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은 어렸을 때 개뻘밭에서 미끄럼을 타고, 갈게를 잡으면서 놀았다.
짱뚱어를 잡은 밥법은 손으로 짱뚱어 구멍에 쑤셔넣으면 약 50Cm 깊이에 짱뜽어와 갈게가 공생하므로 다 함께 잡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짱뚱어를 하천한 물고기라 하여 모두 버렸으나 요즈음에는 스테미너 식품이라고 한다.

짱뚱어는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농어목 > 망둑어과에 속하고 학명은 Boleophthalmus의 pectinirostris 이다.
분포는 태평양을 포함한 지역, 일본 , 중국 , 한반도 등 바다는 해안을 따라 따뜻한 개뻘에서 살며,
최근 연안 개발과 오염으로 인해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되고 있다.

짱뚱어 특징은 눈은 머리의 윗부분에 대형으로 툭 튀어나와 있고 입을 크게 버리며,
몸은 회청색이며 몸과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 광택이 있는 파란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짱뚱어 길이는 약 15cm 정도로 연안 지역 갯벌에 구멍에서 생활한다.
구멍은 50~90cm 깊이로 파 내려가면서 출입공이 2개인 Y자형을 만든다.

산란은 6-8월에 한다. 수컷이 개펄에 Y자 형태의 구멍을 판 후 여기에 암컷을 유인하여 산란을 유도한다.
암컷이 구멍에 산란하고 산란장을 떠나면 수컷이 새끼가 부화하여 헤엄칠 때까지 보살핀다.

짱뚱어는 피부호흡이 잘 발달된 육질의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여 높이뛰기를 잘한다.

입을 크게 벌린다는 것은 산소호홉을 한다는 증거로 장거리나 마라톤 선수에게 아주 좋은 보양식이 될 수 있다.
더구나 높이뛰기를 잘하므로 정력제, 미용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짱뚱어 친구는 갈게나 농게이다. 통산 같은 구멍에 공생하는 녀석들도 있다.

게와 짱둥어는 종이 달라도 아주 다정다감하게 지낸다.

짱뚱어 물이 빠지면 연안과 기수역의 개펄에서 바닥을 기어 다니며 주로 해양식물 프랑크톤인 규조류를 먹고 산다. 최근 중국에서는 식용 물고기로 인공 번식을 한다고 한다. 탕과 구이의 재료로 이용하며 짱뚱어 요리는 전남 순천 지방이나 고흥, 신안지방에서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