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님의 어머니요, 교회의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 신앙의 모범인 성모 마리아를 기념하는 5월 성모 성월 -
<대공의 성모> (라파엘로)
◎ 5월 성모 성월
□ 가톨릭 신자 가정에 성모상이 꼭 모셔져 있고, 신자들이 가장 많이 드리는 기도가 묵주기도일 정도로 가톨릭 교회의 성모 공경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5월을 성모 성월로 정하고 각 성당에서는 성모의 밤 행사를 통해 성모 신심에 대한 강론과 묵상을 하고, 성모님을 찬미하는 시와 노래, 초와 꽃다발 등을 봉헌한다.
□ 교황 바오로 6세는 “성모 성월은 전 세계 신자들이 하늘의 여왕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달”로 “교회 공동체와 개인이나 가정 공동체는 이 기간 동안 마음에서 우러나는 사랑을 마리아에게 드리고 기도와 찬양을 통해서 마리아의 숭고한 사랑을 찬양해야 한다”고 하였다. ☞ 5월 성모 성월
◎ 가톨릭 교회의 성모 공경
□ 가톨릭 신자들의 성모 마리아 공경으로 흔히 ‘가톨릭=마리아교’라는 오해를 받는데, 가톨릭 교회는 성모에 대한 공경과 하느님에 대한 흠숭을 구별하고 있다. 하느님께는 흠숭지례(欽崇之禮)를, 성인들에게는 공경지례(恭敬之禮)를, 성모 마리아께는
상경지례(上敬之禮)를 드린다고 가르친다.
□ 성모 마리아는 하느님께서 선택하신 ‘은총의 여인’이며(루카 1,28), 하느님의 부르심에 기꺼이 응답한 ‘신앙의 여인’(루카 1,38)이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부터 십자가 수난까지 함께한 ‘동반자’이자 믿음과 청원을 도와주는 ‘전구자’이며, 모든 그리스도인의 신앙의 모범이다. 가톨릭 신자들은 성모 마리아를 본받아 선행과 기도로써 자신을 하느님께 봉헌하고, 하느님의 말씀을 따라 살고자 노력한다.
◎ 성모 마리아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 하느님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위하여,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하느님의 어머니 동정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셨다.” 초대교회부터 마리아를 ‘하느님의 어머니’로 부른 것은 마리아가 여신이 아니라 하느님의 아들인 예수님을 낳았기 때문이다. 모든 그리스도인은 성모님께 우리를 위하여 하느님께 간구할 것을 부탁드린다.
□ 평생 동정이신 마리아 : “동정으로 잉태하셨으며, 동정으로 출산하셨고, 출산 후에도 동정으로 머무신다.” 성모님의 동정은 하느님의 전능을 드러내는 신비이며, 하느님이신 말씀이 인간이 되신 강생의 신비의 표징이다. 또한 성모님께서 자신을 온전히 하느님께 봉헌하였음을 드러낸다.
□ 원죄없이 잉태되신 마리아:“복되신 동정녀 마리아께서는 잉태되신 첫 순간부터 인류의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와 전능하신 하느님의 유일무이한 은총의 특전으로 말미암아 원죄에 물들지 않고 보존되셨다.” 성모님은 성경에서 계시한 대로 ‘은총이 가득하신 분’이며, 인간의 구원은 전적으로 하느님의 은총임을 나타낸다.
□ 하늘에 올림을 받으신 마리아 : “원죄 없으신 하느님의 어머니이시며 평생 동정이신 마리아께서는 지상 생애의 여정이 끝난 다음 그 영혼과 육신이 천상 영광 안에 받아들여지셨다.” 성모님의 승천은 그리스도인들의 희망인 ‘육신의 부활’과 ‘영원한 삶’이 성모님을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났음을 가르친다.
◎ 성모 성월을 맞아 추천하는 성모 순례지
□ 5월 성모 성월이자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과 함께 ‘로마 성모 대성전’1)과 영적 유대로 결합된 우리나라의 성모 순례지2)를 다녀오는 것은 어떨까. 로마 성모 대성전과 영적 유대의 거룩한 장소로 지정된 성당 및 순례지를 찾는 신자들은 성모 대성전에서 누리는 모든 전대사를 받는다.
□ 한국 천주교회의 중심인 명동 성당
명동 성당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으로, 한국 근대 건축사에서 가장 규모가 큰 첫 고딕 양식 건축물(사적 제258호)로 기록된 성당이다.
1892년 8월 5일 뮈텔 주교가 한국 교회를 위해 일했던 주교와 선교사, 은인들의 명단을 머릿돌 밑에 묻고 머릿돌을 축성하였다. 1898년 성령 강림 대축일에 성당 축성식을 갖고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 봉헌하였다.
성당 건축 과정에서 많은 신자가 무료로 노력 봉사하였으며 성당 건축에 쓰인 벽돌은 중국 청나라의 벽돌공을 데려다가 만들었는데, 위에서는 라틴 십자가형 삼랑식(三廊式)의 장중한 고딕형이며, 내부는 왼쪽에 1952년 설치한 79위 복자 제대 및 복자 상본과 예수성심상이 있으며, 오른쪽엔 세례를 위한 세두대(洗頭臺) 대리석과 건축가의 주보성인 성 베네딕토 상이 있다. 교구장석 강론대는 프와넬 박 신부의 고향에 있는 성당의 강론대를 모방한 것이라 한다. 후에 뒷면 성가대석에 한국 최초의 파이프오르간이 설치되었다.
명동 성당에서는 5월 한 달 동안 매주 월요일(3일, 10일, 17일, 24일, 31일) 오후 6시 미사 후 성모동산에서 성모 성월 기도회가 열린다.
☞ 서울시 중구 명동 2가 1 ☎ 02)774-1784 www.mdsd.or.kr
□ 사제들의 순교지, 새남터 성당
국철을 타고 한강철교를 건너면 용산역 직전에 한국식의 뾰족한 종탑이 있는 3층 기와 건물을 볼 수 있다. 박태연 교수(명지대 건축학과)가 설계한 이 건물은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에서 1987년에 완공한 순교기념성전이다. 1950년에 순교기념지로 지정되었고, 1956년에 ‘가톨릭 순교성지’ 라는 기념탑이 세워졌다.
새남터가 다른 성지와 다른 점은 사제들의 순교지라는 것이며, 한국 최초의 신부인 김대건 성인이 군문효수형을 당한 장소라는 것이다. 현재 새남터에는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성 앵베르 주교, 성 모방 신부, 성 샤스탕 신부, 성 베르뇌 주교, 성 브르트니에르 신부, 성 볼리외 신부, 성 도리 신부, 성 우세영 알렉시오 등 9분의 유해가 모셔져 있다.
인근 삼각지 성당(02-795-2821)도 로마 성모 대성전과 영적 유대를 맺은 성모 순례지로, 5월부터 매주 금요일 12시에 순례자들과 함께 하는 미사를 봉헌한다.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2동 199-1 ☎ 02)716-1791 www.saenamteo.or.kr
□ 돌 묵주알 따라 기도하는 남양 성모 성지
1866년 병인박해 당시 남양 포교들이 잡아들인 천주교인들 중, 양반 신분인 분들은 한양이나 공주로 이첩이 되어 그곳에서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지만, 신분이 낮은 분들은 남양부사의 재량에 맡겨졌다. 남양 부사는 모진 매질로 배교를 강요하다가 이에 응하지 않는 신자들을 바로 지금의 남양성모성지 자리에서 목매달아 죽였다.
1991년 10월 7일, 수원교구장 김남수 주교는 남양 순교지를 성모님께 봉헌하고 성모 성지로 선포하였다. 남양 성모 성지는 순교자들을 기리고 현양함과 동시에 신자들이 성모님께 의탁하며 기도할 수 있는 성모 성지가 되었다.
이곳에는 화강암으로 제작된 커다란 돌 묵주알로 된 총 길이 약 1km 정도의 20단 묵주기도 길이 조성되어 있다. 매일 오전 10시에 남양성모성지의 주임 신부와 함께 공동으로 묵주 기도를 바치고 있다. 5월 15일(토) 오후 8시, 성모의 밤 행사가 있다.
☞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 1704 ☎ 031)356-5880 www.namyangmaria.org
□ 6·25 전쟁 때 일곱 발의 총알을 맞은 묵주기도의 성모님, 감곡 매괴 성모 순례지 성당
명동 성당의 축소판처럼 보이는 감곡 성당은 충북 최초이자 우리나라의 열여덟 번째 성당이다. 1896년에 설립되었다.
초대 주임인 임 가밀로 신부(파리 외방전교회)가 1882년 임오군란 때 명성황후가 피난했던 장호원의 대궐 같은 집을 보고 그 자리에서 "성모님, 만일 저 대궐 같은 집과 산을 저의 소유로 주신다면 저는 당신의 비천한 종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그 주보가 매괴 성모님이 되실 것입니다."라고 기도하였다. 명성황후가 시해된 후 1896년 5월 성모 성월에 그 모든 집터와 산을 매입하여, 묵주기도 성월인 10월 7일 감곡 성당을 지었다.
성당 안에 모셔진 성모님은 프랑스 루르드에서 제작한 것이다. 1930년 제대 중앙에 안치하였다. 6·25전쟁 때 북한군의 총탄 일곱 발을 맞았는데 총탄 자국만 있고 온전한 모습이다.
이 밖에 충청북도 내에 ‘로마 성모 대성전’과 유대를 맺은 성당은 청주 내덕동 주교좌 성당, 복대동 성당, 성모성심 성당(복대 1동), 충주 교현동 성당, 지현동 성당, 보은 성당, 진천 성당이 있다.
☞ 충북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357-2 ☎ 043)881-2808 www.maegoe.com
□ 루르드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에게 봉헌된 대구대교구 성모당
대구대교구청 내의 성모당은 초대 교구장 안세화(Demange) 주교가 프랑스 루르드 성모굴을 본따 크기와 바위의 세부적인 면까지 가능한 흡사하게 지었다. 1917년 7월 착공하여 1918년 8월 15일 완공되었다.
오른쪽 면의 뒷부분이 안쪽으로 약간 꺾여 들어간 직사각형의 내부를 암굴처럼 꾸미고 그 위에 마리아상을 모셨다. 화강석으로 기초를 쌓고 흑색 벽돌로 각 모서리의 버팀벽을, 나머지 벽은 붉은 벽돌을 사용하여 쌓았다. 각 부분의 비례 구성이 아름답고 벽돌의 짜임이 정교한 건물로 지금까지도 그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성모당의 동굴 윗면에는 '1911 EXVOTO IMMACULATAE CONCEPTIONI 1918'이라고 쓰여 있는데, 1911은 대구대교구가 설정된 해를 가리키고, 1918은 안세화(Demange) 주교가 교구를 위하여 하느님께 청한 세 가지 소원이 모두 이루어진 해를 가리킨다. 그리고 'EX VOTO IMMACULATAE'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님께 바친 허원에서'라는 뜻이다.
매주 월요일~금요일 오전 11시, 순례자들을 위한 미사가 있다.
☞ 대구시 중구 남산 3동 225-1 ☎ 053)250-3000(대구대교구청)
1) 로마 성모 대성전: 리베리오 교황 재위 시(352~366) 로마에 요한이라는 신자가 있었다. 8월 5일 밤중에 성모 마리아께서 요한 부부의 꿈에 나타나 “로마의 에스퀼리노 언덕에 나를 위한 성당을 세워라. 그 장소는 눈이 하얗게 내린 곳이니 즉시 알 것이다”하고 말씀하셨다. 날이 새기를 기다려 에스퀼리노 언덕으로 갔더니 정말 성당 지을 자리에만 눈이 쌓여 있고 다른 곳에는 전혀 눈이 쌓여 있지 않았다. 요한 부부는 곧바로 교황 알현을 청하여 이 사실을 말씀드렸다. 그 자리에 성당을 짓고 리베리오 교황이 축성하였다. 이에 성모 마리아께 봉헌한 성당이면서도 교황의 이름을 따라 리베리오 성당이라고 부른다.
2) ‘로마의 성모 대성전’과 영적 유대를 맺고 있는 한국의 성당
서울대교구
길동 성당 서울시 강동구 길 2동 55-15 ☎ 02)488-3561
길음동 성당 서울시 성북구 성당길 19 ☎ 02)918-9540
대치 성모 탄신 성당 서울시 강남구 대치 3동 980 ☎ 02)568-3656
둔촌동 성당 서울시 강동구 둔촌 2동 518-7 ☎ 02)482-1841
명동 주교좌 성당 서울시 중구 명동2가 1 ☎ 02)774-1784
묵동 성당 서울시 중랑구 묵 2동 239-127 ☎ 02)973-4179
발산동 성당 서울시 강서구 화곡 3동 1009 ☎ 02)2696-1945
방학동 성당 서울시 도봉구 방학 3동 463-3 ☎ 02)3491-3131
불광동 성당 서울시 은평구 불광동 286-53 ☎ 02)355-0545
삼각지 성당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 1가 187-1 ☎ 02)795-2821
새남터 성당 서울시 용산구 이촌2동 199-1 ☎ 02)716-1719
세종로 성당 서울시 종로구 필운동 278-4 ☎ 02)733-1471
암사동 성당 서울시 강동구 암사 1동 479-10 ☎ 02)442-8511
역촌동 성당 서울시 은평구 역촌 2동 56-12 ☎ 02)382-5611
연신내 성당 서울시 은평구 불광 3동 67-2 ☎ 02)353-6307
오금동 성당 서울시 송파구 오금동 22-1 ☎ 02)408-5501
용산 성당 서울시 용산구 산천동 2-11 ☎ 02)719-3301
잠실 7동 성당 서울시 송파구 잠실본동 301-7 ☎0 2)416-7286
창 5동 성당 서울시 도봉구 창 5동 258-2 ☎ 02)990-5684
천호동 성당 서울시 강동구 천호 3동 397-413 ☎ 02)470-5821
행운동 성당 서울시 관악구 봉천 6동 1682-6 ☎ 02)874-5121
흑석동 성당 서울시 동작구 흑석 1동 186 ☎ 02)816-2961
수원교구
남양 성모 성지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 1704 ☎ 031)356-5880
대구대교구
성모당 대구시 중구 남산 3동 225-1 ☎ 053)250-3000
청주교구
감곡 성당 충북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357-2 ☎ 043)881-2809
교현동 성모당 충북 충주시 교현 2동 640-2 ☎ 043)843-1332
내덕동 주교좌 성당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내덕 2동 172-11 ☎ 043)216-7011
보은 성당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 6리 174-8 ☎0 43)543-5680
복대동 성당 충북 청주시 흥덕구 복대 2동 200 ☎ 043)266-2132
성모 성심 성당 충북 청주시 흥덕구 복대 1동 354-1 ☎ 043)232-3219
지현동 성당 충북 충주시 지현동 1498 ☎ 043)846-7381
진천 성당 충북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 42 ☎ 043)534-2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