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6년까지 건립
마포 기존시설 2035년 철거
100억 규모 주민복지 기금
1000억 주민 편익시설 조성
오세훈 "용량 늘린 새 소각장
현대화·지하화로 인식 바뀔것"
마포구 "또 우리냐" 철회 요구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일평균 1000t의 폐기물을 소각할 수 있는 자원회수시설이 들어선다. 현재 운영 중인 자원회수시설은 2035년에 철거한다. 서울시는 연간 100억원 규모의 주민복지증진 기금을 마련하는 한편 소각시설 상부에 1000억원 규모의 주민 편익시설을 조성하기로 했다. 그러나 마포구는 사전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됐다며 전면 철회를 요구하고 나서 진통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31일 서울 시내 다섯 번째 자원회수시설 입지를 마포구 상암동으로 발표했다. 현재 마포구는 상암동 난지도 공원과 하늘공원 사이에 일평균 소각용량 750t 규모의 자원회수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해당 용지에 일평균 1000t을 소각할 수 있는 새로운 자원회수시설을 2026년 말까지 건립하고 기존의 자원회수시설은 2035년까지 철거한다는 게 서울시 계획이다.
서울시가 시내 자원회수시설 중 가장 큰 규모의 새 시설 건립 계획을 밝힌 것은 2026년 1월 1일부터 수도권 매립지에 소각하지 않은 생활폐기물 매립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1992년 서울 난지도에 위치했던 매립지가 폐쇄되면서 서울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인천 서구와 경기 김포시에 위치한 수도권 매립지에서 처리되고 있다.
서울시는 현재 4개 자원회수시설(양천·노원·강남·마포)에서 쓰레기를 소각해 내보내고 있는데, 시설이 노후화하면서 일평균 소각량이 서울시 하루 폐기물 발생량 3200t에 크게 못 미치는 2200t으로 줄어든 상황이다. 1000t가량의 폐기물을 추가로 소각하지 않으면 2026년부터는 매립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우려에 따라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입지 선정 작업을 해왔다. 위원회는 전문 용역기관을 통해 서울 전역의 6만여 개소를 조사해 36개소 입지 후보지를 정한 뒤 이를 5개로 압축한 결과 최종 후보지로 마포구 상암동 일대를 정했다.
위원회는 상암동이 입지 300m 이내에 주거 가구 수가 없을뿐더러 현재 이미 이 지역이 폐기물 처리시설로 지정돼 있어 따로 도시계획시설 결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 토지가 시유지라 활용이 용이하다는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위원회가 공개한 입지 후보지 평가 기준에 따르면 평가는 입지·사회·환경·기술·경제적 조건을 점수화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는데, 마포구 상암동은 총점 94.9점으로 2위 입지보다 3점 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소각장 상부에 스키장을 조성한 덴마크의 '아마게르 바케' 등을 예로 들며 상암동 공원과 수변공간이 잘 어울리는 명소를 조성하겠다는 '당근책'도 함께 내놨다.
하지만 곧바로 마포구의 거센 항의에 부딪혔다. 마포구 시의원·구의원 일동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2035년까지 9년 동안 마포구에만 자원회수시설 2개가 가동된다"면서 건립 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국민의힘 소속인 박강수 마포구청장도 "마포구는 서울에서 유일한 화력발전소 분진과 낙진도 견뎠고 1968년 밤섬 폭파도 참아왔다"면서 설치 방침을 전면 백지화하라고 맞섰다.
서울시가 기존 마포 자원회수시설의 폐기 계획을 함께 밝힌 것도 논란을 일으켰다. 2035년부터는 다시 750t가량의 폐기물을 소각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제시한 해법은 마포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자원회수시설을 현대화해 소각용량 750t 규모를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기존 3개(노원·양천·강남) 시설의 현대화에 대한 용역과 연구 분석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3개 시설의 경우 완공 연도가 1996년에서 2001년으로, 2035년에는 일반적인 자원회수시설 사용연한인 30년을 넘어서는 상황이 된다.
서울시는 기존 시설의 소각용량에서 추가 시설이 소각용량의 30%를 넘지 않는 경우 입지선정위원회 없이도 현대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현대화 관련 연구용역은 올해 12월 중 완료된다.
한편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오후 마포구 서교동에서 열린 위기가구 발굴체계 점검 간담회에서 "자원회수시설을 새롭게 만든다고 보지 말고 용량을 늘리고 기존 시설을 없앤다는 관점에서 봐달라"면서 "새로 만들어지는 시설은 현대화·지하화되면서 주민 여러분이 바라는 형태로 바뀔 것"이라고 주민 달래기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