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平擇港]
정의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에 있는 항구.
개설
1986년에 LNG선이 처음으로 입항한 이후 같은 해 12월에 제1종 지정항만 국제무역항으로 개항하였다. 현재는 서해안시대를 맞이하여 중국과의 교역확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04년 12월에 충청남도 당진항과 통합됨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는 평택·당진항으로 불리고 있다.
형성 및 변천
1996년 7월에 3대 국책항만 및 5대 국책개발사업으로 선정되어, 1997년에 외항동부두가 준공되었으며, 2001년에는 서부두가 준공되었다. 2001년 8월에 국제여객터미널이 준공되었다. 2004년 12월에는 평택·당진항으로 항명이 변경되었으며, 2005년 3월에 국제여객부두가 준공되었다. 2007년부터 외항서부두, 외항동부두, 고대부두, 송악부두 등이 준공되어 선박 접안능력을 향상시켰다. 국제여객선은 중국의 위하이를 비롯한 3개 항로에서 운행 중에 있다. 2009년 주요 항만시설로는 안벽 6,460m, 방파제 240m, 물양장 657m, 잔교 8기 등이다. 선박접안능력은 모두 33척으로 20만톤급 1척, 10만톤급 2척, 5만톤급 9척, 3만톤급 17척, 5천톤급 2척 등이다. 연간 하역능력은 2008년 현재 4590만 8000톤이다.
현황
2009년에 평택·당진항을 이용한 여객은 29만 2391명이다.
2009년의 전체 입출항 선박은 1만 5032척이며 총톤수는 1억 5086만 8435톤에 달한다. 그 가운데 외항선은 8,097척에 1억 3833만 8974톤이고, 내항선은 6,935척에 1252만 9461톤이다. 외항선의 입항 척수는 4,056척이고 총톤수는 6942만 4042톤이며,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에서 입항한 선박이 2,817척에 4274만 1513톤으로 가장 비중이 크다. 그 다음은 중동에서 입항한 선박이 129척에 908만 5529톤, 동남아시아에서 입항한 선박이 264척에 818만 8796톤, 일본에서 입항한 선박이 708척에 330만 2059톤이다. 외항선의 출항선은 4,041척이고 총톤수는 6891만 4922톤이며,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로 출항한 선박이 3,027척에 4422만 2571톤으로 가장 많다. 그 다음은 동남아시아로 출항한 선박이 252척에 872만 2677톤, 중동으로 출항한 선박이 106척에 777만 6914톤, 일본으로 출항한 선박이 548척에 373만 6949톤이다. 2009년의 입출항 화물물동량 처리실적은 모두 5132만 1149톤으로 입항 물동량이 4960만 9887톤이고 출항 물동량은 171만 1262톤이다. 품목별 화물은 석유가스 및 기타 가스류가 1917만 312톤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 뒤를 이어 철강 및 관련제품 732만 5067톤, 차량 및 관련제품 699만 291톤, 방적용섬유 및 관련제품 466만 9100톤 등이다. 2009년에 연안으로 입출항한 입항 척수는 모두 3,469척이고 입항 톤수는 628만 517톤이다. 출항 척수는 3,466척이고 출항 톤수는 624만 8944톤이다. 한편 연안 입항화물은 449만 5270톤이고 연안 출항화물은 53만 5426톤이다.
평택당진항은 동북아경제권의 중심에 위치하여 세계물류 및 국제종합무역의 중심항만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초광역개발의 서해안벨트에서 거점항만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수도권으로의 접근성이 양호하여 광역배후지를 형성하기에 유리한 장점도 보유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평택음성고속도로·당진상주고속도로 등과 인접해 있으며, 철도교통 및 항공교통(김포공항·인천공항·청주공항)도 평택당진항의 잠재력을 더욱 강화시켜주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평택당진항은 중부권의 거점항은 물론 서해안시대의 거점항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2010년 5월에는 평택당진항에서 일본의 도쿄·요코하마 등을 운행하는 컨테이너 정기항로가 개설되어, 한일간의 물동량 증가가 예상된다.
참고문헌
『국토해양통계』(국토해양부, 2008)
『해운항만통계연보』(해운항만청, 1996)
『건설교통통계연보』(건설교통부, 1995)
국토해양부 해양물류정보시스템(spidc.go.kr)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평택~제천간 고속도로에 평택휴게소 오픈 happylife (youtube.com)
평택휴게소(平澤休憩所, Pyeongtaek Service Area)
평택휴게소(平澤休憩所, Pyeongtaek Service Area)는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평택제천고속도로 6 (현곡리)에 위치한 평택제천고속도로의 고속도로 휴게소이다. 양방향 모두 휴게소가 통합형으로 존재한다. 평택시흥고속도로 송산포도휴게소와 평택제천고속도로 안성맞춤휴게소 구간 거리가 64 km로 매우 멀어서 거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20년 9월 24일에 신설 개장하였다.
역사
2016년 9월 21일 : 2019년까지 평택복합휴게시설 조성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현곡리 ~ 토진리 91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020년 9월 24일 : 휴게소 신설 개장과 함께 평택휴게소로 영업 개시
평택~제천 간 고속도로 평택휴게소개소
㈜HK하이웨이는 평택~제천 간 고속도로 평택휴게소가 24일 문을 연다고 밝혔다. 위치는 서평택JC에서 제천방면으로 5.3㎞ 떨어진 평택시 청북면 현곡리다. 지하 1층, 지상 2층, 전체면적 1만여㎡ 규모에 상 하행 통합 휴게소다. 국내 최초로 원형 통유리 구조로 건립됐다. 녹색 건축인증(G-SEED)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등으로 에너지절약형 친환경 건축물로 조성됐다.
고속도로와 휴게소 건물 사이에 충분한 면적의 버퍼존(Buffer Zone:완충지대)으로 기획돼 소음과 진동, 매연 등으로부터 쾌적한 환경성도 확보했다. 지역사회 연계를 위해 평택시 농축산물 브랜드 ‘슈퍼오닝’에 대한 홍보관을 평택시가 운영하고 인근 대학 조소과 학생들의 작품 전시공간도 휴게소 공원 내 조성됐다. 화물차 기사들을 위한 휴게텔, 여성 전용 휴게텔, 체력단련실, 건강증진센터, 클리닝센터 등도 설치됐다. HK하이웨이 평택휴게소 관계자는 ‘평택휴게소는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건물의 모양처럼 고객들에게 원더풀(Wonderful)한 공간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거울연못부분투시도
2024-06-13 작성자 청해명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