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참의 구타]
예전에 탈영했다가 자살하려 한 군인 이야기가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어찌됐을까요?
조금만 참지... 그걸 못 참아 인생을 송두리째 수렁 속으로 집어넣는지...
탈영 원인이 뭔지는 모르지만,
왜 선임을 두 명이나 총으로 쏘고 갔는지...
다행스럽게도 언론에서 '고참'이라고 안 하고 '선임'이라고 하더군요.
참 다행입니다.
'고참'이 뭔지 아시죠?
'오래전부터 한 직위나 직장 따위에 머물러 있는 사람'을 말하는데,
국립국어원에서 '선임', '선임자', '선참', '선참자'로 다등은 낱말입니다.
실은 이 '고참'은 古參(こさん, [고상])이라는 일본어에서 왔거든요.
당연히 다른 낱말로 바꿀 수 있으면 바꿔야죠.
또, 군대 이야기하면서 자주 나오는 '구타'도 일본어 毆打(おうだ, [오우다])에서 온 말입니다.
아직 국립국어원에서 '때림'과 같은 낱말로 다듬지는 않았지만,
될 수 있으면 쓰지 않는 게 좋겠죠.
편지를 쓰면서도 가슴이 답답하네요.
한 은이의 인생이 불쌍해서 답답하고,
일본어 투 낱말이 우리 주위에 너무 많이 있다는 것을 다시 확인하게 되어서 답답하고......
그래도 우리는 많이 웃어야겠죠?
지금 3초만 웃고 나서 하루를 시작합시다.
-우리말123
보태기)
'고참'과 상대적인 뜻이 있는 '신참'도 일본어 新參(しんざん, [신상])에서 왔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진작 '새내기'로 다듬었습니다.
'풋내기'도 좋은데...
첫댓글 선생님! 잘 다녀오셨군요.선생님 안계신 카페의 허전함, 없어 봐야 존재의 소중함을 느낀다는 그 말 뜻을 새롭게 느꼈습니다.어안 선생님! 고맙습니다.늘 건강하십시오.
고마워요. 다시 오른 백두산 천지는 수줍게 도사린채 제 모습 보여주길 꺼려 하더군요. 엿본 것 만으로도 행복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