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동을 켰는데 사라지지 않는 느낌표 모양의 경고등! 이 경고등은 바로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질 때 뜨는 TPMS 경고등인데요.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뜨는 이유는 대체 무엇일까요?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TPMS경고등)이 뜨는 이유는?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적정 공기압 대비 타이어 공기압이 현저히 낮아졌을 때 계기판에 표시됩니다. 최근에 출시된 차량은 낮아진 공기압의 타이어 위치까지 알려주기 때문에 어떤 타이어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도 용이하죠!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지는 이유는?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지는 이유는 생각보다 다양한데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공기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 외에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1] 외부 온도에 의한 공기압 손실
[2] 타이어 펑크
[3] TPMS 및 송수신 장치 오류
TPMS경고등은 생각보다 다양한 이유로 뜨는데요. 각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아볼까요?
외부 기온 때문에 낮아진 타이어 공기압, 대처 방법은?
공기는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수축하기 때문에 보통 TPMS경고등은 겨울에 많이 점등됩니다. 이렇게 타이어 펑크나 TPMS 센서가 고장 난 경우가 아니라면 타이어 공기압을 보충해 주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는데요.
타이어 공기압 보충은 어떻게?
1. 보험사 출동 서비스 이용 또는 카센터 방문
급하게 차를 몰아야 한다면 보험사 출동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간단합니다. 또는 근처 카센터나 제조사 정비센터를 가셔서 보충을 문의하시면 됩니다.
2. 셀프 세차장, 주유소 이용 또는 TMK로 직접 보충
타이어 공기압은 셀프 세차장이나 주유소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공기 주입기를 이용해 직접 보충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내 차 트렁크에 있는 TMK(타이어 응급 처치 키트)를 활용하여 바로 공기압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차량에 따라 TMK가 없을 수 있으니 TMK의 유무는 차량의 매뉴얼을 확인해 주세요.
적정 공기압은 어떻게 맞춰야 할까?
직접 타이어 공기압을 보충하기로 하셨다면 내 차의 적정 공기압을 알고 계셔야 할 텐데요. 내 차의 타이어 공기압은 운전석 도어 안쪽에 부착된 스티커에 나와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스티커의 수치를 보고 공기압을 맞춰주시면 됩니다.
타이어 공기압은 온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권장 공기압보다 조금 더 낮게
겨울철에는 권장 공기압보다 조금 더 높게 맞춰주시는 게 좋습니다.
타이어펑크로 낮아지는 공기압, 대처방법은?
타이어 공기압을 보충했는데도 계속해서 TPMS경고등이 뜬다면 타이어 펑크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육안으로는 타이어에 문제가 없어 보여도 보이지 않는 곳에 못이 박혔거나 실금이 나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육안으로 파악하기 힘든데 타이어 펑크가 의심된다면 정비소에 방문해 원인을 살펴보신 후 대처해야 하는데요.
위 사진과 같이 타이어 윗부분에 조그마한 구멍이 생겼다면 흔히 '지렁이'라고 불리는 펑크씰을 사용하여 구멍을 메꾸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렁이를 끼워 넣었는데도 계속해서 공기압이 낮아진다면 교체가 필요합니다.
한편 타이어 옆부분에 펑크가 났다면 지렁이로 대처가 불가하기 때문에 타이어 교환이 필요합니다.
타이어 공기압엔 문제가 없다? TPMS 센서 고장
타이어 공기압을 보충하고, 타이어 상태도 꼼꼼히 살펴봤는데 계속해서 경고등이 떠있다면 TPMS 센서가 고장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TPMS 센서 고장이 의심된다면 가까운 카센터에서 고장 여부 확인 및 TPMS 센서를 교체하실 수 있습니다.
첫댓글 다녀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