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子 |
壬 癸 |
亥와 子 의 水는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은 찬 물이나 냉기를 의미한다. 해수로부터 수기가 시작하나 나무나 금과 같은 고체와는 달리 물이나 불과 같은 유체는 그 기운이 응집될수록 기운이 강화되기에 자수가 해수보다 강력한 양의 기운을 띄게 된다. 그래서 해수는 지장간의 본기로 양간을 가지고 있으나 12지지로는 자수가 양의 기운을 가진다. 이러한 자수는 음양의 변화 즉 수화(水火)의 순환을 시작하는 기운으로 생명력이 강한 쥐가 이를 상징한다. 자수는 임수의 기운과 계수의 물질화한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서 찬 물과 그 냉기를 나타내며 수가의 강도로서는 임수와 자수의 중간 성질을 가진다고볼수 있다. 현공풍수의 24방위에서 북향이 임자계의 순서로 되어 있음이 이를 상징한다. 자수는 일반적인 개념으로는 水氣의 생명력이나 모든 새로운 시작 그 자체나 그 개념을 상징한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자수를 상징하는 찬물은 내부에 가지고 있는 강력한 고유진동수가 태양 열복사의 고유진동수와 쉽게 공명을 일으키는 성질이 있기에 뜨거운 태양열에 해당하는 오화와 같은 기운을 만나면 자오충 소음군화에 의해 더운 열기를 방출한다. |
丑 |
癸 辛 己 |
지장간으로 나타난 계신기가 의미하듯이 단단하게(신금) 얼어붙은 물이(계수) 동토처럼 잔뜩 농축(기토)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냉기가 압축되어 봄(spring)에 스프링처럼 튀어 나옴을 용이하게 한다. 물을 얼음으로 응고시켜 응고열을 방출시킴으로 더욱더 차게 응결 압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마디로 축토의 역할은 찬수기를 전진상승하는 목기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축토는 자수의 본질을 세상에 발현시키는 구심점 역할을 하여 자수와 축토는 자축이라는 육합이외에 자축의 오행배열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자축인은 자의 본질과 축의 변환발현의 능력 그리고 인의 발생을 3자구조를 가진다. 이는 묘진사, 유술해 그리고 유술해의 모든 계절의 변화가 같은 기능으로 묘사된다. |
첫댓글 해수는 난수라고 해서 목을 기를수가 있지만 자수는 냉수라 그것이 안되죠. 즉 수생목을 하느냐 마느냐의 차이입니다.
운에 영향이 있어도 자수는 절대로 수생목 못하나요?
자수가 목을 기룰수 없다라는 편견을 버려야 할것 같군요...내공의 깊히는 자수에서 나오는거지 해수에서 나온것이 아니랍니다.지속적인 성장가능성은 계수 자수에서 나온답니다.
잘 읽었습니다. 지장간(子-癸)과 월률분야(子-壬癸)는 다른 개념으로 용도에 맞는 사용을 해야 하므로 구분을 해야 하지 않을까요? 본인의 역학강의방 지장간에 관한 서투른 글에서는 분리를 하였습니다만....,
지장간과 월률분야를 아는 몇안되는 사람중에 한분이군요
공부 감사합니다, 하나 子를 鼠(쥐)로 표현함은 생명력이 강해서가 아니라 子水(水의 旺地)의 陰氣가 최고로 깊어(靜;고요함 陰의 極)있는 中에 하나의 陽氣가 動(움직이고 활동하는)하는 모습을 동물에 비유하여, 깊은밤에 활발히 움직이나 드러나지 않고(陰極始生一陽) 있는 기운을 동물을 빌어서 설명하고져 한것이라 사료 됩니다. 子-午君火의 실행은 戊土의 조건이 갖추어질때 일어나게 됩니다. 여기에서 戊는 土라는 의미가 아니라 戊가 癸를 보고 火化하려는 조건을 말합니다.
참 좋은 글입니다. 子와 鼠(쥐)의 관계성, 子-午소음君火(2)의 실행은 土化작용으로 인해 이뤄지는 것으로 말씀하신대로 알고 있습니다. 子속의 一陽(동지일양시생)은 결국 木인데 亥(甲壬-6水)에서 풍부한 壬水陽水(洋水)로 보호되면서 잉태되 子(一水) 에서 생명의 발아를 위하여 더 응축을 하고(木의 튀는 spring을 위하여), 丑土의 토화작용의 도움을 받아(癸水의 부드러운 물과 辛金의 응고로 결실, 자양을 위한 습토인 己), 寅木으로 탄생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인간도 결실(辛金)을 위하여 마찰해 불(丁火)을 내고 불의 도움을 받은 건조한 土(戊土)가 癸水와의 묘합을 미연에 준비를 해두고 土化作用으로 생명의 진원지인
북방水 겨울을 갈무리하면서 이러한 亥子丑-寅의 과정을 밟아 인간(寅木)을 탄생하나 봅니다. 참고 : 여기서 亥(6水), 子(1水)는 用으로가 아니라 體로 말한 것임.
좋은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