾아서 > | 시 | 반칠환 | < 갈 수 없는 그 곳, 가뭄 > | 시조 | 임찬일 | < 겨울, 설악에 와서 > | 동시 | 김문기 | < 숨쉬는 첨성대 > | 동화 | 김애영 | < 새 > | 희곡 | 박청호 | < 한 착한 남자의 불행 > | 음악평론 | 이정하 | < 개별음악작품의 현상학적 구조 > | 미술평론 | 이종숭 | <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 |
▶1991년도
중편소설 | 최승규 | < 마을 > | 단편소설 | 정윤우 | < 아내의 행방불명에 관하여 > | 시 | 장대송 | < 초분 > | 시조 | 강석파 | < 마라도 > | 동시 | 민경성 | < 기쁜날 > | 동화 | 선재희 | < 꽃샘눈 오시는 날 > | 희곡 | 윤학열 | < 유원지에서 생긴 일 > | 시나리오 | 이유미 | < 그대에게 이르는 먼 길 > | 문학평론 | 이경현 | < 재와 기름의 시학-만해 시'알 수 없어요'에 대하여 > | 미술평론 | 김현도 | < 포스트 모더니즘의 풍향 > |
▶1990년도
중편소설 | 엄창석 | < 화살과 구도 > | 단편소설 | 함정임 | < 광장으로 가는 길 > | 시 | 박라연 | <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 > | 시조 | 염창권 | < 강가에서 > | 동화 | 김은재 | < 새가 될거야 > | 희곡 | 강종필 | < 황금의 잔 > | 시나리오 | 최순식 | < 고래의 꿈 > | 문학평론 | 한만수 | < 우리들과 너희들, 그리고 그 사이-김해화론> | 미술평론 | 윤진섭 | < 로즈 셀라비여, 왜 재채기를 하는가 > |
▶1989년도
중편소설 | 한정희 | < 불타는 폐선 > | 단편소설 | 김현숙 | < 골고다의 길 > | 시 | 배진성 | < 우리들의 고향 > | 시조 | 이동백 | < 수몰민 > | 동시 | 김은영 | < 귤 > | 동화 | 황일현 | < 서울 가는 길 > | 희곡 | 신근수 | < 우리 좋은 날 > | 시나리오 | 허 숙 | < 녹색창 > | 문학평론 | 이동순 | < 시와 '구체적 싸움'의 진정성-김남주 시에 대하여 > | 미술평론 | 김숙경 | < 접목과 뿌리 > |
▶1988년도
중편소설 | 채희문 | < 병원 > | 단편소설 | 이혜경 | < 이앙기 > | 시 | 김정희 | < 사계 > | 시조 | 서재환 | < 불국토기 > | 동시 | 이희찬 | < 황태 > | 동화 | 이대호 | < 달아, 달아, 둥근 달아 > | 희곡 | 김윤미 | < 열차를 기다리며 > | 시나리오 | 이상준 | < 흰꽃 > | 미술평론 | 박신의 | < 미술비평에서의 후기 구조주의적 방법론 > | 문학평론 | 홍흥구 | < 민요의 시화운동과 신경림의 민요시 > | 음악평론 | 김헌선 | < 사물놀이, 세계음악으로의 그 벅찬 전망 > |
▶1987년도
중편소설 | 김지수 | < 등(燈) > | 단편소설 | 조순임 | < 뿔 > | 시 | 손진은 | < 돌 > | 시조 | 최도선 | < 풍속도 > | 동시 | 김동국 | < 대동여지도 > | 동화 | 신양순 | < 풀잎각시> | 희곡 | 장정일 | < 실내극 > | 시나리오 | 성동민 | < 떠도는 혼 > | 문학평론 | 박혜경 | < 폐쇄와 부정의 회로 > | 음악평론 | 송혜진 | < 창극, 미래 한국음악으로의 도약을 위해 > |
▶1986년도
중편소설 | 최성각 | < 잠자는 불 > | 단편소설 | 강병석 | < 낱말찾기 > | 시 | 강미영 | < 아라비아 영가 2 > | 시조 | 이주남 | < 빈이랑 일어나기 > | 동시 | 손광세 | < 허수아비 > | 동화 | 문선희 | < 소나무와 민들레 > | 희곡 | 윤선필 | < 바람꽃 > | 시나리오 | 윤평원 | < 정신과 병실 > | 문학평론 | 이유범 | < 이인칭 소설의 정체와 그 주변 > | 음악평론 | 주성혜 | < 한국 음악언어의 탄생을 위한 시론 > |
▶1985년도
중편소설 | 정영길 | < 무화과나무의 꽃 > | 단편소설 | 윤춘택 | < 아버지의 표창 > | 시 | 기형도 | < 안개 > | 시조 | 박영식 | < 백자를 곁에 두고 > | 동시 | 강영희 | < 산골짜기의 물 > | 동화 | 손연자 | < 바람이 울린 풍경소리는 > | 희곡 | 이용준 | < 심판 > | 문학평론 | 전정구 | < '되다'의 시학-'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 | 미술평론 | 서성록 | < 현대미술에 있어서의 반예술의 의미와 그 표현가능성 > | 음악평론 | 이장직 | < 음악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 |
▶1984년도
중편소설 | 권선숙 | < 숨은 문 > | 시 | 안도현 | < 서울로 가는 전봉준 > | 단편소설 | 황영옥 | < 새를 기다리며 > | 시조 | 권혁모 | < 하회동 소견 > | 동시 | 정두리 | < 다리 놓기 > | 동화 | 김서로 | < 꽃배 > | 희곡 | 김호태 | < 유명산 무명화 > | 시나리오 | 박구홍 | < 황홀한 귀향 > | 문학평론 | 유한근 | < 무의미 미학과 공간해체 > | 음악평론 | 임현경 | < 음악성의 개념-음악교육에 있어서의 그 위치와 의미 > |
▶1983년도
중편소설 | 이창동 | < 전리품 > | 단편소설 | 안석강 | < 국외자 > | 시 | 고운기 | < 밀물 드는 가을 저녁 무렵 > | 시조 | 손동연 | < 우리선생 백결 > | 동시 | 윤삼현 | < 달이 그린 수채화 > | 동화 | 김여울 | < 하느님의 발자국 소리 > | 시나리오 | 이환경 | < 겨울바람 > | 문학평론 | 민병욱 | < 식민지 지식인의 삶의 한 양상-이상의 일어체시 중심으로 > | 미술평론 | 임두빈 | < 한국 현대미술의 비평적 시각 > | 음악평론 | 민경찬 | < 저술을 통해 본 한국음악관 > |
▶1982년도
중편소설 | 지요하 | < 추상의 늪 > | 단편소설 | 이영옥 | < 흉터 > | 시 | 나해철 | < 영산포 1,2 > | 동시 | 전병호 | < 비닐 우산 > | 동화 | 이진호 | < 아지랑이로 짠 비단 > | 희곡 | 주재호 | < 우리들의 열쇠 > | 시나리오 | 황원갑 | < 연옥을 넘어서 > | 문학평론 | 백운복 | < 소재의 굴절과 형상화-현대시에 나타난 춘향의 시적 형상화 > | 미술평론 | 윤범모 | < 현대상황과 조형의식 > | 음악평론 | 성의정 | < 민족주의 음악과 민요사용 > |
▶1981년도
중편소설 | 우희태 | < 수자의 행방 > | 단편소설 | 이삼교 | < 대각선 > | 시 | 남진우 | < 로트레아몽백작의 방황과 좌절에 관한 일곱개의노트 혹은 절망연습 > | 시조 | 오승철 | < 겨울귤밭 > | 동시 | 신언련 | < 연 > | 동화 | 김운경 | < 하느님의 호주머니 속에는 무엇이 들어있을까 > | 희곡 | 김 훈 | < 빈방 > | 시나리오 | 이정인 | < 손 > | 문학평론 | 김은자 | < 꽃과 황금의 상상력구조-'님의 침묵'의 이미지 분석 > | 미술평론 | 유홍준 김해성 | < 묵로 이용우론 > < 의미와 시각 - 김환기작품론 > | 음악평론 | 한미숙 | < 서양 음악이론의 수용과 극복 > |
▶1980년도
중편소설 | 송우혜 | < 성(聖) 야곱의 싸움 > | 단편소설 | 조갑상 | < 혼자웃기 > | 시 | 하재봉 | < 유년시절 > | 시조 | 강영환 | < 남해 > | 동시 | 이준섭 | < 강강수월래 > | 동화 | 김래호 | < 하늘 땅땅만큼 좋아해요 > | 희곡 | 전기주 김응수 | < 아파트의 비둘기 > < 무 > | 시나리오 | 배광현 | < 신시(神市) > | 문학평론 | 권혁범 | < 주체적 사실주의와 사회적 의식화의 조화 > | 미술평론 | 김병종 | < 자유와 동질화의 초극 > | 음악평론 | 이석원 | < 몇 가지 생각-한국가곡을 중심으로 > |
▶1979년도
중편소설 | 이문열 이 순 | < 새하곡(塞下曲) > < 부자 실습 > | 단편소설 | 신상성 | < 회귀선 > | 시 | 원구식 | < 탑 > | 동시 | 조창호 | < 얼레 > | 동화 | 김 숙 | < 날개 달린 아가 > | 희곡 | 정성주 | < 하늘이여 > | 시나리오 | 김송원 | < 멍군 행길로 나서다 > | 문학평론 | 정과리 장석주 | < 고통의 개념화-조세희론 > 존재와 초월- 정현종론 | 미술평론 | 윤우학 | < 시각에의 도전 > |
▶1978년도
단편소설 | 박종원 | < 귀환일지 > | 시 | 성귀영 | < 작도(作圖) > | 시조 | 노중석 | < 단수편편 > | 동시 | 최영재 | < 쳇바퀴와 다람쥐 > | 동화 | 최리향 | < 봄을 타는 가게 > | 희곡 | 김한영 | < 폐선 > | 문학평론 | 김혜순 | < 시와 회화의 미학적 교류 > |
▶1977년도
단편소설 | 이균영 | < 바람과 도시 > | 시 | 강영환 | < 공중의 꽃 > | 시조 | 정시운 | < 나의 춤 > | 동시 | 조규영 | < 고추밭 > | 동화 | 이상교 | < 닭소리 > | 희곡 | 강추자 신용삼 | < 고양이 주리는 어디로 갔을까요 > < 묘원에서 > | 시나리오 | 이원영 |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리 > | 문학평론 | 이명재 | < 체념과 저항의 시학 > |
▶1976년도
단편소설 | 김민숙 | < 바다와 나비병 > | 시 | 오승강 | < 사림기행(辭林記行) > | 시조 | 정해송 | < 겨울바다에 서서 > | 동시 | 이수호 | < 산이슬 > | 동화 | 송재찬 | < 찬란한 믿음 > | 희곡 | 정복근 | < 여우 > | 시나리오 | 김 남 | < 겨울의 소리 > | 문학평론 | 조동민 | < 생명의 윤리 > |
▶1975년도
단편소설 | 현기영 | < 아버지 > | 시 | 이정휘 | < 일어서는 소리 > | 시조 | 임홍재 | < 염전에서 > | 동시 | 김영지 | < 비오는 날 > | 동화 | 이 현 | < 아기노루와 영이 > | 희곡 | 김현주 신근수 | < 동항(冬港) > < 불구경 > | 시나리오 | 지상학 이익태 | < 광화문 > <진혼곡> | 문학평론 | 정재관 | < 유교의 언어관과 문학 > |
▶1974년도
단편소설 | 한상칠 | < 개의 아픔 > | 시 | 송기원 | < 회복기의 노래 > | 시조 | 김지영 | < 비가 > | 동요 | 김흥수 | < 햇님 > | 동화 | 정만영 | < 광일이와 워리 > | 희곡 | 김윤신 | < 부활절 > | 시나리오 | 박홍규 이익태 | < 윤회설 > <아무도 없었던 휴가> | 문학평론 | 윤영천 | < 형식적 영원주의의 허상 > |
▶1973년도
단편소설 | 이태호 | < 횡적 > | 시 | 이동순 | < 마왕의 잠 > | 시조 | 오영빈 | < 어떤 충격 > | 동요 | 하청호 | < 봄에 > | 동화 | 정채봉 | < 꽃다발 > | 희곡 | 김봉호 | < 타령 > | 시나리오 | 하신희 | < 술집 또 오시네 > | 문학평론 | 조남현 | < 소설에 나타난 소리의 사상성과 도식성 > |
▶1972년도
단편소설 | 한수산 | < 사월의 끝 > | 시 | 이성애 | < 겨울 나무 > | 시조 | 김영진 | < 목련 > | 동요 | 이선열 | < 거울 > | 동화 | 정진채 | < 연밥 > | 희곡 | 이언호 | < 기관실 사람들 > | 시나리오 | 홍정식 | < 사람을 찾습니다 > | 문학평론 | 김종철 최원식 | < 역사관과 상상력 > < 신성사와 세속사의 갈등 > |
▶1971년도
단편소설 | 조성기 | < 만화경 > | 시 | 강상기 | < 편력 > | 시조 | 김종안 | < 부활 > | 동요 | 김소국 | < 철이와 남이의 하루 > | 동화 | 이오덕 | < 꿩 > | 희곡 | 이강백 | < 다섯 > | 문학평론 | 김흥규 | < 춘향 천의 얼굴 > |
▶1970년도
단편소설 | 오효진 | < 잉어와 곱추 > | 시 | 정희성 김창대 | < 변신 > < 방 화> | 시조 | 류병근 | < 단풍 > | 동요 | 김 규 | < 꽃씨 > | 동화 | 장재철 | < 거위와 두 형제 > | 희곡 | 박일동 | < 생명 > | 시나리오 | 이건용 송길한 | < 늪 > < 흑호(黑湖) > | 문학평론 | 오생근 | < 동물의 이미지를 통한 이상의 상상적 세계 > |
▶1969년도
단편소설 | 강준식 | < 월요일에 죽은 남자 > | 시 | 송기원 | <후반기의 노래 > | 시조 | 이송남 | < 석류초 > | 동요 | 김정일 | < 콩 두 알 > | 동화 | 이효성 | < 네 발 달린 우산 > | 희곡 | 이용희 이철 | < 까마귀떼 > <감사합니다> | 시나리오 | 정영환 김성환 | < 한해지대(旱害地帶) > < K씨의 하루 > | 문학평론 | 김인홍 | < 시의 언어와 의미 > |
▶1968년도
단편소설 | 김청조 | < 폭양 > | 시 | 마종하 | < 겨울 행진 > | 시조 | 윤금초 | < 안부 > | 동시 | 김록촌 | < 연 > | 동화 | 류정옥 | < 개구리 > | 희곡 | 김 남 | < 호수에 가을비 내리다 > | 시나리오 | 홍정식 | < 말복 > | 문학평론 | 정 변 | < 현대시와 시조와의 상관고 > |
▶1967년도
단편소설 | 백시종 | < 비둘기 > | 시 | 이성부 | < 우리들의 양식 > | 시조 | 정 신 | < 환억(幻憶) | 동시 | 정완영 | < 해바라기 처럼 > | 동화 | 이덕자 | < 발이 큰 아이 > | 희곡 | 윤대성 | < 출발 > | 시나리오 | 이은성 | < 녹슨 선 > | 문학평론 | 성민우 | < 접목을 위한 시고 > |
▶1966년도
단편소설 | 양문길 하기성 | < 부두주변 > < 도 주> | 시 | 이가림 | < 빙하기 > | 시조 | 김동준 김월준 | < 대안(對岸) > <나 무> | 동시 | 유재희 | < 아침 우물가 > | 동화 | 오탁번 | < 철이와 아버지 > | 희곡 | 오재호 | < 담배내기 > | 시나리오 | 유현종 박성조 | < 하수인 > < 여직공 달래 > | 문학평론 | 나종인 | < 로고레볼루션 > |
▶1965년도
단편소설 | 윤형복 | < 대결 > | 시 | 김광협 | < 강설기 > | 시조 | 박재두 | < 수련 > | 동시 | 현이숙 | < 인사 > | 동화 | 최하림 | < 비오는 날 > | 희곡 | 하경자 | < 비행장 옆 자선병원 > | 시나리오 | 이종세 | < 벨이 없는 광장 > | 문학평론 | 임중빈 | < 닫힌 사회의 캐리커쳐-김유정 연구초 > |
▶1964년도
단편소설 | 윤형복 | < 행복한 파국 > | 시 | 이 탄 | < 바람불다 > | 시조 | 정재호 | < 제3악장 > | 동요 | 남미영 | < 아기 송아지 > | 동화 | 최운걸 | < 흙 > | 희곡 | 김동경 | < 한씨 집안 아이들 > | 문학평론 | 김종출 | < 엑자일의 문학 > |
▶1963년도
단편소설 | 오춘자 배문호 | < 황야에서 > < 실낙원 > | 시 | 신명석 이수익 | < 나의 가장 슬픈 친구 이반 드트리비치 > < 당신께 드리는 나의 노래는 > | 시조 | 김석규 이덕영 최석청 | < 문 > < 꽃 > < 국화부 > | 동화 | 이희성 이종헌 윤두혁 | < 먼나라의 눈 > < 수현이와 옥진이 > < 낙하산 > | 희곡 | 김경만 | < 진실의 흉내 > | 문학평론 | 전호월 | < 한국문학의 새 과제 > |
▶1962년도
단편소설 | 허문녕 | < 세번째 사람 > | 시 | 김원호 원민수 | < 과수원 > <양지> | 시조 | 이근배 최동일 | < 보신각종 > < 자옥연사(紫玉蓮詞) > | 동화 | 허나미 이희성 | < 꽃 공 > < 엄마돈 누나돈 > | 희곡 | 최해군 | < 종막 > | 시나리오 | 박창룡 | < 경민(耕民) > |
▶1961년도
단편소설 | 홍성원 | < 전쟁 > | 시 | 이두형 박진환 | < 꽃과 병정 > < 해바라기 찬가 > | 시조 | 이우종 임선묵 | < 탑 > <애가> | 동요 | 박명환 | < 생각하는 사자 > |
▶1960년도
시 | 박열아 정진규 박진환 | <전표지역 > < 나팔서정 > < 가을의 시> | 시조 | 배병창 | < 기(旗) > | 동화 | 김용성 | < 돌이와 나 > | 시나리오 | 서창근 | < 무쇠 > |
▶1959년도
단편소설 | 성학원 송상옥 | < 인맥 > < 검은 잇빨 > | 시 | 박경훈 권성림 | < 탑 > < 흑(黑)의 연상 > | 시조 | 이선재 오신수 | < 실솔에게 > < 은하의 종이배 > | 동요 | 박용설 오신수 | < 푸른 감> < 꿈 그늘 > | 동화 | 노고수 | < 길이네 소> | 희곡 | 김 곤 김 천 | < 돌아온 순이 > < 발동기 > |
▶1958년도
단편소설 | 천승세 이정봉 | < 점례와 소 > < 질투 > | 시 | 강인섭 이상원 | < 산록(山鹿) > < 석상 > | 시조 | 박경용 조유로 | < 청자수병 > < 한연(寒戀) > | 동화 | 심형석 | < 화가 아저씨 > | 동요 | 오영이 | < 종이배 > | 희곡 | 박포랑 | < 곽(郭)센 > |
▶1957년도
단편소설 | 정연희 김동하 | < 파류상(破流狀) > < 묘지 > | 시 | 윤삼하 박영오 권일송 | < 벽 > < 역사괘도(歷史掛圖) > < 강변 이야기 >
| 시조 | 정소파 선병지 김기호 | < 설송사(雪松詞) > < 해녀 > < 청산별곡 > | 동화 | 김병총 | < 연과 얼굴 > | 동요 | 오경웅 | < 땅속의 꽃씨 > |
▶1956년도
단편소설 | 박영수 최관호 | < 벽 > < 박수위장(朴守衛長) > | 시 | 전영경 정벽봉 여영택 | < 정의와 미소 > < 지열 > < 담향(淡香) > | 동화 | 김종달 | < 일요일에 생긴 일 > |
▶1955년도
시 | 황 명 인태성 신동문 손우주 이교민 | < 분수 > < 낙화부 > < 풍선기 > < 포도원과 마적 > < 나 > | 시조 | 최성연 김기호 이규완 | < 핏자국 > < 옹화부(翁花賦) > < 십춘음(十春吟) > | 동화 | 심정희 정재섭 | < 봄과 함께 > < 잃어버린 책보 > | 동요 | 김원수 조기완 | < 소년과 메리 > < 순이의 마음 > |
▶1940년도
단편소설 | 강형구 | < 봉두메 > | 시 | 감형수 김영소 | < 마음 > < 병든 소녀상 > | 시조 | 오신혜 | < 눈 > | 동요 | 박원복 | < 하얀 눈 > | 동화 | 김상옥 | < 앉은뱅이꽃 > | 희곡 | 홍용택 | < 간조(干潮) > |
▶1939년도
단편소설 | 김 몽 | < 만세환 > | 시 | 설 영 | < 화전풍경 > | 시조 | 송달명 | < 사랑 > | 동요 | 김진경 이상선 강범구 | < 울 엄마 > < 밤 > < 웃집괭이 > | 동화 | 김기팔 | < 삼새와 순이 > | 희곡 | 여여헌 | < 방군(房軍) > |
▶1938년도
단편소설 | 곽하신 | < 실락원 > | 시 | 야고보 김영훈 | < 가마귀 >< 비탈길 > | 시조 | 황석대 이소정 | < 심송(心訟) >< 사시송(四時頌) > | 동요 | 허길옥 배영석 요 선 김병기 | < 꽈리 > < 동그라미 > < 산 > < 따쩌구리 > | 동화 | 정수민 | < 세발달린 황소 > | 희곡 | 김승구 | < 유민 > |
▶1936년도
단편소설 | 김동리 정비석 | < 산화(山火) >< 졸곡제(卒哭祭) > | 시 | 서정주 김혜숙 조가연 | < 벽(壁) > < 밀밭없는 동리 > < 조촌석경(趙村夕景) > | 시조 | 이호우 장초향 | < 영춘송(迎春頌) > < 한촌점회(寒村占懷) > | 동요 | 신석희 김덕재 최영구 | < 달각쪼 > < 무서운 밤 > < 불이야 > | 동화 | 노양아 임원호 | < 날아다니는 사람 > < 새빨간 능금 > | 희곡 | 이광래 | < 촌선생 > | 시나리오 | 박천민 | < 황혼 > |
▶1935년도
단편소설 | 김경운 김정영 | < 격랑 > < 이민열차 > | 시 | 이혜숙 황성수 | < 님의 송가 > < 불삼킨 리야에서 일어나거라 > | 시조 | 김비노 한해룡 | < 서소주(屠蘇酒) > < 겨울달밤 > | 동요 | 황명애 이복진 송철희 이석동 | < 참새생도 > < 자선반 사과 > < 우리집 > < 베마당질 > | 동화 | 정순철 노양근 | < 꽁지 없는 참새 > < 참새와 구렁이 > | 희곡 | 한태천 | < 토성낭 > | 콩트 | 송한범 | < 숟가락 > |
▶1934년도
단편소설 | 최인준 운 향 방휴남 | < 황소 > < 입원 > < 외투 > | 시 | 조명암 김만연 | < 동방의 태양을 쏘라 > < 나는 한 병졸이오 > | 시조 | 이상회 빛별생 | < 새봄 새기운 > < 살아지이다 > | 희곡 | 이해남 | < 인간만화 > | 시가 | 명 암 실명씨 강운성 | < 서울의 노래 > < 서울띠기-언퍼레이드 > < 농부가 > | 평론 | 윤고종 송 민 | < 조선문단을 논함 > < 예술과 인격 > |
▶1933년도
시 | 고재흥 황순원 | < 소가둔(蘇家屯)의 여명 > < 우리의 새날을 피바다에 떠서 > | 시조 | 박승걸 비노생 | < 병후감춘(病後感春) > < 새봄맞이 > | 동요 | 이적세 김 철 H H | < 장꾼 > < 동냥중 > < 비둘기 > | 동화 | 유 연 수 봉 이옥경 이용주 | < 만두장수와 눈사람 > < 꿀벌이야기 > < 효녀 정희 > < 소녀의 심정 > | 희곡 | 이서향 남 경 이해남 김일환 | < 제방을 넘은 곳 > < 심판 > < 뒤집혀진 삼각형 > < 허영녀와 그 남편 > |
▶1932년도
단편소설 | 문성훈 김현홍 | < 명랑한 전망 > < 국화 > | 시 | 유수정 이정구 | <그대 들은 무슨 탑을 쌓으려하는가 > < 도로 못가는 밤 > | 시조 | 장두한 | < 무제 > | 동요 | 김자겸 공일동 강군일 조춘연 최수일 정준걸 우철선 정윤경 | < 집지키는 아이의 노래 > < 별 > < 우리집 > < 노을 > < 어린 병정 > < 내가 크면 > < 눈싸움 > | 동화 | 박세랑 | < 엿단지 > | 희곡 | 이 선 | < 한낮에 꿈꾸는 사람들 > |
▶1931년도
시가 | 차일로 형 규 박노홍 | < 조선의 노래 > < 조선의 노래 > < 조선의 노래 > | 한시 | 호상잠부 황전연 최해태 | < 조선의 노래 > < 조선의 노래 > < 조선의 노래 > |
▶1930년도
단편소설 | 방휴남 김명수 | < 갑돌 > < 두 전차 인수펙터 > | 동요 | 김귀환 박고경 | < 동리의원 > < 편지 > | 동화 | 이덕성 김철수 김완동 | < 귀여운 복수 > < 어머니를 위하여 > < 구원의 나팔소리 > | 희곡 | 신서원 박근선 포 일 이석훈 | < 물방앗간 > < 어여쁜 동지 > < 대나무침대 > < 궐녀(厥女)는 왜 자살했는가 > |
▶1929년도
단편소설 | 이석신 이일광 박남조 | < 인정 > < 세모편경(歲暮片景) > < 젊은 개척자 > |
▶1928년도
단편소설 | 한형종 채봉석 | < 홍수 > < 가정교사 > |
▶1927년도
단편소설 | 김남주 김덕혜 이 문 | < 소작인 김첨지 > < 그릇된 동경 > < 짓밟힌 이의 웃음 > | 시 | 해 강 정태연 박아지 김시용 | < 새날의 기원 > < 우리는 일꾼이여 > < 어머니시여 > < 우리는 아이 > | 동요 | 최영기 이낙영 | < 밤 자귀 소리 > < 달밤 > |
▶1925년도
단편소설 | 최자영 최 풍 이영근 | < 오빠의 이혼사건 > < 방랑의 광인 > < 출교(黜敎) > | 시 | 김창술 기 환 유기춘 노양근 | < 봄 > < 농부 > < 바람 > < 거짓말씀 > | 동요 | 한창동 장석전 유택관 | < 소금쟁이 > < 연꽃 > < 가마귀 > | 동화 | 연근용 윤석중 마태영 신필희 | < 날개 없는 비둘기 > < 올빼미의 눈 > < 비밀의 열쇠 > < 표백소녀 > | 가정소설 | 이문옥 유해성 | < 시집살이 > < 의문의 P자 > |
▶1923년도
단편소설 | 김인길 신필희 김홍원 | < 비련 > < 사진 > < 화(靴) > | 시 | 박승만 임병규 소 공 조창선 | < 신(神)의 주(酒) > < 가을 > < 누나 > < 후회 > | 시조 | 명 운 이걸소 천 애 성원영 최효성 | < 들에 가자 > < 웃음 > < 꿈 > < 나의 소원 > < 저녁시내 > | 동요 | 유도순 이헌구 송강생 | < 별 > < 봄 > < 수주머니 > | 동화 | 상 회 Eㄹ 생 태종혁 | < 길남이와 순녀 > < 귀먹은 집오리 > < 의좋은 삼남매 > | 일막각본 | 인두표 태종혁 | < 무명 > < 개혁 > | 감상문 | 구천우 윤선양 명 운 | < 적혼(赤魂) > < 뜬구름 > < 어떤 아침 > | 논문 | 황득삼 김종태 김기영 김수형 이경준 송재붕 | < 현하사회(現下社會)의 폐막 > < 소작문제해결책 > < 조선인의 경제적 활로 > |
|
첫댓글 작품 찾아봐야겠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실 걸로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