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에 나타난 첫 번째 언약(창 2:1~17)
1. 천지와 만물이 다 이루어지니라
2.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3. 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 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4. ○이것이 천지가 창조될 때에 하늘과 땅의 내력이니 여호와 하나님이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날에
5. 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으며
6. 안개만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더라
7.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
8. 여호와 하나님이 동방의 에덴에 동산을 창설하시고 그 지으신 사람을 거기 두시니라
9. 여호와 하나님이 그 땅에서 보기에 아름답고 먹기에 좋은 나무가 나게 하시니 동산 가운데에는 생명 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도 있더라
10. 강이 에덴에서 흘러 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져 네 근원이 되었으니
11. 첫째의 이름은 비손이라 금이 있는 하윌라 온 땅을 둘렀으며
12. 그 땅의 금은 순금이요 그 곳에는 베델리엄과 호마노도 있으며
13. 둘째 강의 이름은 기혼이라 구스 온 땅을 둘렀고
14. 셋째 강의 이름은 힛데겔이라 앗수르 동쪽으로 흘렀으며 넷째 강은 유브라데더라
15.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어 그것을 경작하며 지키게 하시고
16.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명하여 이르시되 동산 각종 나무의 열매는 네가 임의로 먹되
17.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하시니라
구분: 행위언약
언약: 선악과 언약
대상: 범죄 이전 인류의 대표 아담과 하와
내용: 선악과를 먹지 말라는 명령에 대한 순종과 불순종 여부에 따른 영생과 죽음을 선언함
표징: 선악과와 생명나무
참고구절: 창 2:16-17
출처: 라이프성경사전 ‘성경의 주요언약들’
행위 언약 ( Covenant of Works) 은 언약 신학에서 유래된 것으로 은혜 언약과 같이 사용되는 신학적 용어이다. 이 말의 어원은 정확하지 않으나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창세기 3장에 나오는 아담과 하와의 선악과 사건 즉, 인류의 타락이 되기 이전과 이후로 나뉘어 행위 언약은 이전, 은혜 언약은 이후로 나뉘게 된다.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의 이승구 (1959년)교수는 행위 언약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를 아담 이후의 모든 인류가 사망에 이르게 된 이유에 대하여 가장 잘 설명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언약적 형벌'을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도구라고 말한다. 또한 '언약적 머리'라고 하는 '대표성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두 머리 즉, 아담과 그리스도를 연결시키는 데 활용이 가능한 것을 예로 든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유예기간'(Probation)은 창세기 2장과 3장의 타락전에 사용되며, 이것이 행위언약의 시기를 의미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7장에서 다룬 언약신학에서 행위언약이 언급되고 있다. 2절에서 '사람과 맺은 최초의 언약은 행위언약이었으니 이 언약에 따라서 완전하고, 자발적인 순종을 조건으로 하여 아담과 아담이 대표하는 그의 후손들에게 생명이 약속되었다.' 또한 3절에서 '사람이 타락함으로 행위언약으로는 생명에 이를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그 기쁘신 뜻대로 은혜언약이라고 부르는 제2의 언약을 맺으셨다’
출처: 위키백과 ‘행위언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