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브라우저의 하나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에 포함시킨데다가 "인터넷 = 인터넷 익스플로러" 라고
세뇌시키기 딱 좋은 이름 덕분에 컴퓨터를 오래 접하지 못한 분들께는 생소한 넷스케이프를 밀어내고 시장 점유율 90%를 유지하고 있는 웹브라우저 중 하나입니다. 뭐... 지금은 구글의 크롬과 모바일(핸드폰)에 밀려 계속 추락하는 중이라고 합니다.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많이 쓰이고 있는 ActiveX 도 줄여나간다는 계획때문에 앞으로 더욱 설 자리를 잃어갈듯 싶습니다. 설상가상으로 마소에서도 윈도우 10부터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라는 이름을 버린다고 하더군요.. 
그래도 버전업을 계속 하면서 사용자 편의에는 많이 신경쓴 흔적이 보이더군요. 그만큼 말썽도 많아지고...(높은 보안설정때문에요)
오랫동안 사용해서 툭하면 종료되고 뱅킹도 못하게 만드는 익스플로러를 처음 설치했을 당시로 돌려보겠습니다.
첫째, 레지스트리에서 익스플로러 사용관련 흔적 지우기
윈도우가 자신의 정보를 담고 있는 레지스트리는 잘못 건드리면 윈도우가 난 누구? 여긴 어디?? 하면서 부팅을 거부해버립니다!! 그림을 잘 보시고 삭제해 주세요 ㅎㅎ
- "시작" - "실행" 을 누르시고 "regedit" 를 입력하세요(윈도우 XP)
- "시작" - 하단의 돋보기 모양이 있는 검색창에서 regedit를 입력후 엔터(Windows Vista 이상)
- 키보드 Ctrl 키 옆에 윈도우 키와 영문자 "R" 을 누르세요(윈도우 공통)
이제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다음 순서대로 클릭해주세요
"HKEY_LOCAL_MACHINE - > SOFTWARE - > Microsoft - > Internet Explorer"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됩니다.

여기서 "Plugins" 항목 밑으로 전부 지워주세요 그 위로 지우시면 익스플로러가 사망합니다! 제 업무용 노트북이 모델이라 Plugins 밑으로 별로 없지만 오래 사용하신 컴퓨터라면 더 많을 수도 있습니다. 모두 삭제해주세요.
또.. "Extension" 이라는 항목 하위 폴더들도 지워주세요. 이건 익스플로러 확장기능입니다. 확장 기능 중에 onenote 로 보내기 항목이 있을 수 있는데요. 원노트를 사용하시면 이건 지우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알툴바도 보이실 수 있어요. 마찬가지로 이것도 사용하시면 지우지 마시고요. 중요한건 Extension 폴더는 지워도 사용하는데 문제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안심하셔도 좋아요
다음은 HKEY_CURRENT_USER 입니다. 로컬 머신과 같습니다.
HKEY_CURRENT_USER - > SOFTWARE - > Microsoft - > Internet Explorer
이 항목은 "Internet Explorer" 을 통째로 지워주세요. 이 레지스트리는 익스플로러 사용자 환경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지워도 재생성되니 안심하시고 과감하게 삭제해주세요. 그러면 첫번째 작업이 끝납니다.
둘째, ActiveX 컨트롤 삭제
익스플로러에서 사용하는 activeX 는 컴퓨터에 미리 잠적해 있다가 호출하면 등장하는 방식의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이게 악의적으로 쓰이면 악성코드가 되는 거죠..
다행이도 백신 프로그램도 바보는 아니라서 이 폴더의 악성코드는 대부분 잡아냅니다. ㅎㅎ
c:\windows\Downloaded Program Files
위 폴더로 가셔서 폴더를 제외하고 안의 항목을 모두 지워주세요. 작업 전에 익스플로러 메신저 등 다른 프로그램은 모두 종료해주세요. XP의 경우 시간이 조금 걸립니다. 간혹 지워지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요. 그럴땐 그냥 무시하시고 다른 것들이 다 지워지면 다시 시도하셔서 지워주세요. 이 작업을 하는 이유는 사용되지 않는 activeX 도 정리하고 오래된 버전을 삭제해서 충돌 가능성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함이지요. 지우셔도 필요하면 다시 설치해 주므로 안심하셔도 됩니다.
셋째, 익스플로러 초기화 하기
여기까지 하셨다면 익스플로러 9 버전 이상의 경우 "추가기능 관리"가 계속 뜨실 겁니다. 강제로 삭제한 탓인데요. 익스플로러 초기화로는 우리가 지금까지 설치한 항목들을 삭제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문제가 생길 소지가 많겠죠.
이제 "인터넷 옵션" 으로 가셔서 "고급" 탭에서 "원래대로"를 선택해주세요. 중간에 나오는 대화상자에서 "개인설정 삭제" 도 체크해주시고요.
여기까지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익스플로러 대부분의 에러는 이런 방식으로 해결된답니다. 아예 먹통된 경우에는 첫째, 둘째 과정을 거치시고 "제어판" 의 "인터넷 옵션"에서 초기화 해주시면 됩니다.
그런데 익스플로러 11부터는 이 작업을 하더라도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안설정이 너무 높은 탓입니다. 다음 작업을 해주셔야 초기화 한 느낌이 나겠지요 ㅎㅎㅎ
넷째, 보안설정 바꾸기
인터넷 옵션에서 "보안" 탭으로 갑니다.

익스플로러 8부터 등장하는 보호 모드를 해제해주세요. 그리고 "사용자 지정 수준" 에서 다음 항목들을 조정해주세요
1. 서명 안된 Activex 컨트롤 다운로드 - > 기본값 : 사용안함, 변경 : "확인"
2. 스크립팅하기 안전하지 않는 것으로 표시된 ActiveX 컨트롤 초기화 및 스크립팅 - > 기본값 : 사용안함, 변경 : "확인"
3. 낮은 권한의 웹 콘텐츠 영역에 있는 웹 사이트에서 이 영역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 > 기본값 : 확인, 변경 : 사용
1번의 경우 사용안함으로 하시면 포털사이트가 아닌 초등학교 홈페이지나 자신이 잘 알고 신뢰할 만한 사이트에서 액티브 X 컨트롤 설치가 거부되어 굉장히 불편해지므로 변경해야 합니다. "사용"은 악성코드가 들어올 확률이 생기므로 물어볼 수 있도록 "확인"으로 바꿔주세요.
그리고 고급탭에서 다음 항목에 체크해주세요. 1번과 같은 맥락입니다.
소프트웨어의 서명이 올바르지 않더라도 프로그램 설치 허용
여기 체크하시더라도 사용자에게 물어보고 설치하므로 안심하셔도 됩니다(음... 이 문장을 너무 많이 쓴것 같네요... 제가 꼭 나쁜일 하도록 유도하는 느낌....?
)
드디어 마지막입니다. "연결" 탭에서 "Lan 설정"으로 가셔서 "자동 구성" 체크박스를 해제해주세요. 익스플로러 초기 구동이 빨라집니다.
보안 설정에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는 최소한의 보안설정만을 가지고 갑니다. 인터넷 뱅킹이 여기 등록되지 않아도 잘 구동하므로 이 탭은 그냥 무시하시는 게 좋습니다. 잘못 설정하시면 악성 코드가 들어오기 좋은 환경만 제공하는 셈이니까요.
고생하셨습니다. 컴퓨터 사용에 관한 노하우를 하나 알려드리자면~ 외우려고 하지 마시고 많이 해보시면 됩니다. 요즘 포털사이트들의 지식인에는 방대한 자료가 있으니까요. 경험이 쌓이시면 지식인에서 정답을 찾는 시간이 줄어든답니다. ㅎㅎ
추신.
그렇다고 이것도 지식인에서 퍼온거 아닙니다 ㅋㅋ 익스플로러 여러번 먹통시켜가며 익힌 경험입니다 ㅎㅎ
첫댓글 이 작업은 주로 어떤 문제가 생겼을경우 할수 있는 작업인가요? :)
익스플로러가 켜자마자 사라진다거나 해외사이트 접속이 잘 안될때 좋아요. 즉, 포맷 전에 해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접속 문제는 보안설정만으로도 해결되는 경우도 많고요. 출처가 불분명한 vpn은 너무 위험해요. 이게 좀 극단적인 방법이긴 해도 대부분 해결되고요 ㅎㅎ
@노브리 아..전 윈도우8인데 전에는 괜찮았었는데 사즈를 플레이하고 끄면 그동안 바탕화면 프리징현상에 심하면 잠시 작업줄이 잠시 사라졌다가 나타나곤 해요. 그래서 요즘 사즈는 맥으로 로그인해서 하고 삼즈는 윈도우즈에서 여는데 설마 포맷해야되는건 아니겠죠? 저 요즘 원인도 못찾고 있어요.ㅠㅠ
@peppa peppa 님 환경을 잘 모르니 무엇부터 시작해야할지 모르겠어요...;ㅁ; 제가 알고 있는 윈도우8 의 특징이... vc런타임 2005 지원 안해줘서 몇몇 게임들이 구동조차 안되고... 어플이 실행되고 제대로 종료되지 않고 차곡차곡 쌓인다는 점(작업 관리자 열어보시면 그동안 열었던 앱이 아직도 실행되고 있는걸 확인하실 수 있어요...ㅡ.ㅡ;), SSD 사용하신다면 "superfetch" 및 윈도우 색인 시스템 끄기 해볼 필요도 있고요. 인텔 SSD 이시면 툴박스 받으셔서 튜닝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악성 프로세스 확인인데요. 이건 작업 관리자 여서서 프로세스 부분 스샷 찍어주시면 확인 가능해요 ㅎㅎ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4.03 21:5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4.03 21:5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4.03 22:42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4.04 0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