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년 월드컵 이후 | 2010년 월드컵 이전 | ||
대륙 | 가중치 | 대륙 | 가중치 |
UEFA | 1.00 | 유럽 | 1.00 |
CONMEBOL | 1.00 | 남미 | 0.98 |
CONCACAF | 0.88 | 북미 | 0.85 |
AFC | 0.85 | 아시아 | 0.85 |
CAF | 0.86 | 아프리카 | 0.85 |
OFC | 0.85 | 오세아니아 | 0.85 |
ex) 유럽팀과 아시아팀이 붙으면 유럽팀의 가중치 1.0 + 아시아팀의 가중치 0.85 / 2 = 0.925 가 그 경기의 가중치가 됩니다.
아시아팀 끼리 붙으면 0.85 이겠죠?
피파랭킹 Q&A 에 가서 보니 왜 이런식으로 지역별 편차를 둿냐고 물으니, A매치는 다른 대륙 팀 끼리의 경기가 드물다. 그 결과, 강팀이 밀집해 있는 대륙은 강팀끼리 붙고, 약팀이 밀집해 있는 대륙은 약팀끼리 붙으니깐, 비교할 만한 척도가 필요하다. 라네요?
정확한 해석은 원문을 참고.
/ Why dose the calculation include a confederation weighting?
Matches between teams from different confederation (interconfederational matches) are relatively rare. The separate regions therefore retain the character of autonomous and relatively closed leagues that are only partially comparable with one another. /
3. 경기의 중요성 (I)
친선경기 : 1
월드컵 예선, 지역컵 예선 : 2.5
지역컵 본선, 피파 컨페더레이션 컵 : 3
월드컵 본선 : 4
4. 경기결과 (M)
승 : 3
승부차기 승 : 2
무승부, 승부차기 패 : 1
패 : 0
이렇게 나온 가중치를 모두 곱하고 T*C*I*M*100 을 해주면 끝.~
ex) 예를 들어, 한국과 일본의 피파 월드컵 대회 점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월드컵 성적
상대팀 | 경기결과 | 상대랭크 | 소속대륙 | T | C | I | M | Point |
Greece | 2:0 승 | 13 | UEFA | 1.87 | 0.925 | 4 | 3 | 2075.7 |
Argentina | 1:4 패 | 7 | CONMEBOL | 1.93 | 0.915 | 4 | 0 | 0 |
Nigeria | 2:2 무 | 21 | CAF | 1.79 | 0.85 | 4 | 1 | 608.6 |
Uruguay | 1:2 패 | 16 | CONMEBOL | 1.84 | 0.915 | 4 | 0 | 0 |
일본 월드컵 성적
상대팀 | 경기결과 | 상대랭크 | 소속대륙 | T | C | I | M | Point |
Cameroon | 1:0 승 | 19 | CAF | 1.81 | 0.85 | 4 | 3 | 1846.2 |
Netherlands | 0:1 패 | 4 | UEFA | 1.96 | 0.925 | 4 | 0 | 0 |
Denmark | 3:1 승 | 36 | UEFA | 1.64 | 0.925 | 4 | 3 | 1820.4 |
Paraguay | 0:0 (PK3:5) | 31 | CONMEBOL | 1.69 | 0.915 | 4 | 1 | 618.54 |
일본이 점수도 많이 얻고 객곽전인 성적은 좀 좋습니다. (한국 1승 1무 2패 / 일본 2승 1무(승부차기패) 1패)
이렇게 A매치 성적을 기준으로 모두 계산하고 나서 최종 포인트 계산은
최근 12개월간의 경기점수 합 / 12개월간의 경기수 * 1.0
최근 12~24개월간의 경기점수 합 / 12~24개월간의 경기수 * 0.5
최근 24~36개월간의 경기점수 합 / 24~36개월간의 경기수 * 0.3
최근 36~48개월간의 경기점수 합 / 36~48개월간의 경기수 * 0.2
를 합치면 끝!
* 참고로 경기수로 나눌때, 5경기보단 작다면 무조건 5로 나눠줍니다.
더 자세한 계산방법은 아래 사이트에서 참고^^
이러한 방법으로 대한민국의 2011년 2월꺼를 계산했습니다.(14일 호주전까지만)
12개월까지 점수 : 6632.23 / 18 = 368.46
12~24개월까지 점수 : 4704.30 / 15 = 313.62 * 0.5
24~36개월까지 점수 : 4911.30 / 16 = 306.96 * 0.3
36~48개월까지 점수 : 4006.65 / 12 = 333.89 * 0.2
= 684.1 이니깐, 반올림 하면 684점이 됩니다. 지금 랭킹으로는 35위까지 올라갈 수 있네요. 아직 부족. ㅠ_ㅠ.
같은 방법으로 일본을 시리아전까지 계산해봣는데요. 일본은 788점 이 나옵니다.
만약, 호주전을 이겼다면 733점이 나오더군요. 개인적으로 이겼으면 했는데, 너무 아쉽네요.
아시안컵이 경기 중요도가 3 이라서 꽤 큰 점수를 얻을 수 있는 대회입니다. 꼭 우승 했으면 하네요. 그것도 좋은 성적으로^^.
피파랭킹점수 계산하면서 알게 됫는데, 일본이 은근히 A매치 성적이 좋던데요???, 경기결과만 보는 피파랭킹 산정방식이 문제라서 A매치 성적이 좋으면 그만입니다. 일본이 피파에 돈 먹였니 뭐니 하는 것보다 지금 일본의 A매치 성적을 인정하고, 대한민국이 좀 더 발전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일본이 피파랭킹 점수 얻을 기회가 높은 이번 코파아메리카에 초청국 자격으로 나가는게 너무 부럽습니다. 축구협회 뭐하는거야! 썅)
그리고, 계산방식을 바탕으로 2010년 2월 2일에 발표될 피파랭킹을 미리 계산해보는 센스.
한국 아시안컵 결과
년 | 월 | 일 | 경기 | 결과 | 팀 | 랭킹 | 게임 중요도 | 소속대륙 | 얻은점수 | M |
T |
I | C | |
2011 | 1 | 10 | Win | 2--1 | Bahrain | 93 | Continental Final | AFC | 818.55 | 3 | 1.07 | 3 | 0.85 | |
2011 | 1 | 14 | Draw | 1--1 | Australia | 26 | Continental Final | AFC | 443.70 | 1 | 1.74 | 3 | 0.85 | |
2011 | 1 | 18 | Win | 4--1 | India | 144 | Continental Final | AFC | 428.40 | 3 | 0.56 | 3 | 0.85 |
한국 1월 랭킹 점수 | 649.2 |
바레인전 이후 | 679.7 |
호주전 이후 | 684.1 |
인도전 이후 | 687.3 |
(호주전 승리했다면 현재 점수 : 734.0)
(이란전 승리시 : 724.9)
(이란전 승부차기승 : 706.2)
(이란전 승부차기패 : 687.4)
(이란전 패배시 : 668.7)
일본 아시안컵 결과
년 | 월 | 일 | 경기 | 결과 | 팀 | 랭킹 | 게임 중요도 | 소속대륙 | 얻은점수 | M | T | I | C |
2011 | 1 | 9 | Draw | 1--1 | Jordan | 104 | Continental Final | AFC | 244.80 | 1 | 0.96 | 3 | 0.85 |
2011 | 1 | 13 | Win | 2--1 | Syria | 110 | Continental Final | AFC | 688.50 | 3 | 0.9 | 3 | 0.85 |
2011 | 1 | 17 | Win | 5--0 | Saudi Arabia | 78 | Continental Final | AFC | 933.30 | 3 | 1.22 | 3 | 0.85 |
일본 1월 랭킹 점수 | 776.2 |
요르단전 이후 | 773.2 |
시리아전 이후 | 788.4 |
사우디전 이후 | 814.4 |
(카타르전 승리시 : 828.0)
(카타르전 승부차기승 : 816.4)
(카타르전 승부차기패: 804.9)
(카타프전 패배시 : 793.4)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인 8강 이란전 승, 4강 일본전 승, 결승 호주전 승 으로 아시안컵을 마무리하면...
818.2점! / 아쒸 일본 피파랭킹의 벽은 높은거였나-_-;
ps. 랭킹점수는 소수점 두자리에서 반올림했구요. 실제로 피파홈페이지에서 발표되는 피파랭킹은 소수점 한자리에서 반올림합니다.
출처 : http://www.fifa.com/worldfootball/ranking/procedure/men.html
첫댓글 피파랭킹보다 엘로랭킹을 믿기로 했음... 차라리 엘로랭킹이 더 신뢰가 감...
피파 랭킹따위 개나 줘버려.
돈많은 팀 우대하는 피파랭킹. 유럽 국가들 대부분 상위랭킹이면서 맞대결이 많으니 당연히 랭킹이 좋을 수밖에 없고 일본같은 돈 많은 나라들은 우리 나라가 중국같은 데랑 평가전 할 때 유럽 국가들 불러들이니..
그런대 허정무감독시절 아시아 예선 무패로 통과하지않았나여?;; 근대 피파랭킹은 올라가긴 커녕 유지하거나 떨어진거같은대... 무패로 올라가도 등수 올리기는 불가능한건가여..ㄷ
무패지만 4승 4'무' 비긴게 좀 많아서 그렇네요.
비긴게 많아도 한때 28경기 무패였었나 막 세계 신기록 근처까지 갈뻔햇었는대 쩝 그동안 랭킹은 하나도 안오른거 같아서...-ㄱ
피파랭킹 ㅋㅋㅋㅋ 돈있는 나라가 최고임
강팀의 조건으로 이 세가지를 우선시 한다면 피파랭킹은 가장 정확한 시스템입니다.
1. 대회에서 승률좋은팀이 강팀이다. 2. 허접한 팀들이나 허구언날 평가전을 가진다. 3.아직은 유럽과 남미가 다른대륙보단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