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16:16~22 / 슬픔이 기쁨이 되리라고 말씀하신 예수님
(요 16:16) 조금 있으면 너희가 나를 보지 못하겠고 또 조금 있으면 나를 보리라 하시니
(요 16:17) 제자 중에서 서로 말하되 우리에게 말씀하신 바 조금 있으면 나를 보지 못하겠고 또 조금 있으면 나를 보리라 하시며 또 내가 아버지께로 감이라 하신 것이 무슨 말씀이냐 하고
(요 16:18) 또 말하되 조금 있으면이라 하신 말씀이 무슨 말씀이냐 무엇을 말씀하시는지 알지 못하노라 하거늘
(요 16:19) 예수께서 그 묻고자 함을 아시고 이르시되 내 말이 조금 있으면 나를 보지 못하겠고 또 조금 있으면 나를 보리라 하므로 서로 문의하느냐
(요 16:20)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는 곡하고 애통하겠으나 세상은 기뻐하리라 너희는 근심하겠으나 너희 근심이 도리어 기쁨이 되리라
(요 16:21) 여자가 해산하게 되면 그 때가 이르렀으므로 근심하나 아기를 낳으면 세상에 사람 난 기쁨으로 말미암아 그 고통을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느니라
(요 16:22) 지금은 너희가 근심하나 내가 다시 너희를 보리니 너희 마음이 기쁠 것이요 너희 기쁨을 빼앗을 자가 없으리라
제자들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잠시 슬퍼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부활하시고 성령으로 오심으로 그들은 기쁨이 충만해집니다.
그들은 성령 안에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하고 기도의 응답을 받음으로 기쁨이 충만해집니다. 우리는 부활하신 예수님으로 인하여 기쁨이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16~19절 본문에는 ‘조금 있으면’ 이라는 말이 7번 반복됩니다.
예수님은 조금 있으면 제자들이 예수님을 보지 못하지만 조금 있으면 볼 수 있다고 하십니다. 조금 있으면 이라는 뜻이 무엇인지를 모르는 제자들에게 예수님이 그 뜻을 설명해 주십니다.
예수님은 조금 있으면 하루 후면 십자가에 죽으십니다. 그러면 제자들은 예수님을 보지 못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조금 있으면 3일 후에 부활하십니다. 제자들이 3일 후에 예수님을 볼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부활 후 조금 있으면 40일 후에 승천하여 예수님을 보지 못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조금 있으면 열흘 후에 오순절 날 성령으로 오셔서 제자들이 예수님을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과 영원히 함께 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으시는 것은 잠깐입니다. 그러나 부활의 영광은 영원합니다.
제자들은 이 세상에서 슬픔이 있고 근심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잠시동안이라는 것입니다. 제자들은 조금 후에 성령님을 통하여 영원한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사도 바울은 현재의 고난은 장차 나타날 영광과 족히 비교할 수 없다고 하십니다.
우리는 내가 받는 고통이 조금 동안이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의 노염은 잠깐이요 은총은 영원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핍박받습니다. 병으로 고통합니다. 물질적으로 어려움을 당합니다.
하나님의 역사가 성장이 없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잠시 동안이라는 것을 알면 우리는 넉넉히 참을 수 있습니다. 고난은 조금 있으면 다 지나갑니다.
욥이 자식을 잃고 재산을 잃고 건강을 잃었습니다. 완전히 패닉에 빠졌습니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였습니다. 잠시 후에 모든 것이 회복되었습니다. IMF의 경제 위기 때 많은 사람이 자살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경제 위기가 잠시라는 것을 알았다면 자살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우리는 고통을 당하면 그것이 영원할 것처럼 생각합니다. 그러나 잠시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만약에 고통이 영원히 지속된다고 생각하면, 참지 못하고 더욱 힘들어할 것입니다.
20절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는 곡하고 애통하겠으나 세상은 기뻐하리라 너희는 근심하겠으나 너희 근심이 도리어 기쁨이 되리라”
세상 사람들은 예수님의 죽음을 기뻐합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죄를 회개하라고 책망하여 속이 시끄러웠는데 예수님이 죽어서 속이 시원하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제자들은 예수님의 죽음으로 곡하고 애통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것이 역전됩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이 근심하겠으나 도리어 근심이 기쁨이 될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반면에 기뻐하던 세상은 하나님의 심판을 생각하고 슬퍼하고 고통할 것입니다.
21~22절 예수님은 제자들의 근심은 해산하는 여인이 받는 고통과 같다고 말씀하십니다.
여자가 해산하면 그때가 이르러서 근심합니다. 해산할 때 고통합니다. 해산하는 여인의 고통은 잠시입니다. 길어야 하루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그 고통이 의미 있는 고통이라는 것입니다. 잠시의 고통 후에 평생의 기쁨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여자는 잠시 후에 고통이 끝나고 아기가 태어납니다. 아기를 만나는 기쁨은 평생의 기쁨입니다. 여자가 아기를 낳으면 세상에 아기 난 기쁨으로 말미암아 해산의 고통을 기억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인들이 둘째나 셋째를 낳고 다섯까지 낳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으시니 제자들은 근심합니다. 그러나 그 고통은 잠시입니다. 십자가는 의미 있는 고통입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의 죽음을 잠시 겪지만 부활하십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를 통하여 세상 만민을 구원하십니다. 예수님이 승천하여 성령으로 다시 오십니다.
성령님은 새로 태어나는 아이와 같습니다. 제자들은 성령님을 맞이하는 기쁨으로 십자가의 고난을 생각지 않습니다. 성령님이 주시는 기쁨은 내면에서 우러나는 기쁨입니다.
세상이 제자들의 기쁨을 빼앗을 수 없다고 하십니다.
세상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일들은 우리의 기쁨을 빼앗아 가고자 합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는 크고 작은 일들이 계속하여 일어납니다.
그러나 그런 것이 구원받은 우리의 기쁨을 빼앗아 갈 수 없습니다.
우리 안에 기쁨을 주시는 성령님이 계시기 때문입니다. 성령님은 더 크신 분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