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1일 :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 1543년 - 코페르니쿠스, 지동설 발표 1685년 - 독일 작곡가 요한 세바스찬 바흐 출생 1804년 - 나폴레옹 법전 공포 1933년 - 나치 독일이 다카우에 첫 강제 수용소를 건설하다. 1935년 - 페르시아가 국호를 이란으로 고치다. 1943년 - 소설가 현진건 사망 1955년 -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인민대표대회 개최 (∼31일); 제1차 5개년계획 초안에 대한 결의, 高崗-饒漱石의 반당동맹에 대한 결의, 당중앙,지방에 감찰위원회 설치에 대한 결의를 채택하다. 1964년 - 인도 종교폭동 확대 1990년 - 아프리카 최후의 식민지 나미비아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독립하다. 1995년 - 대한민국의 정당 자유민주연합이 창당하다. 2001년 -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 별세 2001년 - 새 인류조상 `케니안트로푸흐 플라티오프스` 케냐서 발견 2003년 - 19세 임동혁군, ‘세계 피아니스트 100인’에 초청 2003년 - 미 대사관 앞에서 ‘이라크 침략 규탄, 한국군 파병반대’ 교수 800인 선언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년 3월 21일 태어남 / 1750년 7월 28일 죽음 "바흐의 음악은 모든 시대에 있어서 가장 위대하고 가장 순수한 음악이다. 그의 음악은 인간 본성의 신적인 속성들을 밝혀내고, 일상적인 일들에 영적인 활력을 불어넣으며, 덧없는 것들에 영원의 날개를 달아준다. 또한 신적인 것들을 인간적으로 만들고 인간적인 것들을 신적으로 만든다." - 파블로 카잘스
|
바흐는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과 함께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독일 작곡가이다. 그는 16세기 종교개혁으로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독실하게 지켜온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음악으로써 신에게 봉사하는 데 생애를 바쳤다. 당대에는 주로 오르간 주자로서 명성을 떨쳤지만, 200여 곡의 성가곡을 위시한 종교 음악과 수많은 기악곡을 남겨 '음악의 아버지'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사후에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등 몇몇 위대한 음악가들을 제외하고는 일반에게 잊혀져가다가, 19세기 중반 펠릭스 멘델스존 등에 의해 재조명되었다. 그는 특히 대위법의 대가로 유명하며, 거기에 풍부한 선율과 화성적인 기법을 곁들여 더없이 아름답고 심오한 음악을 만들어냈다. 
|
관련 인터넷 링크 [한글 사이트] happybach.com에서 바흐의 생애, 바흐의 주요 작품 해설, 바흐 자료실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한다. 개인 홈페이지 클래식 음악가와 작품에서는 바흐의 생애와 주요 작품 해설을 싣고 있다. 다른 개인 홈페이지 Bach, Who is he?에서는 바흐의 생애와 주요 작품 해설 등의 정보와 함께 대표곡 오디오 클립들을 제공한다. [영어 사이트] J. S. 바흐 홈페이지는 바흐의 생애, 전작 목록, 추천 녹음 등과 풍부한 링크 정보를 제공한다. Bach Central Station은 바흐에 관한 링크 정보를 종류별로 정리해 제공한다. Bach Organizations에서는 전 세계에 있는 바흐 협회들을 찾아볼 수 있다. J. S. 바흐 2000에서는 바흐 서거 250주년 기념행사에 관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오디오 파일은 Classical Archives J.S.Bach에서 얻을 수 있다. 나미비아 독립 1990. 3. 21  나미비아 | 1990년 3월 21일 나미비아는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SWAPO)가 지배하는 정부하에 마침내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1964년 국제연합(UN)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위임통치 종료를 의결하고 1968년에는 투표를 통해 남서아프리카 국명을 나미비아로 바꾸는 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통치권 포기는 물론 나미비아 흑인 대다수의 경제적 권리를 박탈한 기존 정책의 완화마저 거부했다. UN 안전보장이사회와 국제사법재판소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의 즉각적인 철수를 촉구했다. 1970년대 중반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나미비아의 분할을 제안했으나 1960년대 이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통치에 대항해 게릴라전을 벌여온 나미비아의 흑인 조직 SWAPO는 이를 거부했다. 1988년 오랜 갈등 끝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나미비아의 독립을 승인했으며, 1990년 3월 21일 나미비아는 마침내 독립을 이루었다. 초대 대통령으로 오랜 망명생활을 한 독립운동 지도자 삼 누조마가 취임했다. 
|
관련 인터넷 링크 [영어 사이트] World History Archives의 History of Namibia에서는 게릴라 투쟁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살펴본 글 Guerilla Movements' influence on the growth of the new Social Movements in the Periphery:a study of the SWAPO women과 언론자유를 다룬 글 Namibian journalists express concern at intolerance by the government 등을 제공한다. The World Factbook은 지리, 정부, 경제 등 나미비아의 현황 자료를 제공한다.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캔터베리 대주교 크랜머 화형 1556. 3. 21  크랜머, G. Fliccius가 1546년에 그린 유화(부분) | 1556년 3월 21일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캔터베리 대주교 토머스 크랜머가 이단죄로 화형당했다. 잉글랜드 왕 헨리 8세와 에드워드 6세의 고문을 지낸 크랜머는 1533년 대주교가 되었다. 1540년 헨리 8세가 4번째 아내와 이혼하는 일을 돕기도 했다. 영어성서 사용 의무화에 힘쓰는 등 종교개혁에 앞장선 그는 1545년 잉글랜드 개혁교회를 위해 호칭기도서를 작성했다. 그러나 에드워드 6세가 죽고 메리 1세가 즉위하면서 잉글랜드의 종교개혁은 난관에 부딪혔다. 추기경 레지널드 폴이 캔터베리 대주교로 부임해 이단 처형을 지휘했고, 결국 크랜머는 대주교 및 사제직을 박탈당했다. 크랜머는 교황청 당국의 회유로 신앙경력을 철회하기도 했으나 화형장 앞에서는 끝내 믿음을 지켰다. 
|
관련 인터넷 링크 [영어 사이트] 중세에 관한 학술자료를 제공하는 The Online Reference Book for Medieval Studies의 Internet Medieval Sourcebook에서는 헨리 8세와 왕비의 이혼에 대해 크랜머가 대법관에게 보낸 편지 'Letter of Thomas Cranmer, 1533'를 볼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의 Anglican Church League는 크랜머 탄생 500주년 기념으로 그의 삶과 업적을 소개한 Allan Blanch의 글 Long Ago and Far Away를 제공한다. Copyright ⓒ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