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逆境)과 순경(順境) / 만해 한용운 스님
역경(逆境)이라는 것은
자기의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을 이름이요,
순경(順境)이라는 것은 마음대로 되는 것을 말함이니,
사람들은 역경에서 울고 순경에서 웃는 것이거니와,
역경과 순경에 일정한 표준이 있는 것은 아니다.
갑(甲)에게 역경인 것이
을(乙)에게는 순경이 되는 수가 있으니,
동일한 동풍이지마는 서항(西航)에는 순경이 되고,
동항(東航)에는 역경이 되는 것이요,
동일한 춘우(春雨)이면서 농부에게는 순경이지마는
여행자에게는 역경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동항하는 자가
동풍의 순경을 따라서 도로 서항할 수는 없는 일이요,
여행하는 자가 춘우(春雨)를 따라서
경농(耕農)에 종사할 수는 없는 일이니
그것은 전진의 목적이 다른 까닭이다.
사람은 부평(浮萍)이 아니어서 바람부는 대로
물결치는 대로 순경만을 좇아서 사는 것은 아니다.
사람은 인생관을 따라서, 취미를 따라서 하루의 진로,
혹은 백 년의 목적이 있으니, 그 목적을 향하여 전진할 뿐이다.
전경(前境)의 순역은 목적의 방향과는 무관이다.
목적을 위하여 정당하게 불굴불요(*不屈不撓)의 인물은,
순경을 만난다고 경희작약(*驚喜雀躍)하여서
분외(分外)의 소력을 가하는 것도 아니지마는,
역경을 만난다고 공축퇴굴(*恐縮退屈)하여서
방향을 고치는 것도 아니다.
그뿐 아니라 사람은 진로에서만 역경이 있는 것이 아니라
퇴로에도 역경이 있으니, 가다가 돌아서고 보면
퇴로가 다시 진로가 되는 까닭이다.
역경을 피하는 사람으로서 진로에서 역경을 피하여 돌아섰다가,
퇴로에서 역경을 만나면 그때에는 어디로 갈 것인가.
천상(天上)에는 운문뇌정(*雲霧雷霆) 등의 역경이 있고,
지하에도 암석층(岩石層) 화산맥(火山脈) 등의 역경이 있으니,
과연 어디로 갈 것인가.
그뿐 아니라 역경을 피하여
순경만을 따라서 잠진속퇴(*暫進速退)하는
무주견(*無主見)의 무리에게, 역경만 아니라
소위 순경도 아연(*俄然) 역경으로 변하니,
그러한 무리는 영(影:그림자)을 독사(毒蛇)로도 보고,
죽실(*竹實)을 부서(腐鼠)와 바꾸자 하는 까닭이다.
---------------------------
*不屈不撓 : 뜻이나 결심이 꺾이거나 휘어지지
않는다는 뜻
*驚喜雀躍 : 매우 기뻐서 날뜀
*恐縮退屈 : 움츠러들어서 물러난다는 뜻
*雲霧雷霆 : 구름, 안개, 천둥 번개
*暫進速退 : 잠시 전진하다가 빨리 물러남
*無主見 : 주견이 없음
*俄然 : 급작스러운 모양
*竹實 : 대나무 열매의 씨로 귀한 것과 비유
*腐鼠 : 썩은 쥐라는 뜻으로, 비천(卑賤)한 물건(物件)에
비유
-한용운스님[明沙十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