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과 함께 바뀐 원자력 정책… 원전, 해체인가? 산업인가?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부산과 울산 접경 지역에 건립되는
원전해체연구소(원해연) 명칭과 기능이 변경됐답니다.
더불어 문재인 정부 때인
2020년 4월 설립 계획이 확정돼
올해 하반기 준공 예정이었으나,
이 또한 2026년 전체 준공 예정으로 미뤄졌는데요.
이에 본지 취재진은 공사 현장을 찾아 현황을 살폈습니다.
원전해체연구소(원해연)은 울산과 부산 접경 지역에
‘고리 원전 1호기 안전 해체’ 등을 위해
올해 하반기 준공될 예정이었는데요.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펼치며
원전 해체를 위한 물밑작업을 펼쳤답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해체보다는 산업적 측면에서의 운영에 초점을 맞췄고,
고리 원전 2~4호 등을 다시 계속 운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지난 정부 5년간 탈원전으로 원전 생태계가
고사 일보 직전까지 갔지만,
어렵게 살려내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답니다.
이에 정부는 원해연의 기능을
고리 원전 1호기 안전 해체와 더불어
실증 체계와 수출 지원 기능 등을 갖춘
‘종합 플랫폼’으로 확대했는데요.
명칭도 ‘원자력해체연구소’에서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원복연)’으로 변경.
명칭 변경 사실은 지난해 4월에 진행됐으나,
8개월이 지난 12월에 공개됐답니다.
원복연은 관련 부속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탈락 등으로 착공이 지연되다
2022년 10월 말 첫삽을 떴는데요.
이 과정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인프라 구축 계획을 일부 수정했답니다.
당초 원해연 때는 ‘사무동, 연구동, 원자로 모형 시험동,
방사화학 분석동, 실증 시험동’ 등
5개 동으로 구성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산업부는 방사선 관리 시설인
‘방사화학 분석동’을 ‘실증 시험동’에 포함시켜
총 4개 동으로 짓기로 결정했는데요.
방사선 안전사고 가능성을 줄여
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한편 원복연이 구축되고 있는 울산 울주군 서생면 인근에서
취재진은 관계자로부터 1단계 시설이
95% 정도 완성됐다는 설명을 들었답니다.
공사 현장 관계자는
“현재 1단계 시설은 95% 정도 완성됐다”라며
“오는 10월16일을 목표로 공사에 매진하고 있다”라고
밝혔답니다.
이어 지난 3일 원복연 관계자는 취재진에게
“9월 목표였던 1단계 시설은 계약서상의 날짜인
10월16일 준공 예정이다.
최종 2단계 시설까지는 2026년 말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나아가 초창기 준공 예정 일자였던
올해에서 2년 후로 연기된 이유에 대해서는
“발주가 늦게 나갔다”라고 답변했답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기업의 기술 개발을 돕기 위한 인프라 형성과
원전 해체 기술 보유 기업에 대한
수출 컨설팅 기능 등이 갖춰질 것”이라고 밝혔지만,
일각에서는 ‘산업 육성’으로 무게가 분산되면
원복연 건립의 본래 취지인
‘고리 1호 원전 안전 해체’가
후순위로 밀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옵니다.
한편 KBS는 지난달 26일 ‘원복연’ 시설 관련
입찰 과정에서 뇌물이 오고 갔다는 기사를 보도했는데요.
KBS에 따르면 검찰은 감리업체들이
사업 낙찰을 대가로 심사위원 4명에게
각각 2000만 원의 뇌물을 제공했다고 밝혔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