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단(단락)이란 여러 개의 문장이 모여서 하나의 통일된 생각을 나타내는 글의 단위를 말합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말을 할 때 상대방이 못 알아들었다면 알아들을 때까지 계속 이야기를 합니다. 그래서 상대방이 알아듣게 된 후에라야 다음 이야기로 넘어 갈 수 있는 것입니다. 글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독자가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부연·상술하거나, 예를 들거나 함으로써 독자들이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하나의 통일된 생각 즉, 문단의 주제를 중심으로 그것들을 뒷받침하는 문장들을 배열함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문단이 이루어집니다.
글쓰기에서 문단은 큰 생각의 단위입니다. 하나의 큰 생각이 하나의 문단이 됩니다. 커다란 생각을 중심으로 부연하거나, 상술하거나, 근거를 들어 구체화시키는 문장들이 결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논술에서 문단의 개수는 서론, 본론, 결론 합해서 5,6개 정도면 적당합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논변의 장소인 본론에서 3,4개의 문단이 자리를 잡게 됩니다.
왜 문단을 나누나요?
∵ 전체를 부분으로 나누어 글의 내용을 뚜렷하게 드러내기 위해서
∵ 나타내고자 하는 생각이나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 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는 데 유용한 단위이기 때문에
∵ 독자에게 간간이 쉴 틈을 주기 위해서
어떻게 구성하나요?
문단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핵심내용을 나타내는 문장인 중심문장과 그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풀이하는 문장인 뒷받침 문장으로 구성합니다. 뒷받침 문장은 중심문장에 대한 이유나 근거·사실·사례 등을 나열하여 독자의 이해를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진단평가>
◈ <보기>에서 2단계 과제를 수행한 결과로 적절한 것은? ▶ ③
========================================================================
<보기>
※ 1단계 : 단어로 놀기
먼저 특정 단어 ㉠을 생각해 보고, 그 단어에서 연상되는 단어들을 자유롭게 쓰시오.
※ 2단계 : 문장으로 놀기
연상된 단어들 중에서 한 개의 단어 ㉡을 선택한 후 아래 조건에 맞도록 문장을 완성하시오.
조건 1) ㉠을 주어로, ㉡을 서술어로 문장을 구성한다.
2)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다.
3) 감각적 이미지 중 하나가 드러나게 한다.
※ 3단계 : 단락으로 놀기
2단계에서 만든 문장을 뒷받침할 4~5개 문장으로 된 단락을 완성하시오.
========================================================================
① 단풍은 울긋불긋 아름답다.
② 아버지는 든든한 버팀목이다.
③ 엄마는 따뜻한 보온밥통이다.
④ 추억은 희미한 연기처럼…….
⑤ 학교는 우리의 미래를 위한 바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