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19:1~3 / 멸시받으신 예수님
(요 19:1) 이에 빌라도가 예수를 데려다가 채찍질하더라
(요 19:2) 군인들이 가시나무로 관을 엮어 그의 머리에 씌우고 자색 옷을 입히고
(요 19:3) 앞에 가서 이르되 유대인의 왕이여 평안할지어다 하며 손으로 때리더라
죽음을 앞에 두고 기도하신 예수님은 로마 총독 빌라도에게 심문을 받고 많은 고난받은 후 사형 판결을 언도받습니다. 예수님은 유대인의 왕이라는 죄목으로 십자가에 못 박힙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우리의 진정한 왕이 되십니다. 하나님 나라의 왕이 되십니다. 우리는 오늘 말씀을 통해서 예수님이 왜 고난을 받고 십자가에 죽으셨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1절 “이에 빌라도가 예수를 데려다가 채찍질하더라”
여기는 로마 법정입니다. 빌라도는 재판장으로서 예수님을 심문하였습니다. 그는 예수님에게서 아무 죄도 찾지 못하였습니다. 그는 예수님을 무죄선고하고 놓아주면 됩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놓아주는 것에 대해서 여론이 좋지 않았습니다. 그는 민심을 보아가며 예수님을 놓아주고자 하였습니다. 자신이 유능한 총독으로 인정받으면서 좋은 재판관으로 인정받고자 하였습니다.
빌라도는 먼저 유월절 특사를 이용하여 예수님을 놓아주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이 예수님 대신에 유명한 강도 바라바를 놓아달라고 하였습니다.
빌라도는 일차 협상에서 실패하였습니다.
이제 빌라도는 방법을 바꿉니다. 예수님을 채찍질하여 유대인들의 동정심을 유발하여 예수님을 석방하고자 하였습니다. 채찍질은 선고를 내린 후에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빌라도는 사형 판결을 내리기 전에 채찍질하였습니다. 당시에 죄인은 사십에서 하나 감한 매를 맞았습니다.
예수님은 39대의 매를 맞았습니다. 휙-하는 채찍질 소리가 들렸습니다. 채찍에는 뼈 조각과 쇳조각을 아교로 붙여 놓아 채찍에 맞을 때마다 살점이 떨어져 나갔습니다.
예수님은 채찍을 맞을 때마다 신음하였습니다. 예수님의 몸에는 살점이 떨어져 나가고 피가 낭자하게 흘렀습니다. 유대인들은 이렇게 무력한 예수님이 무슨 왕이냐고 말합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예수님이 채찍에 맞기 700년 전에 이 광경을 보고 왜 예수님이 채찍에 맞는지를 예언하였습니다. 이사야 53장 4절 후반절입니다.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예수님이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는 나음을 입었습니다. 죄로 인한 우리의 모든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채찍에 맞으셨습니다.
요즘 우리는 많은 사람이 사람들이 선진국 질병을 앓고 있습니다. 심장질환 혈관질환 암을 앓고 있습니다. 우울증, 정신분열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두려움과 불안에 시달립니다.
우리 가운데도 복통이나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비염이나 디스크를 앓는 사람이 있습니다.
예수님이 이런 우리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십자가에 죽으셨습니다.
2절 “군인들이 가시나무로 관을 엮어 그의 머리에 씌우고 자색 옷을 입히고”
빌라도는 군인들이 에수님을 희롱하도록 허용하였습니다. 이것도 동정심을 유발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빌라도가 예수님을 채찍질한 후에 군인들이 예수님을 희롱하였습니다.
군인들이 가시나무로 관을 엮어 예수님의 머리에 씌웠습니다. 예수님은 왕이 쓰는 금면류관 대신 가시 면류관을 쓰셨습니다. 계시록에 보면 예수님은 금면류관을 쓰고 계십니다.
요한계시록 14장 14절에 말씀하십니다. “또 내가 보니 흰 구름이 있고 구름 위에 인자와 같은 이가 앉으셨는데 그 머리에는 금 면류관이 있고 그 손에는 예리한 낫을 가졌더라”
가시 면류관은 저주를 의미합니다. 아담이 저주받음으로 가시나무와 엉겅퀴가 났습니다.
예수님은 저주의 가시 면류관을 쓰셨습니다. 예수님은 왕이 입는 자색 옷을 입고 가시 면류관을 쓰셨습니다. 가시 면류관에 왕복은 어울리지 않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을 조롱하고자 왕복을 입혔습니다. 예수님의 이마에는 가시가 깊이 박히고 피가 흘렀습니다.
사도 바울은 이 예수님을 보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갈라디아서 3장 13절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해방)하셨으니”
예수님이 우리를 대신하여 저주 받으셨습니다. 우리를 저주에서 자유롭게 하셨습니다.
우리는 조상으로부터 내려오는 저주가 흐르고 있습니다.
가난의 저주, 질병의 저주, 실패의 저주를 받고 있습니다. 부모가 일찍 죽었으니 나도 일찍 죽고 아버지가 폭력 남편이니 나도 폭력 남편을 만날 것 같다는 두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우리를 위하여 저주받으심으로 우리는 저주에서 해방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축복이 우리에게 임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아브라함의 복, 이삭의 복, 야곱의 복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의 삶에 저주는 끊어지고 복이 흐르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새로운 삶을 살게 되었습니다.
3절 “앞에 가서 이르되 유대인의 왕이여 평안할지어다 하며 손으로 때리더라”
군인들은 계속하여 예수님을 희롱합니다. 지금 예수님은 왕이 입는 자색 옷을 입고 가시 면류관을 쓰고 있습니다. 군인들이 예수님 앞에 가서 유대인의 왕이여 평안할지어다 하며 조롱하였습니다. 그들은 네가 무슨 왕이냐 하며 손바닥으로 예수님의 뺨을 때렸습니다.
우리는 뺨을 맞으면 자존심이 상하고 매우 기분이 나쁩니다. 뺨을 맞으면 모멸감을 느낍니다. 사람들은 예수님의 뺨을 때리며 모욕하고 멸시하였습니다. 사람들은 차마 눈을 뜨고 볼 수 없어서 예수님을 외면하였습니다. 군병들은 예수님 한 사람을 둘러싸고 멸시하고 버렸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예수님이 멸시 받을 것을 미리 예언하였습니다. 이사야 53:3절 “그는 멸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버림 받았으며 간고를 많이 겪었으며 질고를 아는 자라 마치 사람들이 그에게서 얼굴을 가리는 것 같이 멸시를 당하였고” 예수님은 우리를 대신하여 멸시를 받은 것입니다.
하나님은 당신을 멸시하는 자를 경멸히 여깁니다(삼상2:30) 우리는 하나님을 멸시하고 경외치 않았습니다. 예배를 소홀히 여겼고 가장 귀한 시간이나 물질을 드리지 못하였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 멸시받아야 마땅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우리를 대신하여 멸시받으셨습니다.
이제 우리는 예수님 안에서 존귀히 여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제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을 존중히 여기고 경외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