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0. 04. 16(금) 조간용 |
| ||||||||||
이 보도자료는 2010년 04월 15일 오전 11:15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
|
|
|
| ||||||||
보도자료 |
|
|
|
| ||||||||
|
|
|
|
|
|
| ||||||
담당부서 : |
균형발전본부 남산르네상스담당관 |
남산르네상스담당관 |
백현식 |
2171-2360 |
| |||||||
|
도시계획국 토지관리과 |
조경계획팀장 |
박미애 |
2171-2363 |
| |||||||
공간측량팀장 (토지관리과) |
강박현 |
3707-8064 | ||||||||||
사진없음 □ |
사진있음 ■ |
쪽수 : 5쪽 |
담 당 자 |
김재진 |
2171-2369 |
| ||||||
담 당 자 (토지관리과) |
김진환 |
3707-8058 | ||||||||||
|
|
|
|
|
|
| ||||||
서울의 중심은 남산 정상!
- 서울시 행정구역의 지리적 중심점 산출결과 남산 정상부로 밝혀내 - 남산 정상부 측량기준점(2등 삼각점)과 연계 설치로 경관개선 - 남산정상 N서울타워 부근에 중심점 조성으로 볼거리 늘어 |
□ 서울시는 서울의 행정구역에 대한 지리적 중심이 남산 정상부에 있음을 찾아내고 서울의 중심점 상징물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서울시민 대다수가 광화문 네거리에 있는 도로원표를 서울의 중심점으로 알고 있으나 이는 1914년 일제강점기 때 현 광화문 네거리에 한반도 18개 도시의 거리가 표시된 표석을 설치한 것으로 서울의 중심점은 아니다.
○ 현재 종로구 인사동 194-4(하나로 빌딩 1층)에 1896년 설치한 중심점이 있으나 이는 조선시대 당시의 기준점으로, 그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은 서울의 행정구역 변천 등 역사적인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 이에 서울시에서 2008년 서울의 지리적 중심점을 산출하여 최첨단 GPS측량을 실시하여 남산 정상부의 중심점 위치를 밝혀냈다.
<25개 자치구에서도 우리고장 중심점 찾아내>
□ 서울시는 서울의 지리적 중심점 뿐만 아니라 25개 자치구의 중심점도 찾아 나섰다. 2008년부터 '우리고장 중심점 찾기 프로젝트'를 통하여 각 자치구의 행정구역 경계에 의한 지리적 중심점을 산출하였으며, 2009년에는 광진구 등에서 상징물을 설치하여 지형정보 파악 및 관광요소로 제공하고 있다.
<규모가 큰 측량기준점 정비하여 남산 정상의 새로운 명소로>
□ 서울시는 남산 정상부에 위치하여 자연경관을 저해하고 있는 규모가 큰 측량기준점(2등 삼각점) 정비와 연계하여 서울의 중심점을 조성하면 남산의 경관개선 및 서울의 명소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과거 우리나라 측량의 중요한 기준점으로 사용되어 온 남산 정상의 삼각점이 규모가 커 주변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이번에 서울의 중심점과 통합하여 디자인하였다.
○ 서울시는 중심점 조형물에 최첨단 GPS 수신기능을 도입하여 앞으로 실제 측량 기준점으로도 활용하는 등 남산 정상에 서울을 상징하는 새로운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본 중심점은 서울과 한강의 모습을 투영한 디자인으로 물과 함께하는 역동적인 문화 서울의 이미지를 보여주며, 서울시 25개의 자치구를 표시하여 서울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이 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금년 5월중으로 중심점 설치>
□ 서울시 김영걸 균형발전본부장은 “서울의 중심점을 5월중으로 설치할 예정으로 정상부에 중심점이 설치되면 남산에 새로운 볼거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붙임 : 위치도/ 현황사진/ 중심점 디자인 1부. 끝.
위 치 도
|
현황사진
|
서울의 지리적 중심점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