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견례의 발음
상견례를 계속 [상견녜]로 발음해오다 어느날 문득 [상결례]가 맞는 발음이 아닌가 궁금해졌다.
진리[질리], 난리[날:리], 민란[밀란], 순리[술:리], 광한루[광:할루] 등등 'ㄹ' 앞에서 'ㄴ' 발음이 거의 [ㄹ]로 발음 되기에 [상결례]가 맞을 것 같다는 막연한 생각.
그런데 생산량[생산냥], 입원료[이붠뇨] 등등 [ㄴ]으로 발음 되는 경우도 있지 않은가?
오늘에야 그 모든 궁금증이 해결되었다.
아래글은 한겨레 신문에서 부분적으로 옮겨온 글입니다.
1989년 문교부에서 고시한 <표준발음법> 제5장 제20항을 보면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된다.
난로[날:로], 신라[실라], 천리[철리], 광한루[광:할루]"
그런데 <표준발음법> 제5장 제20항은 다음과 같은 단서 조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ㄹ'을 [ㄴ]으로 발음한다.
의견란[의:견난], 임진란[임:진난], 생산량[생산냥],
결단력[결딴녁], 공권력[공꿘녁], 동원령[동:원녕],
상견례[상견녜], 횡단로[횡단노], 이원론[이:원논],
입원료[이붠뇨], 구근류[구근뉴]"
이러한 단서 조항은 <표준발음법> 제20조 제20항이 절대적 조건이 아니라 실제 발음이 'ㄴㄴ'으로 날 경우에는'ㄴㄴ'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하는 상대적인 조건이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알고 나니 참 뿌듯하기는 한데 괜한 짓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 국어사전에 이렇게 잘 나와 있는데......
상견-례[相見禮]
상견례 [-녜]
1 공식적으로 서로 만나 보는 예. ¶ 신랑 신부의 ~.
2 새로 부임하는 사부나 빈객이 동궁에게 뵙던 예.
첫댓글 기다렸는데 드뎌 오셨군요
공부하고 담아 갑니다.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