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역을 아침 08시 34분에 출발한 부산 발 영주 행 무궁화호 열차는
경부선 왜관 약목 구미 김천 역을 100킬로의 속도로 달려와 김천 역에서 경북선으로 레일을 바꿔 타고 시속 50~60 킬로의 속도로 한적한 시골풍경속으로 달린다.
청 리 역, 백 원역, 함창 역, 상주 역, 점촌 역을 지나 2시간 20분을 달려 경북 예천군 용 궁 면 회 룡 포로 가는 길목 용궁 역에 도착한다.
지난 겨울이후 다시 찾은 용궁역..
겨울바람에 황량한 정거장위로 날리던 모래먼지는 온데 간 데 없고,
녹음 속에 잠겨 매미의 울음소리가 역무원도 없는 텅 빈 역사와 정거장으로 울려 퍼진다.

매미의 울음소리도 이내 무궁화호 열차의 기적소리에 묻혀버리고, 쓸쓸한 역사 정거장에 머물기가 싫은지 철마는 이내 문을 닫고 예천 역을 향해 서서히 정거장을 떠난다.

철마가 떠나버린 경북선 예천방향의 선로이다.
멀리 철마의 덜컹이는 소리가 점점 멀어지고, 주인 없는 용궁 역 은 다시 고요속에
빠져드는가 싶더니 이내 매미의 울음소리가 요란스레 들려온다.
간이역의 여름은 그래도 외롭지 않다.
사람이 없는 그 자리를 자연이 대신 찾아와 간이역을 지켜주고 있으니..

텅 빈 정거장을 지키는 낡은 의자 몇 개..
40분정도 있으면 부산 행 무궁화호 열차가 다시 이곳을 찾아 올 것이다.
저 의자위에 앉아서 누군가가 애타는 마음으로 사람을 기다리고 있을 것만 같다.

빨간 지붕이 예쁜 간이역
하지만 용궁 역은 경북선 구간 중에서 이용객이 그나마 상당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난해 겨울 갑작스럽게 무인간이역으로 격하되어버렸다.

지난겨울 역무원도 모두 떠나고 역사는 텅비어있었다.
무인역사임을 알리는 안내문구와 열차시각표, 벤치가 전부이다.
갈수록 늘어나는 무인역사..
적자 및 인력구조조정에 의한 무인역이 과연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가장 지적하고 싶은 것은 열차의 안전운행 및 레일의 안전을 얼마만큼 지킬 수 있는 가다.
안전사고 역시 그냥 넘어 갈수 없는 문제이다.
또한 무인역사 건물과 정거장은 바로 우범지대로 전락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의 탈선 장소로 언제든지 변 할 수 있는데..
밤에는 사실상 치안의 사각지역이다.
무단으로 철길로 들어갈 수 있어 열차에 의한 안전사고도 큰 문제일수도 있고..
이런 부분들을 한번이라도 심각하게 생각해보았는지 관계기관에 묻고 싶다.

간이역의 앞날은 안개속처럼 불투명하기만 하다.
빨간 지붕이 아름다운 용 궁역..
여름 속 조용함에 더욱 매력이 가는 간이역..
나 홀로 기차여행을 하고 싶다면 나는 감히 여기 경북선 용궁 역을 추천한다.
첫댓글 용궁역 가봐야지 생각만 하면서 못가봤는데....경북선 한번 타봐야 겠네요..
경북선. 정말 이러다가는 상주, 점촌, 예천외에는 역이 하나도 안 남겠습니다. 경전선도 이정도는 아닌데. 너무 빨리 슬럼화되어 가는거 같아서 마음이 아픕니다.
용궁역 하루이용객은 60여명 정도고... 경북선 전열차 정차합니다.. 그리고, 역무원대신 노인정으로(노인들이 맞이방에서 놀고 계셔음) 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