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hea1019/220158380332
장애인 차량 구입시 혜택
자애인 차량 구입시에는 장애인 증명서나 상이 등급이 기재된 국가 유공자 증서를 제시하면 장애인 차량 구입이 가능하며 개벼로비세를 비롯한 취득세 등 다양한 면세혜택과 요금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1. 면세 혜택
개별소비세(개소세) 면세 내용
- 면세대상 : 일반장애인 1~3급(시각장애인 4급 포함), 국가유공상이 1~7급
- 면세내용 : 배기량 제한없이 개별소비세 면제(본인명의 또는 공동명의 모두 해당)
- 재구매 기한 : 노후차 폐차 또는 장애인에게 양도시 5년 내 재구매 가능
지방세(서울시 기준) 면세 내용
- 면세대상 : 일반장애인 1~3급, 국가유공상이 1~7급
- 면세내용 : 취득세, 등록세, 자동차세
- 면세범위 : 배기량 2000㏄ 이하 승용차, 7~15인승 승합자동차, 1톤 이하 화물차, 이륜자동차 중 1대
공채 면세
- 면세대상 : 국가유공상이 1~7급, 장애인으로 등록된 자
재산 미포함 혜택
장애인 차량으로 2,000㏄ 이하 자동차를 구매할 경우 재산에 포함되지 않아 자동차세나 의료보험료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2. 장애인용 LPG 차량 구매
- 구입대상 : 장애인 1~6급, 국가유공자
- 본인 사망시 : 해당차량 소유자 또는 상속자에 대해 LPG차량 허용
장애인 또는 공동명의 장애인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LPG 자동차 구입이 가능하지만 일반
3. 기타 혜택
장애인 차량은 고속도로 통행료를 50% 감면 받을 수 있으며 관공서 등의 주차장에 설치된 장애인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장애인 표지를 발급받게되면 공용주차료의 80% 감면이 가능합니다. 다만 보행이 불가능한 장애인에 한해서 장애인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 차량 구입시 혜택>

장애인 차량 공동명의 조건
장애인 차량을 가족과 공동명의로 구입하기 위해서는 공동명의 구입자가 장애인과 함께 주민등록상 세대를 함께 해야 하며 가족범위도 직계비속, 형제자매, 배우자, 직계비속의 배우자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또한 차량 출고 후 5년간 동일세대를 유지해야 장애인 차량 공동명의 구입과 장애인 차량 구입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공동명의 서류 : 차량등록증+책임보험영수증+주민등록등본+지분확인서(인감도장 날인)+복지카드 등 기타 확인서류
차량 구입시(출고시) 준비 서류
- 차량 구입시 제출 서류 : 장애인 증명서 또는 국가유공자 증서
- 차량 출고시 제출 서류 :
* 일반장애인 - 장애인 증명서 사본+자동차 등록증 사본+운전면허증 사본
* 국가유공자 - 상이등급이 기재된 국가유공자 증서+주민등록등본 원본+등록원부갑부 원본(공동명의 확인용)
장애인 차량은 구매 후 5년이 지나야 일반인에게 판매가 가능하며 장애인에게 판매할 경우엔 5년 이내 판매가 가능합니다. 공동명의로 장애인 차량을 구입한 경우 차량 출고 후 5년간 동일세대원으로 거주해야 한다는 점도 유념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