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hammānudhamma 法隨法(法, 隨法, 法隨法, 法과 隨法)
dhammānudhammappaṭipannassa, bhikkhave, bhikkhuno ayam anudhammo hoti
비구들이여, [출세간]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는 비구에게는
이것이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이다. (S22:39~42)
yaṃ rūpe nibbidābahulo vihareyya, vedanāya nibbidābahulo vihareyya,
saññā nibbidābahulo vihareyya, saṅkhāresu nibbidābahulo vihareyya,
viññāṇe nibbidābahulo vihareyya.
그는 물질에 대해서 많은 염오를 하며 머물러야 하고,
느낌에 대해서 … 인식에 대해서 … 심리현상들에 대해서 …
알음알이에 대해서 많은 염오를 하며 머물러야 한다.
隨法
saddhassa, bhikkhave, sāvakassa satthusāsane pariyogāhiya vattato ayamanudhammo hoti —
비구들이여, 스승의 교법에 믿음을 가진 제자가 통찰하여 취할 때,
다음과 같이 생각하는 것은 법다운 것이다.
‘satthā bhagavā, sāvakohamasmi; jānāti bhagavā, nāhaṃ jānāmī’ti.
'세존은 스승이시고, 나는 제자이다. 세존께서는 아시고, 나는 알지 못한다.'라고.
saddhassa, bhikkhave, sāvakassa satthusāsane pariyogāhiya vattato
ruḷhanīyaṃ satthusāsanaṃ hoti ojavantaṃ.
비구들이여, 스승의 교법에 믿음을 가진 제자가 통찰하여 취할 때
스승의 교법은 증장할 것이고 자양분을 가진다.
saddhassa, bhikkhave, sāvakassa satthusāsane pariyogāhiya vattato ayamanudhammo hoti —
‘kāmaṃ taco ca nhāru ca aṭṭhi ca avasissatu, sarīre upasussatu maṃsalohitaṃ,
yaṃ taṃ purisathāmena purisavīriyena purisaparakkamena pattabbaṃ
na taṃ apāpuṇitvā vīriyassa saṇṭhānaṃ bhavissatī’ti.
비구들이여, 스승의 교법에 믿음을 가진 제자가 통찰하여 취할 때,
다음과 같이 생각하는 것은 법다운 것이다.
'피부와 힘줄과 뼈가 쇠약해지고 몸에 살점과 피가 마르더라도 남자다운 근력과 남자다운 노력과
남자다운 분발로써 얻어야 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정진을 계속하리라.'라고,
khīṇāsavassa, bhikkhave, bhikkhuno vusitavato katakaraṇīyassa ohitabhārassa anuppattasadatthassa
parikkhīṇabhavasaṃyojanassa sammadaññāvimuttassa ayamanudhammo hoti veyyākaraṇāya —
비구들이여, 번뇌가 다했고 삶을 완성했으며 할 바를 다 했고 짐을 내려놓았으며
참된 이상을 실현했고 삶의 족쇄를 부수었으며 바른 구경의 지혜로 해탈한 비구는
자연스럽게 이와 같이 설명할 것이다.
“ṭhānaṃ kho panetaṃ, sunakkhatta, vijjati
yaṃ idhekacco purisapuggalo lokāmisādhimutto assa.
lokāmisādhimuttassa kho, sunakkhatta, purisapuggalassa tappatirūpī ceva kathā saṇṭhāti,
tadanudhammañca anuvitakketi, anuvicāreti, tañca purisaṃ bhajati, tena ca vittiṃ āpajjati;
āneñjapaṭisaṃyuttāya ca pana kathāya kacchamānāya na sussūsati, na sotaṃ odahati,
na aññā cittaṃ upaṭṭhāpeti , na ca taṃ purisaṃ bhajati, na ca tena vittiṃ āpajjati.
수낙캇따여, 이런 경우가 있을 것이다.
여기 어떤 사람은 세속적인 것에 마음을 기울일 것이다.
수낙캇따여, 세속적인 것에 마음을 기울이는 사람은 그것과 관련된 이야기에만 관심을 가지고
그것과 관련된 것만을 생각하고 계속해서 관심을 가진다.
그는 그런 부류의 사람과 교제하고 그를 통해서 만족을 얻는다.
흔들림 없음에 관한 이야기를 하게 되면 들으려 하지 않고 귀 기울이지 않고 알고자 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고 그런 부류의 사람과 교제하지 않고 그를 통해 만족을 얻지 못한다.
…
“ṭhānaṃ kho panetaṃ, sunakkhatta, vijjati
yaṃ idhekacco purisapuggalo sammā nibbānādhimutto assa.
sammā nibbānādhimuttassa kho, sunakkhatta, purisapuggalassa tappatirūpī ceva kathā saṇṭhāti,
tadanudhammañca anuvitakketi, anuvicāreti, tañca purisaṃ bhajati, tena ca vittiṃ āpajjati;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paṭisaṃyuttāya ca pana kathāya kacchamānāya na sussūsati,
na sotaṃ odahati, na aññā cittaṃ upaṭṭhāpeti, na ca taṃ purisaṃ bhajati,
na ca tena vittiṃ āpajjati.
“so evaṃ pajānāti —
‘imañce ahaṃ upekkhaṃ evaṃ parisuddhaṃ evaṃ pariyodātaṃ
ākāsānañcāyatanaṃ upasaṃhareyyaṃ, tadanudhammañca cittaṃ bhāveyyaṃ.
evaṃ me ayaṃ upekkhā taṃnissitā tadupādānā ciraṃ dīghamaddhānaṃ tiṭṭheyya.
그는 이와 같이 꿰뚫어 안다.
'내가 만일 이와 같이 청정하고 이와 같이 순수한 평온을
공무변처로 기울여서 적절하게 마음을 닦는다면
이런 나의 평온은 그것을 의지하고 그것을 취착하여 아주 오랜 세월을 머물게 될 것이다.
“so jarāmaraṇañca pajānāti, jarāmaraṇasamudayañca pajānāti, jarāmaraṇanirodhañca pajānāti,
yā ca jarāmaraṇanirodhasāruppagāminī paṭipadā tañca pajānāti,
tathā paṭipanno ca hoti anudhammacārī;
그는 늙음 · 죽음을 꿰뚫어 알고 늙음 · 죽음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늙음 · 죽음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늙음 · 죽음의 소멸과 일치함으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뚫어 안다. 그는 여기에 준해서 도를 닦고 법에 따라서 실천한다.
“saddhāpabbajitassa, bhikkhave, kulaputtassa ayamanudhammo hoti —
yaṃ rūpe nibbidābahulo vihareyya.
vedanāya ... pe ... saññāya... saṅkhāresu...
viññāṇe nibbidābahulo vihareyya.
비구들이여, 믿음으로 출가한 선남자가 물질에 염오하기를 많이 하고
느낌에 … 인식에 … 심리현상들에 …
알음알이에 염오하기를 많이 하는 것이 법에 수순하는 것이다.
*무상, 고, 무아...(S22:149)
法隨法
여래께서 설하신 法律을 알아듣는 사람은 드물고,
알아듣더라도 그 法에 따라 法을 닦는 사람은 더욱 더 드물다.
tathāgatassa arahato sammāsambuddhassa pātubhāvo dullabho lokasmiṃ,
tathāgatappaveditassa dhammavinayassa desetā puggalo dullabho lokasmiṃ,
tathāgatappaveditassa dhammavinayassa desitassa viññātā puggalo dullabho lokasmiṃ,
tathāgatappaveditassa dhammavinayassa desitassa viññātā
dhammānudhammappaṭipanno puggalo dullabho lokasmiṃ,
kataññū katavedī puggalo dullabho lokasmiṃ.
imesaṃ kho, licchavī, pañcannaṃ ratanānaṃ pātubhāvo dullabho lokasmin”ti.
여래 · 아라한 · 정등각의 출현은 세상에서 아주 드물다.
여래가 선언하신 법과 율을 설하는 사람은 세상에서 아주 드물다.
여래가 선언하신 법과 율을 설할 때 이를 아는 사람은 세상에서 아주 드물다.
여래가 선언하신 법과 율을 설할 때 알아듣지만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는 사람은 세상에서 아주 드물다.
은혜를 알고 은혜에 보답할 줄 아는 사람은 세상에서 아주 드물다.
릿차위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보배의 출현은 세상에서 아주 드물다.
abhiratena panāvuso, kiṃ dukkaran”ti?
“abhiratena kho, āvuso, dhammānudhammappaṭipatti dukkarā”ti.
“도반이여, 그런데 [출가를] 기뻐하는 자에게 행하기 어려운 것은 무엇입니까?”
“도반이여,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는 것이
[출가를] 기뻐하는 자에게 행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idha, bhikkhave, bhikkhu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khippanisanti ca hoti kusalesu dhammesu;
유익한 법들을 재빠르게 안다. <*nisanti:Careful attention or observation>
sutānañca dhammānaṃ dhāraṇajātiko hoti;
들은 법들을 잘 호지한다.
dhātānañca dhammānaṃ atthūpaparikkhitā hoti;
호지한 법들의 뜻을 잘 숙고한다.
atthamaññāya dhammamaññāya dhammānudhammappaṭipanno ca hoti;
뜻을 완전하게 알고 법을 완전하게 안 뒤에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는다.
…
idha, bhikkhave, bhikkhu na heva kho khippanisanti ca hoti kusalesu dhammesu;
no ca sutānaṃ dhammānaṃ dhāraṇajātiko hoti;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유익한 법들을 재빠르게 알지 못한다.
들은 법들을 잘 호지하지도 못한다.
dhātānañca dhammānaṃ atthūpaparikkhitā hoti;
atthamaññāya dhammamaññāya dhammānudhammappaṭipanno ca hoti;
그러나 호지한 법들의 뜻을 잘 숙고한다.
뜻을 완전하게 알고 법을 완전하게 안 뒤에 [출세간]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는다.
no ca kalyāṇavāco hoti ... pe ...
atthassa viññāpaniyā; no ca sandassako hoti ... pe ... sabrahmacārīnaṃ .
그러나 선한 말을 하지 않고, 선한 말씨를 가지지 않았고, 예의바르게 말하지 않고,
명확하고 흠이 없고 뜻을 바르게 전달하는 언변을 구족하지 못하였다.
청정범행을 닦는 동료 수행자들을 가르치고 격려하고 분발하게 하고 기쁘게 하지 않는다.
imehi kho, bhikkhave, dvī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alaṃ attano, nālaṃ paresaṃ.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법을 갖춘 비구는 자신에게는 충분하지만 남에게는 충분하지 못하다.
jarāmaraṇassa ce bhikkhu 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paṭipanno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bhikkhū’ti alaṃ vacanāya.
비구여, 만일 늙음 · 죽음을 염오하고 탐욕이 빛바래고 소멸하기 위해서
도를 닦으면 그를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는 비구'라 부르기에 적당하다.
‘jarāmaraṇassa ce, āvuso, bhikkhu 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dhammaṃ deseti,
dhammakathiko bhikkhūti alaṃ vacanāya.
jarāmaraṇassa ce, āvuso, bhikkhu 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paṭipanno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bhikkhūti alaṃ vacanāya.
jarāmaraṇassa ce, āvuso, bhikkhu nibbidā virāgā nirodhā anupādā vimutto hoti,
diṭṭhadhammanibbānappatto bhikkhūti alaṃ vacanāya.
도반이여, 만일 비구가 늙음 · 죽음에 대해서 염오하고 탐욕이 빛바래고 소멸하기 위해서
법을 설하면 그를 법을 설하는 비구라 부르기에 적당합니다.
도반이여, 만일 비구가 늙음 · 죽음에 대해서 염오하고 탐욕이 빛바래고 소멸하기 위해서
도를 닦으면 그를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는 비구라 부르기에 적당합니다.
도반이여, 만일 비구가 늙음 · 죽음을 염오하고 빛바래고 소멸하여 취착 없이 해탈하면
그를 지금 · 여기[現法]에서 열반을 실현하는 비구라 부르기에 적당합니다.
... pe ...
manassa ce, bhikkhu, 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dhammaṃ deseti,
‘dhammakathiko bhikkhū’ti alaṃvacanāya.
manassa ce, bhikkhu, 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paṭipanno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bhikkhū’ti alaṃvacanāya.
manassa ce, bhikkhu, nibbidā virāgā nirodhā anupādāvimutto hoti,
‘diṭṭhadhammanibbānappatto bhikkhū’ti alaṃvacanāyā”ti.
…
마노를 염오하고 마노에 대한 탐욕을 빛바래게 하고 마노를 소멸하기 위해서 법을 설하면
그를 '법을 설하는 비구'라 부르기에 적당하다.
만일 마노를 염오하고 마노에 대한 탐욕을 빛바래게 하고 마노를 소멸하기 위해서 도를 닦으면
그를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도를 닦는 비구'라 부르기에 적당하다.
만일 마노를 염오하고 마노에 대한 탐욕을 빛바래고 마노를 소멸하였기 때문에
취착 없이 해탈하였다면 그를 '지금 · 여기에서 열반을 증득한 비구'라 부르기에 적당하다.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uccākulīnatāy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uccākulā pabbajit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좋은 가문 출신이라고 해서 탐욕의 법들이 완전히 없어지고 성냄의 법들이 완전히 없어지고
어리석음의 법들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좋은 가문에서 출가하지 않았더라도 그가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고
합당하게 도를 닦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kathañca, bhikkhave, puggalo appassuto hoti sutena anupapanno ?
idha, bhikkhave, ekaccassa puggalassa appakaṃ sutaṃ hoti —
suttaṃ geyyaṃ veyyākaraṇaṃ gāthā udānaṃ itivuttakaṃ jātakaṃ abbhutadhammaṃ vedallaṃ.
so tassa appakassa sutassa na atthamaññāya dhammamaññāya
dhammānudhammappaṭipanno hoti.
evaṃ kho, bhikkhave, puggalo appassuto hoti sutena anupapann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어떤] 사람은 적게 배웠고 배움으로 성취하지 못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이 세상에서] 어떤 사람은 경(經), 응송(應頌), 상세한 설명[記別, 授記],
게송(偈頌), 감흥어(感興語), 여시어(如是語), 본생담(本生譚), 미증유법(未曾有法),
문답[方等]을 적게 배웠다.
그는 이런 것을 적게 배웠을 뿐만 아니라 적게 배운 이런 것의
뜻도 제대로 모르고 법도 제대로 모르기 때문에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처럼 [어떤] 사람은 적게 배웠고 배움으로 성취하지 못한다.
cattārome, bhikkhave, viyattā vinītā visāradā bahussutā
dhammadharā dhammānudhammappaṭipannā saṅghaṃ sobhenti.
비구들이여, 입지가 굳고 잘 훈련되었고 대담하며 많이 배우고 법을 바르게 호지하고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는 네 무리의 [제자]들은 승가를 아름답게 한다.
“yo hoti viyatto ca visārado ca,
bahussuto dhammadharo ca hoti.
dhammassa hoti anudhammacārī,
sa tādiso vuccati saṅghasobhano .
입지가 굳고 대담하며
많이 배우고 법을 바르게 호지하고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는 자 -
이를 일러 승가를 아름답게 하는 자라 하노라.
so dhammaṃyeva adhipatiṃ karitvā akusalaṃ pajahati, kusalaṃ bhāveti,
sāvajjaṃ pajahati, anavajjaṃ bhāveti, suddhaṃ attānaṃ pariharati.
idaṃ vuccati, bhikkhave, dhammādhipateyyaṃ.
그는 법을 우선시 하고 해로운 법을 버리고 유익한 법을 개발하고,
비난받을 만한 일을 버리고 비난받을 일이 없는 일을 개발하고 자신을 청정하게 유지한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두고 법을 우선한 것이라 한다.
dhammādhipo ca anudhammacārī,
법을 최고로 여기는 자는 법을 따라 행하며
dhammādhipati < adhipati:[m.] lord; master; ruler. 當然한 順理가 領導/引導하다. - 法主導
諸法은 念이 領導한다.(satādhipateyyā sabbe dhammā) 念sati ↔ sammosa忘却
idha, bhikkhave, bhikkhū na sakkaccaṃ dhammaṃ suṇanti,
na sakkaccaṃ dhammaṃ pariyāpuṇanti, na sakkaccaṃ dhammaṃ dhārenti,
na sakkaccaṃ dhātānaṃ dhammānaṃ atthaṃ upaparikkhanti,
na sakkaccaṃ atthamaññāya dhammamaññāya dhammānudhammaṃ paṭipajjanti.
ime kho, bhikkhave, pañca dhammā saddhammassa sammosāya antaradhānāya saṃvattanti.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들은 존중하면서 법을 듣지 않고, 존중하면서 법을 배우지 않고,
존중하면서 법을 호지하지 않고, 존중하면서 호지한 법들의 뜻을 숙고하지 않고,
존중하면서 뜻을 통달하고 법을 통달하기 위해서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경우가 정법을 혼란스럽게<*忘却> 하고 사라지게 한다.
“pañcime, bhikkhave, dhammā saddhammassa ṭhitiyā asammosāya anantaradhānāya saṃvattanti.
katame pañca?
idha, bhikkhave, bhikkhū sakkaccaṃ dhammaṃ suṇanti, sakkaccaṃ dhammaṃ pariyāpuṇanti,
sakkaccaṃ dhammaṃ dhārenti, sakkaccaṃ dhātānaṃ dhammānaṃ atthaṃ upaparikkhanti,
sakkaccaṃ atthamaññāya dhammamaññāya dhammānudhammaṃ paṭipajjanti.
ime kho, bhikkhave, pañca dhammā saddhammassa
ṭhitiyā asammosāya anantaradhānāya saṃvattantī”ti.
<Uppannānaṃ kusalānaṃ dhammānaṃ
ṭhitiyā asammosāya bhiyyobhāvāya vepullāya bhāvanāya pāripūriyā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na tāvāhaṃ, pāpima, parinibbāyissāmi,
yāva me bhikkhū na sāvakā bhavissanti viyattā vinītā visāradā bahussutā
dhammadharā dhammānudhammappaṭipannā sāmīcippaṭipannā anudhammacārino,
sakaṃ ācariyakaṃ uggahetvā ācikkhissanti desessanti paññapessanti paṭṭhapessanti
vivarissanti vibhajissanti uttānīkarissanti,
uppannaṃ parappavādaṃ sahadhammena suniggahitaṃ niggahetvā
sappāṭihāriyaṃ dhammaṃ desessanti.
'빠삐만이여, 나는 나의 비구 제자들이 입지가 굳고, 수행이 되고, 출중하며, 많이 배우고[多聞],
법을 잘 호지하고,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에 따라 도를 닦고, 합당하게 도를 닦고,
법을 따라 행하며, 자기 스승에게 속하는 것을 파악한 뒤 그것을 천명하고 가르치고 알게 하고
확립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명료하게 설명하며,
다른 [삿된] 교설이 나타날 때 그것을 법으로 잘 제압하고,
제압한 뒤 [해탈을 성취하는] 기적을 갖춘 법을 설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반열반에 들지 않을 것이다.
na kho, ānanda, ettāvatā tathāgato sakkato vā hoti garukato vā mānito vā pūjito vā apacito vā.
yo kho, ānanda, bhikkhu vā bhikkhunī vā upāsako vā upāsikā vā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ti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hāgataṃ sakkaroti garuṃ karoti māneti pūjeti apaciyati , paramāya pūjāya.
tasmātihānanda, dhammānudhammappaṭipannā viharissāma sāmīcippaṭipannā anudhammacārinoti.
evañhi vo, ānanda, sikkhitabban”ti.
아난다여, 그러나 이러한 것으로는 여래를 존경하고 존중하고 숭상하고 예배하는 것이 아니다.
아난다여, 비구나 비구니나 청신사나 청신녀가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고,
합당하게 도를 닦고, 법을 따라 행하며 머무는 것이 참으로 최고의 예배로
여래를 존경하고 존중하고 숭상하고 예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난다여, 여기서 우리는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고,
합당하게 도를 닦고, 법을 따라 행하며 머물러야 한다.
idha bho ekacco saṃsaṭṭho viharati kāmehi saṃsaṭṭho akusalehi dhammehi.
so aparena samayena ariyadhammaṃ suṇāti, yoniso manasi karoti, dhammānudhammaṃ paṭipajjati.
존자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감각적 욕망에 얽매이고 해로운 법들에 얽매여서 머뭅니다.
그는 그 후에 성스러운 법을 배우고 지혜로운 주의[如理作意]를 기울이고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에 따라 도를 닦습니다.
so ariyadhammassavanaṃ āgamma yonisomanasikāraṃ dhammānudhammappaṭipattiṃ
asaṃsaṭṭho viharati kāmehi asaṃsaṭṭho akusalehi dhammehi.
그는 성스러운 법을 배우고 지혜로운 주의를 기울이고
[출세간] 법과 [그것에] 이르게 하는 법에 따라 도를 닦아,
감각적 욕망에 얽매이지 않고 해로운 법들에 얽매이지 않고 머뭅니다.
tassa asaṃsaṭṭhassa kāmehi asaṃsaṭṭhassa akusalehi dhammehi
uppajjati sukhaṃ, sukhā bhiyyo somanassaṃ.
seyyathāpi, bho, pamudā pāmojjaṃ jāyetha,
evameva kho, bho, asaṃsaṭṭhassa kāmehi asaṃsaṭṭhassa akusalehi dhammehi
uppajjati sukhaṃ, sukhā bhiyyo somanassaṃ.
ayaṃ kho, bho,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sambuddhena
paṭhamo okāsādhigamo anubuddho sukhassādhigamāya.
그가 감각적 욕망에 얽매이지 않고 해로운 법들에 얽매이지 않을 때
행복이 생겨나고 행복을 능가하는 기쁨이 생겨납니다.
존자들이여, 마치 희열이 환희를 생기게 하는 것처럼
그와 같이 감각적 욕망에 얽매이지 않고 해로운 법들에 얽매이지 않을 때,
행복이 생겨나고 행복을 능가하는 기쁨이 생겨납니다.
존자들이여, 이것이 아시는 분, 보시는 분, 그분 세존 · 아라한 · 정등각께서 깨달으신,
행복을 성취하기 위한 첫 번째 기회의 터득입니다.
…
so aparena samayena ariyadhammaṃ suṇāti, yoniso manasi karoti, dhammānudhammaṃ paṭipajjati.
so ariyadhammassavanaṃ āgamma yonisomanasikāraṃ dhammānudhammappaṭipattiṃ,
‘idaṃ kusalan’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idaṃ akusalan’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idaṃ sāvajjaṃ idaṃ anavajjaṃ, idaṃ sevitabbaṃ idaṃ na sevitabbaṃ, idaṃ hīnaṃ idaṃ paṇītaṃ,
idaṃ kaṇhasukkasappaṭibhāgan’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그는 그 후에 성스러운 법을 배우고 지혜로운 주의를 기울이고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에 따라 도를 닦습니다.
그는 성스러운 법을 배우고 지혜로운 주의를 기울이고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에 따라 도를 닦아,
이것은 유익한 것이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고
이것은 해로운 것이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압니다. …
이것은 검고 흰 부분들을 잘 갖춘 것이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압니다.
tassa evaṃ jānato evaṃ passato avijjā pahīyati, vijjā uppajjati.
tassa avijjāvirāgā vijjuppādā uppajjati sukhaṃ, sukhā bhiyyo somanassaṃ.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볼 때 무명이 제거되고 영지(靈知)가 일어납니다.
그의 무명이 빛바래고 영지가 일어날 때 행복이 생겨나고 행복을 능가하는 기쁨이 생겨납니다.
…
“yathāvādī kho pana so bhagavā tathākārī, yathākārī tathāvādī,
iti yathāvādī tathākārī, yathākārī tathāvādī.
evaṃ dhammānudhammappaṭipannaṃ imināpaṅgena samannāgataṃ satthāraṃ
neva atītaṃse samanupassāma, na panetarahi, aññatra tena bhagavatā.
그분 세존은 설하는 그대로 행하시는 분이고 행하는 그대로 설하시는 분이니,
이처럼 설하는 그대로 행하시고 행하는 그대로 설하시는 분이십니다.
이와 같이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에 따라 도를 닦는 이런 구성요소를 구족하신 스승을
그분 세존을 제외하고는 과거에도 찾아보지 못했고 지금도 찾아보지 못합니다.
so evamassa vacanīyo —
‘tassa te, āvuso, lābhā, tassa te suladdhaṃ, satthā ca te asammāsambuddho,
dhammo ca durakkhāto duppavedito aniyyāniko
anupasamasaṃvattaniko asammāsambuddhappavedito.
tvañca tasmiṃ dhamme na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si,
na sāmīcippaṭipanno, na anudhammacārī, vokkamma ca tamhā dhammā vattasī’ti.
그러면 그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도반이여, 이러한 [상황이니] 그대에게는 이익이 되겠군요. 232)
이러한 [상황이니] 그대에게는 큰 이익이 되겠군요. 그대의 스승은 바르게 깨달은 자가 아닙니다.
게다가 법도 제대로 설해지지 못하고 잘못 선언되고 출리로 인도하지 못하고
고요에 이바지하지 못하고 바르게 깨달은 분에 의해서 선언된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그대도 그 법에서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에 따라 도를 닦으면서 머물지 않고
합당하게 도를 닦지 않으며 법을 따라 행하지 않으며 그 법으로부터 퇴보해 버리고 맙니다.’라고.
232) … 이런 엉터리 스승과 잘못된 법을 만나고서도 그런 잘못된 법에 따라 도를 닦지 않기 때문에 그것이 큰 다행이라는 뜻인 듯하다.
…
so evamassa vacanīyo —
‘tassa te, āvuso, alābhā, tassa te dulladdhaṃ, satthā ca te sammāsambuddho,
dhammo ca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tvañca tasmiṃ dhamme na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si,
na sāmīcippaṭipanno, na anudhammacārī, vokkamma ca tamhā dhammā vattasī’ti.
그러면 그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도반이여, 이러한 [상황이니] 그대에게는 손해가 되겠군요.
이러한 [상황이니] 그대에게는 큰 손해가 되겠군요.
그대의 스승은 바르게 깨달은 자입니다.
게다가 법도 제대로 설해졌고 잘 선언되고 출리로 인도하고
고요에 이바지하고 바르게 깨달은 분에 의해서 선언된 것입니다.
그러나 그대는 그 법에서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에 따라 도를 닦으면서 머물지 않고
합당하게 도를 닦지 않으며 법을 따라 행하지 않으며 그 법으로부터 퇴보해 버리고 맙니다.'라고.
“evameva kho, mahānāma, idha dhammo durakkhāto hoti
duppavedito aniyyāniko anupasamasaṃvattaniko asammāsambuddhappavedito —
idamahaṃ dukkhettasmiṃ vadāmi.
tasmiñca dhamme sāvako vihara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
idamahaṃ dubbījasmiṃ vadāmi”.
마하나마여, 그와 같이 여기 제대로 설해지지 못하고 잘못 선언되고 출리로 인도하지 못하고
고요에 이바지하지 못하고 바르게 깨달은 분에 의해서 선언된 것이 아닌 법은
경작되지 않은 땅이라고 나는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법에서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에 따라 도를 닦으면서 머물고
합당하게 도를 닦고 법에 따라 실천하는 그런 제자를 나쁜 씨앗이라고 나는 말한다.
“evameva kho, mahānāma, idha dhammo svākkhāto hoti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
idamahaṃ sukhettasmiṃ vadāmi. tasmiñca dhamme sāvako vihara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 idamahaṃ subījasmiṃ vadāmi.
“마하나마여, 그와 같이 여기 제대로 설해졌고 잘 선언되고 출리로 인도하고 고요에 이바지하고
바르게 깨달은 분에 의해서 선언된 법은 경작된 땅이라고 나는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법에서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에 따라 도를 닦으면서 머물고
합당하게 도를 닦고 법에 따라 실천하는 그런 제자를 좋은 씨앗이라고 나는 말한다.
“yadi ca jahati sabbakāmabhogaṃ,
kathayati dhammakathaṃ jino janassa.
vacanapaṭikarassābhippasannā,
sutvāna dhammānudhammamācarantī”ti.
만일 모든 감각적 욕망을 즐기기를 버려 [출가하면]
승자는 사람들에게 법문을 설한다.
그들은 청정한 믿음으로 그의 말에 응답하나니
듣고서는 법과 [그것에] 이르게 하는 법을 실천한다.
cattāri sotāpattiyaṅgāni --
sappurisasaṃsevo, saddhammassavanaṃ, yonisomanasikāro, dhammānudhammappaṭipatti.
네 가지 예류도를 얻기 위한 구성요소(sotāpattiyaṅga) -
바른 사람을 섬김, 바른 법을 경청함,
지혜로운 주의,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dhamma-anudhamma)을 닦음
“tena hi tvaṃ, māgaṇḍiya, sappurise bhajeyyāsi.
yato kho tvaṃ, māgaṇḍiya, sappurise bhajissasi
tato tvaṃ, māgaṇḍiya, saddhammaṃ sossasi;
yato kho tvaṃ, māgaṇḍiya, saddhammaṃ sossasi
tato tvaṃ, māgaṇḍiya, dhammānudhammaṃ paṭipajjissasi;
yato kho tvaṃ, māgaṇḍiya, dhammānudhammaṃ paṭipajjissasi
tato tvaṃ, māgaṇḍiya, sāmaṃyeva ñassasi, sāmaṃ dakkhissasi —
“마간디야여, 그렇다면 그대는 바른 사람을 섬겨라.
마간다야여, 그대가 바른 사람을 섬기면 바른 법을 듣게 될 것이다.
마간디야여, 그대가 바른 법을 듣게 되면
그대는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을 것이다.
마간디야여, 그대가 [출세간] 법에 이르게 하는 법을 닦으면
그대는 스스로 알고 스스로 보게 될 것이다.
“brahmāyu, bhante, brāhmaṇo kālaṅkato. tassa kā gati, ko abhisamparāyo”ti?
“paṇḍito, bhikkhave, brahmāyu brāhmaṇo paccapādi dhammassānudhammaṃ,
na ca maṃ dhammādhikaraṇaṃ vihesesi.
brahmāyu, bhikkhave, brāhmaṇo pañcannaṃ orambhāgiyānaṃ saṃyojanānaṃ parikkhayā
opapātiko hoti, tattha parinibbāyī, anāvattidhammo tasmā lokā”ti.
“세존이시여, 브라흐마유 바라문이 임종을 했습니다.
그가 태어날 곳[行處]은 어디이고, 그는 내세에 어떻게 되겠습니까?”
“비구들이여, 브라흐마유 바라문은 현명했고, 법에 적합한 법에 들어섰고,
그는 내가 법을 설명하는데 성가시게 하지 않았다.
비구들이여, 브라흐마유 바라문은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를 완전히 없애고 [정거천에]
화생하여 그곳에서 완전히 열반에 들어 그 세계에서 다시 돌아오지 않는 법을 얻었다.
evaṃ byākaramāno kho, bhikkhave, bhikkhu na ceva attānaṃ 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dhammassa cānudhammaṃ byākaroti,
na ca koci sahadhammiko vādānuvādo gārayhaṃ ṭhānaṃ āgacchatī”ti.
비구들이여, 이렇게 설명하는 비구는 자신을 칭송하지 않고 남을 비난하지 않고
[세존의] 가르침대로 설명한다. 어떤 이유로도 그의 주장은 비난받지 않는다.
“sādhu sādhu, ānanda, yathā taṃ sāriputto sammā byākaramāno byākareyya.
paṭiccasamuppannaṃ kho, ānanda, dukkhaṃ vuttaṃ mayā.
kiṃ paṭicca? phassaṃ paṭicca.
iti vadaṃ vuttavādī ceva me assa, na ca maṃ abhūtena abbhācikkheyya,
dhammassa cānudhammaṃ byākareyya,
na ca koci sahadhammiko vādānupāto gārayhaṃ ṭhānaṃ āgaccheyya.
장하고도 장하구나, 아난다여. 사리뿟따는 바르게 설명하였다.
아난다여, 괴로움은 연기된 것[緣而生]이라고 나는 말했다.
그러면 무엇을 반연하여 [괴로움이] 있는가? 감각접촉을 반연한다.
이렇게 설하면 내가 설한 것과 일치하게 되며, 나를 거짓으로 헐뜯지 않고
내가 설한 것을 반복하여 설한 것이며,
어떤 동료수행자도 나쁜 견해에 빠져 비난의 조건을 만나지 않게 된다.
kacci te bhoto gotamassa vuttavādino ca bhavantaṃ gotamaṃ abhūtena abbhācikkhanti,
dhammassa cānudhammaṃ byākaronti,
na ca koci sahadhammiko vādānupāto gārayhaṃ ṭhānaṃ āgacchati?
anabbhakkhātukāmā hi mayaṃ bhavantaṃ gotaman”ti.
그들이 말한 것은 고따마 존자가 설하신 것과 일치합니까?
고따마 존자를 거짓으로 헐뜯지 않고 고따마 존자께서 설한 것을 반복한425)것 입니까?
[고따마 존자가 설했다고 전해진 이것을 반복하더라도] <*sahadhamma: 共有법>
어떤 사람도 나쁜 견해에 빠져 비난의 조건을 만나지 않겠습니까?
저희들은 고따마 존자를 비방하고 싶지 않습니다.
425) dhamma란 일반적으로는 법이란 뜻이지만 여기서는 설한 것이란 뜻이고 anudhamma란 일반적으로 법을 따른다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세존이 설하신 것을 반복한다는 뜻이라고 주석서는 설명하고 있다.(AA.ii.257)
512) '그들은 세존께서 말씀하신 대로 말했고, 혹시 거짓으로 세존을 헐뜯는 것은 아닙니까? 어떤 이유로도 그들의 수장은 비난받지 않겠습니까?'는 kacci te bhante bhagavato vuttavādino. na ca bhagavantaṃ abhūtena abbhācikkhanti dhammassa cānudhammaṃ byākaronti. na ca koci sahadhammiko vādānuvādo gārayhaṃ ṭhānaṃ āgacchati를 옮긴 것이다. 이 정형구는 니까야의 여러 곳에 나타나는데 본서에서는 본경과 M71 §5이하, M90 §5, M101 §22, M103 §17, M117 §37, M126 §7이하 등에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