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로 당일 여행떠납니다.
목포는 항구다라는 노래도 있고, 영화도 있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마지막 여름햇살을 뚫고 목포로 GOGO~씽

목포까지 ktx가 운행하면서 한결 가깝죠잉~
맛과 멋의 고장 목포는 감성과 열정이 가득한 곳입니다.
열차오가니까 휠체어 사용하는 분들 목포여행이 한결 쉽죠잉~
이번여행은 보조인도 동행했습니다.
보조인은 목포역 근처 자전거 포에서 자전거 렌트해서
전동휠체어랑 속도를 맞췄죠~잉ㅋㅋㅋㅋ

이정표를 따라 목포여행 시작합니다.
역에서 내려서 어디로갈까 고민하다가 근대역사관 먼저 가기로 했습니다.

가는 길 에 민어 거리입니다.
민어는 고급생선이라고 하는데요,목포역 근처에 민어 거리가 있더라구요.
반가웠지만 워낙에 비싼 생선이어서 그냥 지나 칠수 밖에요 ㅠㅠ

국도 1.2번 도로 원표 이곳부터 1번국도가 시작됐는데요.
1호선 국도의 총길이는 498.7㎞ 라고 합니다.
국도 1호선 (1번국도) 은 전라남도 목포시의 유달동 사거리에서 시작하여,
무안군,함평군을 거쳐 세종시 천안시 평택, 서울 마포 파주 판문점 까지 가는 통일로 가는 길입니다.

판문점을 쭉 지나서 북쪽을 지나 중국 지나 유럽까지 가면 좋겠다는생각을.
도로원 표지판을 보면서 그런 했는데요.
목포에서 신의주 까지 거리가 937키로 미터라고하네요.
통일이 오면 꼭 가봐야 할 것을 기원하면서 유달산으로 발길을 옮겼습니다.

유달산 가는 길목에 있는곳인데요.
목포가 유달산을 끼고 형성된 도시라서
지형이 높고 산동네가 많습니다.
그렇다보니 계단이 발달할 수 밖에요
계단과 급한 경사길이어서
휠체어 접근이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낡은 계단에 예뿐 그림옷을 입혔지만 접근 할 수 없으니까
보는 것만으로 만족할 수 밖에 없는 아쉬움이 있었고요
유달산 가는 길이 영 션찮아서 바로 아래 있는
근대역사관으로 갔습니다

이곳이 대역사관인데요.
여행지가 거기서 거기이고, 가깝게 있어서
휠체어로 여행하기 딱 좋았습니다.
근대역사 박물관은 구 동양척식 주식회사 목포지점 건물인데요.
근세 서양건축의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는 곳입니다.
항도 목포의 110년 전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고
백 년 전에는 격동과 파란으로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었죠.
당시만 해도 슬픔과 기쁨이 무수히 교차했던 시가라서
사람은 물론 도시들도 갑자기 부상하고 쇠퇴하곤 했었습니다.
목포근대역사관은 한국 역사의 자각 의식을 불러일으키 곳입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오래된 건물이어서 휠체어 접근이 불편해서요.
겉으로만 목포의 근대역사관을 볼 수 밖에 없었습니다.ㅠㅠ

여긴 근대역사관 바로 위에 있는 구 목포 일본 영사관입니다.
구 일본영사관은요, 목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데요.
1897년 목포항이 개항되면서 그 다음해에 일본영사관이 목포에 지은 건물인데요.
광복이후엔 목포시청으로 사용하다가,
다시 시립도서관으로 사용되다가,
1990년부터 목포문화원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목포는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개항되어 성장한 근대도시잖아요,
일제강점기 한국수탈의 기점 역할을 했던 눈물의 도시이기도 하고요.
구, 영사관은 우리역사에서 놓쳐서는 안 되는 중요한 역사적 현장으로써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요.
목포의 문화재중 유일하게 국가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아픔을 가직한 곳이지만 다시는 되풀이 하면 안되는죠.
건물의 내부는 세월이 흐르면서 상당히 변형되었다고 하고요.
당시의 모습을 찾아보기는 어렵고 천정의 문양이나 띠둘림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외형은 백년의 세월이 지났음에도 무척이나 견고한 모습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고
백년 넘은 건물이고 높은 곳에 있어서,
이곳도 휠체어 진입은 안됩니다
할수 없이 외관으로 아픔의 역사를 보고 느낄 수밖에 없는 곳입니다.
언제쯤 마음놓고 휠체어를 사용하는 살람도 접근 할 수 있을지....
ㅠㅠ

이정표는 어딜가나 길 잡이 역활을 하죠~잉
목포도 이정표가 길안내를 잘 하더라구요.

진 역사 공원인데요.
여긴 올라가는 길이 완전 급 경사입니다
그러니까 목포여행가서 휠체어로 진역사 공원 올라가면 꼭꼭꼭 보조인 동행하고 올라가세요.
아님 올라가지 마세요.
그닥 볼거리 많은 건 아닌데
전..타고난 호기심? 때문에
궁금한것 못참거든요.
그래도 올라가 봤는데 목포 시내가 보이긴 하더라구요.

목포 진은 조선시대 수근의 진영있었는데요
진의 우두머리인 만호가 배치되었다고 해서
만호진 이라고도 불렀다고 합니다.
목포는 영산강 하구를 안고 있어서
바다로 연결되는 요충지라고 합니다.
호남과 경상남부지역으로 통하는 세곡로이기 때문에
조선 초기부터 중요한 곳이라고 주목받았다고 합니다.

이번엔 김대중 노벨 평화상 기념관입니다.
한반도와 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신장, 햇볕정책을 통해서.
남북한의 화해·협력관계 발전과 세계 평화를 위해 헌신한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는데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생애를 모두 볼 수 있는 곳입니다.
민주주의·인권·평화를 위해 헌신하는 삶이었죠.
다섯번의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도
한국 현대사 격동기의 중심에서 '행동하는 양심'의 삶을 실천했습니다.
그리고 자신을 탄압하고 모함했던 사람들과 화해하고 용서했습니다.
2층 전시실엔 노벨 평화상의 영광의 얼굴들이 전시돼 있는데요.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투쟁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아웅산 수치, 넬슨만델라, 시몬페리스, 만틴 루터킹,
야시르 알라파트 가 수상했고요.
국제관계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수상자는
시어도어 루스벨트, 코피아난, 빌리브란트,
아리스티드 브리앙, 미하일 고르바초프입니다.
노벨평화상은 어려운 사람들을 돌보는 사람도 수상하잖아요.
사회적 약자를 위해서 노력한 사람중 엔요 앙리뒤낭, 적십자 설립한 분이고요.
테라사스녀님, 노벨평화상 수상 단체로는 유니세프,
적십자 국제위원회가 수상했습니다.

넬슨 만델라

테라사 스녀님입니다.
인도여행 때 꼴까타에서
테라사 스녀님이 운영하는 시설에서 봉사활동 했었거든요.
제가 활동한 곳은 중증장애 아동을 수용한 시설이었는데요.
인도에 대규모 시설이 생기면서
부모들이 아이들을 시설앞에 버리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구요.
시설엔 수녀님들이 수용된 사람들을 돌보는 것이 아니고요
인도여인들을 고용해서 수용자들을 돌봅니다.
그런데...
고용된 인도사람들이 인권인식이 없어서
아이를 돌보다가 때리기도 하고요.
암튼 겉으로 보는 것과 다르게 불편한 곳이었습니다.
시설엔 여러 나라에서 자원봉사하러 오는 사람이 엄청 많고요
인도여행 왔다가 콜카타에 들러 자원봉사하고 가는 사람이 대부분 입니다.
암튼
불편한 진실은 그곳에도 존재하더라구요.
전 장애인 당사자라서 그런지 시설이 대형화 하는 것에 대해서
많이 불편하고
선진국과 우리나라에서는 시설 없애고 자립생활 하자고 하는데
가난한 나라에는 서양인들이 시설을 만드는 추세이고
시설에서 한번 수용되면 죽어서만이 나갈 수 있는 현실이 참 안탑깝더라구요.
사람은 역시 장애가 있건 없건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야죠~잉

이번엔 목포 어린이 바다 과학관 입니다.
과학관 전시관엔 잠수정 외형 그대로 만들어서 전시하는데요.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외형이어서
조명을 통하여 체험 동선을 유도합니다.
잠수정 내부 통로는 점차적으로 빛이 줄어드는 조명효과 때문에
잠수정이 깊은 바다로 입수할 때 들리는 음향이 들리고요
잠수정 기계음이 들을 수 있어서 바다 깊이 내려가는 경험 할 수 있습니다.

귀신 물고기 무셥죠~잉?ㅋㅋㅋ
깊은 바다 전시관엔 깊은 바다의 해산(바다의 산)해구를 가상의 해저지형을 보고 만질 수 있는 체험교육 공간입니다.
무인탐사정이 바닷속 자원채취 모습을 영상으로 출력 할 수 있고
체험순서를 기다리면서 로봇팔이 자원 채취하는 과정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이곳은 깊은 바다 속 환경을 느낄 수 있는데요.
칼라글라스는 바다생물 이미지로 연출하고
이생물들이 디지털바다에서 살아 움직입니다.
애니메이션을 통해 목포인근바다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생물이
자유롭게 생활하는 모습을 멀티수족관 영상으로 볼 수 있죠~잉

과학관 앞에 있는 등대 체험관 인데요.
여긴 휠체어 접근이 안되는 곳 입니다.

목포역 근처 전당포 입니다.
시간이 머물러 있는 전당포를 보면서
옛 생각이 났는데요.
시계도 잡히고, 양복도 잡혀서 살던 어려운 시절이 생각나더라구요

역시 목포는 맛있는 음식으로 가득한 곳입니다.
음식을 시키면 상다리가 부러질 정도로 반찬이 끝없이 나옵니다.

목포는 항구다, 가는 길
용산 역에서 KTX 타면 2시간 30분정도면 도착하고요.
용산에서 KTX 산천 07:55분 ~10: 30분 목포역 도착
목포에서 KTX 18:50~20:17분 용산역 도착
식당은 목포역 앞이나 민어거리에
휠체어 접근할 수 있는 곳이 있으니까요.
입맛대로 골라 드시면 됩니다.
화장실은 목포역과 김대중 기념관, 어린이 과학관에 있죠~잉.


#휠체어 배낭여행
http://cafe.daum.net/travelwheelch
익숙한 풍경, 낯선 이야기
http://blog.naver.com/jys-6709
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sun67mm
첫댓글 ktx내에서 전동휠체어 충전 가능한가요?
ktx 산천만 가능합니다.
전 재작년 벚곷이 만발한 봄날 자동차여행으로 동아 본 곳입니다.
전동이로 돌기에는 가리가 문제가 될 것 같은데요?
모두 전동으로 이동 했어요?
거리는 얼마나 되나요?
네, 전동으로 충분한 거리 입니다. 여행지가 가깝게 있거든요.
윤선님 ! ktx 전동스쿠터 이용가능합니까 ?
넹~가능합니다~^^
목포여행 좋아요^^
휠체어 접근이 안되는 곳이 참 많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