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훈
조지훈(趙芝薰 1920년 ~ 1968년)은
일제 강점기 이후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수필가, 한국학 연구가, 시인으로, 청록파 시인 중 한 사람이다.
독립유공자 조승기(趙承基)의 6명의 증손자 중 한 명이기도 하며, 조태열 전 주유엔대사가 그의 3남이다. 사촌 여동생 조동원은 박준규 전 국회의장의 아내이다.
경북 영양에서 태어났다.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실 마을에 종가가 있는데 상당한 명문가로 통한다. 본관은 한양(漢陽)이고 본명은 조동탁(趙東卓)이다. 독학으로 중학 과정을 마치고서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혜화전문학교 문과를 나와서 불교와 인연을 맺는다. 그는 1939년 《문장》지에 〈고풍의상〉과 〈승무〉를 추천받아 문단에 등장하였다. 또 한의학자 겸 제헌 국회 의원으로서 정치가였던 부친 조헌영이 6.25 전쟁 때 납북되고, 조부 조인석은 6.25 전쟁 때 좌익 청년들이 자신을 모욕하고 집안에서 난리를 치자 그 수치감에 자살해버렸다.
광복 후 경기여자고등학교 교사와 동국대학교 강사, 고려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1961년 벨기에에서 열린 국제 시인 회의에 대한민국 대표로 참석하였다. 이듬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장에 취임하면서 민족문화 개발에 주력하였다.
그의 삶을 보면, 그가 쓴 지조론이 그를 대변한다. “지조를 지키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자기의 신념에 어긋날 때면 목숨을 걸어 항거하여 타협하지 않고 부정과 불의한 권력 앞에는 최저의 생활, 최악의 곤욕을 무릅쓸 각오가 없으면 섣불리 지조를 입에 담아서는 안 된다.”
(지조론 중에서)
그는 과거 같은 민족을 탄압했던 친일 세력이 광복이 되자 미국에 달라붙어 친미 세력으로 변신하는 모습을 혐오했고 그 중심에 있던 이승만의 자유당을 뒤엎어버리고 싶어했다. 그래서 4.19 혁명 때 앞장서서 학생 운동을 지지했고 학생이 앞장서 혁명의 선두가 되기를 요청했고 4.19 이후 권력 공백기간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박정희 정권에 처음에는 우호적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자신의 정치 세력이 없던 박정희가 같은 일본 군인 출신들과 친일 자유당 인물들을 주축으로 공화당을 만들고 결정적으로 한일협정을 추진하기 시작한 이후부터는 극명하게 비판적인 태도로 돌아섰다.
오늘의 대학생은 무엇을 자임하는가? 학문에의 침잠을 방패 삼아 이 참혹한 민족적 현실에 눈감으려는 경향은 없는가? (중략) 오늘의 대학생은 무엇을 자임하여야 할 것인가? 다시 한 번 우리는 민족의 지사, 구국의 투사로서 자임해야 할 시기가 왔다.”
-조지훈이 고대 신문에 기고한 「오늘의 대학생은 무엇을 자임하는가」중에서-
정치적 성향 자체는 진보가 아니라 정통적인 보수라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그 때문에 김수영 시인에게 비판 당했다. 김일성 만세 참조. 신경림 시인에 의하면 생전의 지론이 '부도덕하고 경박한 진보주의자보다 도덕적이고 성실한 보수주의자가 역사에 더 많이 기여한다.'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정부와 대립하면서 강경하게 나가는 진보적 문인들에게도 한 소리 했다는 말도 있다. 종합적으로 개인적 정치 성향은 보수적이지만 그럼에도 당시 정권들은 도저히 인정할 수 없었던 그 정도의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청록파의 한 사람으로 명시를 많이 남긴 조지훈의 시는 주로 자연, 무속, 선을 소재로 한 민족다운 색채가 짙고 불교 세계를 향한 관심은 종교의식을 일깨워 작품에 반영되었다. 박목월과 박두진을 비롯한 다른 청록파 시인이 후에 시 세계를 근본으로 변혁했는데 조지훈은 초기 자연과 친화한 시 세계를 꽤 많이 유지하였다. 1956년 자유문학상을 받았다. 그 후로도 활발히 문학 활동을 하며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중 1968년 5월 고혈압으로 토혈한 후 입원, 고혈압과 기관지확장증의 합병증으로 5월 17일 49세의 젊은 나이로 끝내 타계했다.
시집으로 《청록집》과 《조지훈 시선》이 있고 수필집 《창에 기대어》, 논문집 《한국 민족운동사》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