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20일 월요일
영양군 일월면/영양읍/입암면...청송군 진보면...안동 임동면
진보향교 / 경북 유형문화유산
- 경북 청송군 진보면 광덕리
조선 태종 4년(1404) 처음 건립, 숙종 19년(1693) 광덕산 기슭으로 옮겼다.
고종 19년(1882) 구읍으로 옮겼다가 고종 23년 현재 이 자리로 옮겼다.
진보향교에서 본 진보면 중심지, 산은 비봉산(670.9m)
광덕교에서 반변천을 보다. 반변천은 영양 일월산에서 발원, 영양군을 지나 청송 진보면, 안동 임하댐으로 간다. 낙동강 지류.
맹동산은 영양군과 영덕군 경계인 것 같다. 풍력발전소가 있다. 낙동정맥종주 중 어떤 구간에 맹동산이 있다.
10년이 넘었을까? 그때 맹동산 지날 땐 풍력발전소가 없었다.
진보면 광덕교
2024년 5월 21일 화요일
안동 임동면/임하면/길안면...청송군 파천면/청송읍....포항 기계면/안강읍...경주IC..서김해IC
안동 길안면을 벗어나기 직전에 본 경치
남각산 수정사 (南角山水淨寺) / 전통사찰
- 경북 청송군 파천면 송강리
고려 공민왕 때 나옹선사가 처음 지었다고 한다. 이렇다 할 사적이 없다.
(내가 고교동기 모임 밴드에 수정사 방문한 글을 올렸다. 경북 의성이 고향인 친구가 댓글을 올렸다.
외조부와 친구인 분이 일제강점기 때 주지로 있었다고 한다. 그분은 결혼했으나 가족 중에 단명하는 이가 있었다고.
어느 날 지나가던 승려가 그분을 보고 출가하지 않으면 단명할 상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출가하였다고.
절 입구에 '왕평 이응호 선생을 기리며' 안내표지가 있다. 이분도 친구의 외조부와 친구셨다고 한다.)
인터넷 찾아보기를 하니 수정사(水晶寺)로 나온다. 일주문은 수정사(水淨寺)이다.
작은 절, 아담한 절이며 꽃이 절과 잘 어울린다.
수정사 대웅전 / 경북 문화유산자료
조선시대 양식으로 앞면 3칸, 옆면 2칸, 맞배지붕이다.
산령각
흰금낭화, 흰색 금낭화는 처음인 것 같다.
수정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비지정), 대웅전을 지을 때 만든 것으로 여긴다.
보광산 보광사 (普光山普光寺) / 전통사찰
- 경북 청송군/읍 덕리
668년(문무왕 8) 의상(義湘)이 창건. 신빙성이 없다. 이때는 의상이 당나라에 유학 중, 671년(문무왕 11)에 귀국했다.
소헌왕후(昭憲王后/세종의 비) 심(沈)씨가 조상의 묘가 이 산에 있어 이 절을 원당으로 삼았다.
재실인 추모재(追慕齋)와 만세루를 건립, 1979년 주지 보진(普眞)이 극락전을 중수, 1995년 산신각을 신축하였다.
(인터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오후 여섯 시가 넘었지만 제지하는 관계자는 없다. 주소가 읍이라서 주택가에 있을 줄 알았다.
청송 심씨, 삼척 심씨, 풍산(안동 풍산읍) 심씨, 부유(순천의 옛 이름) 심씨, 전주 심씨, 의령 심씨. 약 90%가 청송 심씨.
청송 만세루 / 경북 유형문화유산
청송 읍내 월막리 찬경루(보물)와 같은 시기에 지어졌다고 본다. 세종 10년(1428).
이 누각은 청송 심씨 시조 심흥부의 묘재각으로 쓰였다. 재를 지낼 때 비가 오면 이곳을 이용하였다고 한다.
추모재(왼편)와 설법전
청송 보광사 극락전 / 보물
만세루와 같은 시기에 세웠을 것으로 여기나 상량문에 1615년 건축하였다고 나온다.
정면 3칸, 측면 3칸, 다포식 맞배지붕.
칠성각, 산신각
보본당(요사)
만세루, 흔히 볼 수 있는 글자체가 아니다.
삼층석탑(비지정)
청송 보광사 석조아미타삼존불상 및 복장유물 / 경북 유형문화유산
복장(腹藏)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
1735년에 조각승 여철(吕哲)을 중심으로 법기(法機), 영초(穎草)가 제작에 참여, 보광사에 봉안하였다.
여철은 17세기를 대표하는 조각승 승호(勝湖)의 계보를 잇는 조각승으로, 여철 독립하여 만든 작품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이 없다.
이 불상을 통해 처음으로 알려진 예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